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직신학

조직신학

이범배 (지은이)
새한기획출판부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4개 6,99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직신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직신학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86234466
· 쪽수 : 1030쪽
· 출판일 : 2004-05-25

목차

머리말(Preface)
조직신학(組織神學)의 서론(序論)
Ⅰ. 조직신학의 개략
A. 조직신학은 신학의 사분류 중 한부문에 속한다
1. 신학의 의미와 분류
2. 조직신학 혹은 교의학의 의미와 그 분류
B. 조직신학의 필요성
1. 조직신학은 성경적교리와 신앙을 수호견지하게 한다
2. 조직신학을 통하여 구원에 필요한 구속의 진리를 알게 한다
3. 조직신학은 교리와 또한 교회의 통일을 이루게 할 것이다
4. 조직신학은 성도들에게 많은 이익을 준다
Ⅱ. 조직신학의 여러 가지 원리
A. 종교
1. 종교의 개략
2. 종교의 좌소
3. 종교의 기원
B. 계시
1. 계시의 개념
2. 일반계시
3. 특별계시
C. 성경
1. 특별계시와 성경과의 관계
2. 성경은 하나님의 영감에 의하여 기록된 책이다
3. 성경의 완전성
제1편(第一篇) : 신론(神論)(The Doctrine of God or Theology Proper)
Ⅰ. 하나님의 존재
A. 인간의 내적인식에 의한 하나님의 존재
1. 인간은 하나님의 존재에 관한 내적인식을 가지고 있다
2. 기독교인의 하나님에 관한 내적의식은 판이하다
B. 성경과 자연속에 나타난 하나님의 존재
1. 성경은 하나님께서 존재하심을 분명히 증거한다
2. 자연은 하나님께서 존재하심을 분명히 증거한다
C. 전통적 유신론증에 의한 하나님의 존재
1. 우주론적 논증(The Cosmological Argument)
2. 목적론적 논증(The Theological Argument)
3. 존재론적 논증(The Ontological Argument)
4. 도덕적 논증(The Moral Argument)
Ⅱ. 하나님에 관한 지식
A. 하나님에 관한 인간의 선천적지식
1. 하나님에 관한 인간의 선천적인 지식의 의의
2. 하나님에 관한 인간의 선천적 지식의 증거
B. 하나님에 관한 인간의 후천적지식
1.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하나님 자신을 계시하신다
2. 하나님을 아는 지식은 그의 계시를 통해서만 얻을수 있다
3. 하나님을 아는 지식은 성경을 통하여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C. 인간은 하나님을 온전하게 이해할 수가 없다
1. 인간은 영이신 하나님의 형체를 볼 수가 없다
2. 유한한 인간은 무한하신 하나님을 온전히 알 수가 없다
3. 하나님에 관한 지식은 인간에게는 제한된 것이다
D. 인간은 하나님에 관한 참된 것을 알 수 있다
1. 인간은 하나남과의 교제를 통하여 그의 참된 것을 알 수 있다
2. 인간이 하나님을 안다는 것은 그와 화친 관계를 맺는 것이다
Ⅲ. 하나님의 속성
A. 하나님의 속성의 개략
1. 하나님의 속성의 의미와 그 분류
2. 성경에서 하나님의 이름은 곧 그의 속성을 나타낸다
3. 성경에서 하나님을 묘사하는 낱말들이 그의 속성을 반영한다
B. 하나님의 비공유적 속성
1. 하나님의 독립성 혹은 자존성
2. 하나님의 불변성
3. 하나님의 영원성
4. 하나님의 편재성
5. 하나님의 단일성
C. 하나님의 공유적 속성
1. 하나님의 영성
2. 하나님의 전지성
3. 하나님의 지혜
4. 하나님의 선하심
5. 하나님의 사랑
6. 하나님의 신성
7. 하나님의 공의
8. 하나님의 통치권
9. 하나님의 성실하심
Ⅳ. 삼위일체교리
A. 삼위일체 교리의 정립에 관한 역사적배경
1. 삼위일체 교리를 부인 하는 이단사상
2. 삼위일체 교리의 정립에 관한 역사적증거
B. 성경에 계시된 삼위일체 교리
1. 삼위일체 교리에 관한 성경적증거
2. 성경적증거에 의한 삼위일체 교리의 진술
3. 삼위의 각 하나님에 관한 개별적고찰
Ⅴ. 하나님의 작정과 예정
A. 하나님의 작정교리
1. 하나님의 작정의 의미
2. 하나님의 작정의 특성
B. 하나님의 예정교리
1. 하나님의 예정의 대상
2. 하나님의 예정은 선택과 유기를 포함한다
3. 타락전 선택설과 타락후 선택설
Ⅵ. 우주창조
A. 우주창조의 개략
1. 하나님의 우주창조의 의의
2. 하나님의 물질적우주의 창조
3. 하나님의 영적세계의 창조
B. 성경의 가르침에 모순 되는 창조에 관한 진화론
1. 성경에 위배되는 진화론의 개념
2. 성경에 위배되는 진화론에 대한 설명
3. 성경에 위배되는 진화론을 거부하는 견해
Ⅶ. 하나님의 섭리
A. 하나님의 섭리교리의 개략
1. 하나님의 섭리의 의의
2. 성경적인 하나님의 섭리교리에 대한 두가지 오해
B. 하나님의 섭리의 삼요소
1. 보존
2. 협력
3. 통치
C. 하나님의 기적
1. 하나님의 기적의 의미
2. 하나님의 기적은 그의 권능으로 말미암은 것이다
3. 하나님의 기적의 실례
D. 새 언약시대의 특성인 기적
1. 예수님께서 행하신 기적
2. 사도들과 전도자들이 행한 기적
3. 신약교회에서 성령의 은사를 통한 기적
E. 기적의 목적
1. 기적의 목적은 복음 멧시지를 확증하는 것이다
2. 기적의 목적은 하나님 나라가 도래한 것을 확증하는 것이다
3. 기적의 목적은 간절한 필요에 응하는 것이다
4. 기적의 목적은 복음사역의 방해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5. 기적의 목적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는 것이다
제2편(第二篇) : 인간론(人間論)(The Doctrine of Man or Anthropology)
Ⅰ. 인간창조
A. 하나님의 인간창조의 목적
1. 하나님의 인간창조의 목적은 그 자신의 영광을 위하신 것이다
2. 인간이 사는 목적은 하나님의 인간창조의 목적과 부합 된다
B.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창조된 인간
1. 하나님의 형상의 의의
2. 하나님의 형상에 관한 카톨릭교회와 개혁파교회의 견해
3. 인간의 타락후에 하나님의 형상은 존속되나 왜곡된 것이다
4. 그리스도의 구속과 재림에 의하여 하나님의 형상이 회복된다
C. 하나님께서 남자와 여자를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하셨다
1. 남여가 화목한 인간관계를 맺도록 하나님께서 창조하셨다
2. 남여의 개성에 우월이 없고 동등한 지위를 갖도록 창조하셨다
3. 남여는 각기 그 역할이 다르도록 하나님께서 창조하셨다
Ⅱ. 인간은 육체와 영혼으로 구성되었다
A. 인간의 본성의 본질적인 요소
1. 인간의 본질적성질의 개념
2. 이분설
3. 삼분설
B. 영혼의 기원
1. 영혼선재설
2. 영혼유전설
3. 영혼창조설
Ⅲ. 죄의 상태에 있는 인간
A. 죄의 개관
1. 죄의 의의
2. 죄를 낳는 것은 인간의 행위와 태도와 생래적인 성질이다
3. 죄의 본질적본성
B. 죄의 기원
1. 에덴 동산에서 아담과 하와의 최초의 범죄
2. 인간의 최초의 범죄는 뱀의 하와에 대한 간계에 기인한다
3. 인간의 범죄에 대한 성경의 다른 부분에서의 증거
C. 전승된 죄에 관한 교리
1. 아담의 범죄로 우리가 죄인이 되었고 사망을 불러 왔다
2. 아담으로부터 전승된 죄로 우리가 타락된 본성을 갖게 되었다
3. 아담으로부터 전승된 원죄의 보편성
D. 인간의 일상생활에 있어서의 실제적인 죄
1. 모든 인간은 하나님 앞에서 죄인이다
2. 실제적인 죄의 경중도 정도
Ⅳ. 언약 안에 있는 인간
A. 언약의 개념
1. 하나님과 인간과의 언약에는 행위언약과 은혜언약이 있다
2. 삼위일체의 하나님 사이에서 맺은 언약은 구속언약이다
B. 행위언약
1. 행위언약의 의의
2. 행위언약에 관한 성경적 증거
3. 행위언약의 효과성
C. 구속언약
1. 구속언약의 의의
2. 구속언약에 관한 성경적증거
3. 구속언약에서 성부의 역사
4. 구속언약에서 성자의 역사
5. 구속언약에서 성령의 역사
D. 은혜언약
1. 은혜언약의 의의
2. 은혜언약의 본질적요소
3. 은혜언약의 특징
4. 은혜언약의 여러 가지 양상
제3편(第三篇) : 기독론(基督論)(The Doctrine of Christ or Christology)
Ⅰ. 그리스도의 위격
A. 그리스도의 위격에 관한 역사적인 견해
1. 그리스도의 위격의 개략
2. 에비온 파(Ebionites)의 견해
3. 그노시스 파(The Gnostice)의 견해
4. 아리우스 파(The Arians)의 견해
5. 아포리나리스 파(The Apollinarians)의 견해
6. 네스토리우스 파(The Nestorians)의 견해
7. 유티크스 파(The Eutychians)의 견해
8. 정통교파(The Orthodox)의 견해
B. 그리스도의 인성
1. 예수 그리스도의 인성의 개략
2. 예수 그리스도의 온전한 인성의 필요성
3. 예수 그리스도는 동정녀 탄생에 의하여 인성을 가지셨다
4. 예수 그리스도께서 인간의 육체와 영혼을 가지셨다
5. 예수 그리스도는 인간으로서의 몇가지의 칭호를 가지셨다
C. 그리스도의 신성
1.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의 개략
2. 예수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이시고 신성을 가지신 성경적증거
3. 예수 그리스도께서 신성을 가지신 여러가지의 증거
4.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의 필요성
D. 성육신
1.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의 의의와 성육신 이전의 신분
2.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의 필요성
3.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의 본성
E. 예수 그리스도의 위격의 단일성
1. 예수 그리스도의 위격의 단일성의 개략
2. 예수 그리스도의 양성의 연합
F. 예수 그리스도의 품성
1. 예수 그리스도의 절대적인 신성
2. 예수 그리스도의 참되고 순수한 사랑
3. 예수 그리스도의 겸손하시고 비하되신 몸
4. 예수 그리스도의 온유하심
5. 예수 그리스도의 온전히 균형된 삶
6. 예수 그리스도께서 행하신 기도
7. 예수 그리스도께서 행하신 복음전파의 역사
Ⅱ.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
A.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의 개략
1.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의 의의
2.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의 동기
3.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의 필요성
B.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의 본성
1. 예수 그리스도의 대리적인 속죄
2. 예수 그리스도의 적극적인 순종
3. 예수 그리스도의 소극적인 순종
C. 속죄의 범위
1. 속죄의 범위의 개략
2. 개혁파의 견해 곧 제한속죄를 지원하는 성경적증거
3. 비개혁파의 견해 곧 무제한속죄를 지원하는 성경적증거
4. 제한속죄와 무제한속죄의 양견해에 관한 비교
Ⅲ.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및 승천과 승귀
A.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1.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의 중요성
2.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의 본성
3.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의 확실성
4.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의 결과
B. 예수 그리스도의 승천과 승귀
1. 예수 그리스도의 승천에 관한 신약성경의 증거
2. 예수 그리스도의 승천에 관한 이론(異論)과 반박
3. 예수 그리스도의 승귀가 내포하는 많은 사실
4. 예수 그리스도의 승천과 승귀의 결과
Ⅳ. 예수 그리스도의 직분
A. 예수 그리스도의 직분의 개략
1. 예수 그리스도의 직분에 관한 역사적 개념
2. 예수 그리스도의 삼중직
B. 예수 그리스도의 선지자직
1. 선지자직의 개념
2. 예수 그리스도께서 선지자이신 증거
3. 예수 그리스도의 선지자직에 관한 사도서간의 증거
C. 예수 그리스도의 제사장직
1. 제사장직의 성격적인 배경
2.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죄를 위하여 자신을 제물로 드리셨다
3. 예수 그리스도께서 계속적으로 우리를 하나님께로 인도하신다
4.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중재적 역사를 행하힌다
D. 예수 그리스도의 왕적직분(왕직)
1. 예수 그리스도의 왕적직분 혹은 왕직의 개략
2. 예수 그리스도의 백성과 교회를 다스리시는 영적왕권
3. 예수 그리스도의 우주를 지배하시는 왕권
제4편(第四篇) : 성령론(聖靈論)(The Doctrine of the Holy Spirit or Pnewmatology)
Ⅰ. 성령의 격위(The Person of the Holy Spirit)
A. 성령의 격위를 다룬 성령론의 정립에 관한 역사적인 고찰
1. 성령의 격위에 관한 성령론에 도전한 이단자들의 지론
2. 성령의 격위에 관한 성령론의 기반을 세운 신학자들의 지론
3. 성령의 격위에 관한 성령론을 정립한 신학자들의 지론
4. 성령의 격위에 관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삼위일체론
B. 성령의 격위와 역사를 다룬 성련론의 중요성
1. 성령의 격위를 통하여 하나님께서 성도들 안에서 역사하신다
2. 성령의 역사가 현저한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3. 성령의 역사를 통하여 하나님의 임재를 체험할 수 있다
C. 성령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생기는 이유
1. 성령에 관한 계시가 성부 성자의 것에 비하여 분명치 않다
2. 성령에 관한 심상을 가지기가 어렵다
3. 성령의 역할에 관하여 성경은 성부와 성자와 관련시켰다
4. 성령에 관하여 논증하는 것을 사람들이 과거 반세기 동안 회피하였다
D. 성령의 본성
1. 성령의 신성
2. 성령의 인격성
Ⅱ. 성령의 역사
A. 구약시대의 성령의 역사
1. 성령께서 천지창조의 대과업에 동참하셨다
2. 성령께서 선지자들로 그들의 예언과 말을 기록하게 하셨다
3. 성령께서 기술을 전승하게 하셨다
4. 성령께서 지도자들에게 치리하는 은사를 주셨다
5. 성령께서 사사들에게 카리스마적 지도력을 주셨다
6. 성령께서 이스라엘 왕에게 특별한 능력을 주셨다
7. 성령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의 영적생활속에 임재하셨다
8. 성령께서 메시야 위에 강림하셨다
B.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를 통한 성령의 역사
1. 성령께서 그리스도를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나시게 하셨다
2. 성령께서 세례받으신 예수님은 하나님 아들임을 증거하셨다
3. 성령에 이끌려 그리스도께서 광야에서 마귀와 대결하셨다
4. 성령의 권능에 의하여 예수님께서 이적을 행하셨다
5. 성령으로 예수님께서 성령세례를 베푸셨다
6. 성령을 훼방하는 자는 죄 사함을 얻지 못한다고 예수님께서 말씀 하셨다
C. 기독교신자의 생애를 통한 성령의 역사
1. 성령께서 생명과 봉사하는 능력을 주신다
2. 성령께서 계시하신다
3. 성령께서 성도들을 가르치시고 조명하신다
4. 성령께서 불신자들을 중생과 회심으로 시키시고 성도들을 성화시키신다
5. 성령께서 성도들에게 성령세례와 성령충만함을 주신다
6. 성령께서 성도들의 안에 거하시며 진리가운데로 인도 하신다
7. 성령께서 성도들을 하나가 되게 역사하신다
8. 성령께서 그를 훼방하거나 말로 거역하는 죄를 사하지 않으신다
9. 성령께서 성도들에게 영적은사를 주신다
제5편(第五篇) : 구원론(救援論)(The Doctrine of Redemption or Soteriology)
Ⅰ. 일반은혜
A. 일반은혜의 개요
1. 일반은혜의 의의
2. 하나님께서 일반은혜를 전인류에게 주시는 증거
B.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일반은혜를 주시는 목적
1. 일반은혜는 많은 인간을 구원에 이르도록 한다
2. 일반은혜는 하나님의 선하심과 자비를 나타내신다
3. 일반은혜는 죄인들로 하나님에게 영광을 돌리게 한다
C. 일반은혜의 교리에 관한 이론
1. 개혁파의 일반은혜에 관한 견해
2. 알미니우스 주의자의 일반은혜의 교리에 관한 견해
Ⅱ. 선택과 유기의 교리
A. 선택의 교리
1. 선택의 정의
2. 선택에 관한 성경적증거
3. 선택교리에 관한 올바른 이해
B. 유기의 교리
1. 유기의 의의
2. 유기의 교리에 관한 성경적증거
C. 선택교리를 반대하는 견해
1. 선택과 제한속죄교리는 성경의 가르침에 위배 된다
2. 선택교리는 택함을 받지 못한 자를 영벌에 처하는 것이다
3. 선택교리는 불공평하다는 것이다
Ⅲ. 구속의 적용순서와 단계별교리
A. 소명(召命)
1. 외적소명 혹은 복음소명
2. 내적소명 혹은 유효적소명
B. 중생(重生)
1. 중생의 의의
2. 중생의 본성
3. 중생에 관한 구원의 순서의 합당성
4. 중생은 필요불가결한 구원의 과정이다
5. 중생의 방편
6. 중생의 결과
C. 회심(回心, 회개와 신왕)
1. 회개
2. 신앙(信仰)
D. 칭의(稱義)
1. 칭의의 의의
2. 칭의에 관한 성경적 개념
3. 칭의의 특성
4. 칭의의 방편
5. 칭의의 결과
E. 입양(入養)
1. 입양의 의의
2. 입양에 관한 성경적증거
3. 입양의 시기
4. 입양의 결과
F. 성화(聖化)
1. 성화의 의의
2. 성화의 본성
3. 성화는 삼위의 하나님과 성도의 협력으로 완성된다
4. 성화과정의 여러 가지 단계
5. 성화는 성도의 전인에게 영향을 미치게 한다
G. 성도의 견인(堅忍)
1. 성도의 견인의 의미
2. 성도의 견인의 본성
3. 성도의 견인교리에 관한 성경적증거
4. 성도의 견인교리에 대한 반론
H. 영화(榮華)
1. 영화의 의미
2. 영화의 본성
3. 영화에 관한 성경적증거
4. 영화의 교리가 성도들에게 부여하는 특혜
제6편(第六篇) : 교회론(敎會論)(The Doctrine of Church or Ecclesiology)
Ⅰ. 교회의 본성
A. 교회의 정의와 형성
1. 교회의 정의
2. 교회의 본질
3. 교회의 형성
4. 가시적교회와 불가시적교회
5. 교회와 이스라엘의 관계
6. 교회와 하나님나라의 관계
7. 교회를 묘사하는 은유적표현
B. 진정한 교회와 허위교회를 식별하는 표지
1. 진정한 교회
2. 허위교회
3. 진정하고 허위된 교회
C. 교회의 통일성
1. 교회의 통일성의 의의
2. 교회의 속성으로서의 통일성
3. 교회통일의 본성과 통일방안에 대한 고찰
4. 신자들의 통일에 관한 신약성경의 교훈
5. 교회의 통일성에 관한 신학적고찰
6. 교회분리의 이유
D. 교회의 목적 혹은 역할
1. 교회의 목적 혹은 역할
2. 교회의 하나님께 대한 봉사는 예배를 드리는 것이다
3. 교회는 성도들을 영적양육 혹은 교화를 시킨다
4. 교회의 세상에 대한 봉사는 복음을 전파하는 것이다
Ⅱ. 교회의 권능
A. 교회의 영적투쟁
1. 영적권능
2. 봉사적권능
B. 교회의 권선징악(권징)
1. 교회권징의 의의
2. 교회권징의 목적
3. 교회권징의 대상이 되는 범죄
4. 교회권징의 실행방법
Ⅲ. 교회정치
A. 교회직원
1. 교회의 특수직원
2. 교회의 보통직원
B. 교회직원의 선출과 취임
1. 교위기관에 의한 선출
2. 교회회중에 의한 교회직원의 선출
3. 교회직원의 취임
C. 교회정치의 형태
1. 감독제도
2. 장로회제도의 원리와 그 형태
3. 회중교회제도
Ⅳ. 은혜의 방편
A. 유용한 은혜의 방편
1. 은혜방편의 의의
2. 교회내의 중요한 은혜의 방편
B. 중요한 은혜의 방편에 관한 개별적인 논증
1. 하나님의 말씀
2. 세례
3. 성찬
4. 기도
5. 예배
6. 교회의 권징
7. 구제
8. 영적은사
9. 친교
10. 전도
11. 개인을 위한 사적봉사
Ⅴ. 교회의 성례
A. 세례
1. 세례의 설정
2. 세례의 의의
3. 세례의 양식
4. 세례의 합당한 시행자
5. 세례의 합당한 대상자
B. 성찬
1. 성찬의 제정
2. 성찬의 의의
3. 성찬에 참여할 수 있는 자
Ⅵ. 예배
A. 예배의 정의와 목적
1. 예배의 정의
2. 예배의 목적
B. 진정한 예배의 결과
1. 우리는 하나님을 즐거워한다
2. 하나님은 우리를 즐거워하신다
3. 성도들은 하나님을 가까이 하게 된다
4. 하나님은 우리를 가까이 하신다
5. 하나님께서 우리를 교화하신다
6. 하나님께서 마귀를 소멸시키신다
C. 진정한 예배의 자세
1. 예배자는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를 드려야 한다
2. 예배자는 하나님의 임재를 체험할 때에 바른 자세를 갖게 된다
3. 예배자는 예배 인도자를 위하여 기도를 해야 한다
4. 예배자는 하나님을 가까히 해야 한다
5. 예배자는 찬양, 강도, 간구, 봉헌에 주력해야 한다
Ⅶ. 성령의 은사
A. 일반적인 영적은사
1. 영적은사의 의의
2. 구속사에 나타난 영적은사
3. 신약시대에 있어서의 영적은사의 목적
4. 영적은사에 관한 성경적증거
5. 영적은사의 능력은 동일하지 않다
6. 영적은사는 영구적인 소유가 아니다
7. 영적은사의 중지에 관한 논증
B. 특별한 영적은사
1. 예언
2. 가르침
3. 기적
4. 병 고침
5. 방언
제7편(第七篇) : 종말론(終末論)(The Doctrine of the Last Things or Eschatology)
Ⅰ. 개인적 종말론
A. 육체적인 사망
1. 육체적인 사망의 본성
2. 사망의 여러 가지 상태
3. 성도들의 사망의 의의
B. 영혼불멸설
1. 영혼불멸설에 관한 구약성경의 증거
2. 영혼불멸설에 관한 신약성경의 증거
C. 중간상태의 교리
1. 중간상태의 교리적용의 난점과 그 교리의 개관
2. 중간상태의 교리에 관한 성경적증거
3. 중간상태로서의 스올과 하데스교리
4. 중간상태에 관한 로마 카톨릭 교회의 교리
5. 영혼수면설
6. 영혼소멸설
7. 조건부 불멸설
Ⅱ. 일반적 종말론
A. 그리스도의 재림
1. 그리스도의 재림의 확실성
2. 그리스도의 재림의 징조와 재림전에 발생할 사건
3. 그리스도의 재림의 중요성
4. 그리스도의 재림의 시기, 목적, 양식
B. 부활
1. 죽은 자의 부활 혹은 육체적 부활의 의의
2. 부활에 관한 성경적증거
3. 부활의 본성
4. 부활의 시기
C. 천년왕국
1. 무천년설
2. 전천년설
3. 후천년설
D. 최후의 심판
1. 최후의 심판의 본성
2. 최후의 심판에 관한 성경적 증거
3. 최후의 심판의 시기
4. 최후의 심판의 실행원칙
5. 최후의 심판교리의 도덕적인 적용
E. 최후의 상태
1. 신자 혹은 의인의 최후의 상태
2. 불신자 혹은 악인의 최후의 상태
인명색인과 주제색인

저자소개

이범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예수 천국 불신 지옥>
펼치기
이범배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