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민족주의
· ISBN : 9788986370423
· 쪽수 : 307쪽
· 출판일 : 2007-11-17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chapter 1 실존열망, 근대국가를 열다
민족의 본질은 실존열망에 있다
‘민족’개념의 출현/ 근대, 실존을 위한 경연장/ 이데올로기인가 실체인가?/
민족주의는 실존열망을 실현하는 동력이다
민족국가의 전조/ 실존의 조건들/
민족주의의 전형은 있다
자유주의에 기초한 민족주의/ 민족정신에 기초한 민족주의/
계급혁명에 기초한 민족주의/
민족주의의 영향력은 여전하다
비판받는 민족주의/ 다시 등장하는 민족주의/
맺음
chapter 2 민족정신, 근대 한국민족주의를 이끌다
외세의 충격으로 점화된 민족의식
19세기 외세의 충격/ 일본의 근대화 과정/
영국과 러시아의 충돌/ 조선의 생존을 위한 몸부림/
민족운동의 전개과정 : 국권회복운동
위정척사운동과 의병전쟁/ 동학농민운동/ 개화·자강운동/
국채보상운동/ 독립청원운동/
민족운동의 전개과정 : 독립운동
불같은 민족혼, 의병전쟁/ 겨레가 하나 된 3·1운동/
독립운동의 구심체, 대한민국임시정부/
만주와 러시아. 독립전쟁 기지/
살신성인의 표상, 의열투쟁/ 국내 사회·문화투쟁, 대중운동으로 발전/
미주 독립운동, 외교와 선전의 무대/ 일제 심장부에서 민족 해방투쟁/
민족운동에 나타난 사상적 흐름
민권의식의 성장과 자강론의 대두/
국내 민족운동 : 사회주의 유입, 좌·우파 분화/
임시정부 : 공화제 채택, 좌우합작 노력
만주·러시아지역 : 여러 사상과 노선의 혼재/
민족운동이 남긴 몇 가지 논점
민족정신에 기초한 민족주의/ ‘못 갖춘’ 민족주의/
국가주의 경향/
맺음
chapter 3 민족정신의 결정체, 민족정기를 찾아서
민족정기란 무엇인가
민족정신과 민족정기/ 대한민국건국강령에 등장/
정기, 올곧은 기상/ 민족정기, 대의정신/
민족정기의 근대적 의미
정의관에 입각한 개인적 신념/ 민족자강의 원리/
근대국가의 정체성 형성/
맺음
chapter 4 남과 북으로 갈라진 정체성
되짚어 보는 광복과 분단의 과정
광복과 주변국의 움직임/ 해외 민족지도자들의 귀국/
서울에 집결한 민족지도자들/ 평양의 발 빠른 집권준비/
서울, 1947년까지도 혼미/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된 남과 북/
북한의 근대사 인식
독립운동사에 대한 북한의 시각/ 북한의 무장투쟁사 서술/
빨치산 무장투쟁 진위논쟁/
남·북의 정체성 논쟁
헌법으로 본 남북의 정체성/ 민족운동과 정체성/
정권수립 과정과 정체성/ 국가체제와 정체성/
맺음
chapter 5 우리 안에 있다
세계화 시대의 생존전략은 무엇인가?
동북아 질서 재편 움직임/ 한국의 국가전략/
한국의 진로, ‘민족’논쟁을 넘어
탈민족인가 민족인가?/ 한국민족주의의 진로/
시대정신을 찾아서
맺음
에필로그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