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아산의 시경강의 -상

아산의 시경강의 -상

김병호 (지은이)
소강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12,6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아산의 시경강의 -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아산의 시경강의 -상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86733303
· 쪽수 : 250쪽
· 출판일 : 2006-02-15

목차

일 러 두 기
서 문
총 론(總 論)
서(序)

주남(周南)(1)

제1편 관저(關雎 : 원앙새) ……………………………………………………… 41
제2편 갈담(葛覃 : 칡넝쿨) ……………………………………………………… 44
제3편 권이(卷耳 : 도꼬마리) …………………………………………………… 47
제4편 규목(?木 : 늘어진 나무) ……………………………………………… 50
제5편 종사(?斯 : 메뚜기) ……………………………………………………… 53
제6편 도요(桃夭 : 복숭아나무) ………………………………………………… 55
제7편 토저(兎? :토끼 그물) ……………………………………………………58
제8편 부이(?? : 질경이) ……………………………………………………… 60
제9편 한광(漢廣 : 한수는 넓고) ……………………………………………… 62
제10편 여분(汝墳 : 여수 가의 둑) ……………………………………………… 65
제11편 인지지(麟之趾 : 기린의 발) …………………………………………… 68

소남(召南)(2)

제1편 작소(鵲巢 : 까치집) ……………………………………………………… 73
제2편 채번(采? : 쑥을 뜯으며) ……………………………………………… 75
제3편 초충(草蟲 : 풀벌레) ……………………………………………………… 78
제4편 채빈(采? : 개구리밥을 뜯으며) ……………………………………… 80
제5편 감당(甘棠 : 아가위나무) ………………………………………………… 83
제6편 행로(行露 : 길에는 이슬이 내리고) …………………………………… 85
제7편 고양(羔羊 : 염소) ………………………………………………………… 88
제8편 은기뢰(殷其□ : 은은한 천둥 소리) …………………………………… 91
제9편 표유매(?有梅 : 매실을 따면서) ……………………………………… 93
제10편 소성(小星 : 작은 별들) ………………………………………………… 96
제11편 강유사(江有? : 강물은 갈리고) ……………………………………… 98
제12편 야유사균(野有死? : 들에서 죽은 노루) …………………………… 101
제13편 하피농의(何彼?矣 : 어찌 저렇게 무성할까?) ……………………… 103
제14편 추우(騶虞 : 아, 추우여!) ……………………………………………… 106

패풍(?風)(3)

제1편 백주(柏舟 : 잣나무 배) ………………………………………………… 111
제2편 녹의(綠衣 : 녹색 옷) …………………………………………………… 116
제3편 연연(燕燕 : 제비) ……………………………………………………… 119
제4편 일월(日月 : 해와 달) …………………………………………………… 122
제5편 종풍(終風 : 바람) ……………………………………………………… 126
제6편 격고(擊鼓 : 북을 치며) ………………………………………………… 129
제7편 개풍(凱風 : 선들바람) ………………………………………………… 133
제8편 웅치(雄雉 : 장끼) ……………………………………………………… 137
제9편 포유고엽(匏有苦葉 : 박의 쓴 잎) …………………………………… 140
제10편 곡풍(谷風 : 큰바람이 사납게) ………………………………………… 144
제11편 식미(式微 : 쇠함이여!) ……………………………………………… 152
제12편 모구(?丘 : 높은 언덕) ………………………………………………… 154
제13편 간혜(簡兮 : 씩씩하네) ………………………………………………… 157
제14편 천수(泉水 : 샘물) ……………………………………………………… 161
제15편 북문(北門 : 북문) ……………………………………………………… 165
제16편 북풍(北風 : 차고 서늘한 바람) ……………………………………… 168
제17편 정녀(靜女 : 차분하고 조용한 여자) ………………………………… 171
제18편 신대(新臺 : 빛나는 새 다락에서) …………………………………… 174
제19편 이자승주(二子乘舟 : 두 아들 배를 타고) …………………………… 177

용풍(?風)(4)

제1편 백주(柏舟 : 잣나무 배) ………………………………………………… 181
제2편 장유자(牆有茨 : 담장을 덮은 찔레) ………………………………… 183
제3편 군자해로(君子偕老 : 임과 함께 늙자고) …………………………… 186
제4편 상중(桑中 : 만나고자 한 곳은 상중이오) …………………………… 190
제5편 순지분분(?之奔奔 : 메추리도 짝지어) ……………………………… 193
제6편 정지방중(定之方中 : 정성이 남쪽에 비칠 때) ……………………… 195
제7편 체동(?? : 무지개) …………………………………………………… 199
제8편 상서(相鼠 : 쥐를 보고) ………………………………………………… 202
제9편 간모(干? : 기를 세우고) ……………………………………………… 204
제10편 재치(載馳 : 수레를 타고) ……………………………………………… 207

위풍(衛風)(5)

제1편 기욱(淇奧 : 기수의 저 물굽이) ……………………………………… 215
제2편 고반(考槃 : 즐거웁도다) ……………………………………………… 219
제3편 석인(碩人 : 귀하신 임) ………………………………………………… 222
제4편 맹(氓 : 한 사나이) ……………………………………………………… 227
제5편 죽간(竹竿 : 낚싯대) …………………………………………………… 235
제6편 환란(?蘭 : 박주가리) ………………………………………………… 239
제7편 하광(河廣 : 황하는 넓고) ……………………………………………… 241
제8편 백혜(伯兮 : 그이는) …………………………………………………… 243
제9편 유호(有狐 : 여우) ……………………………………………………… 246
제10편 모과(木瓜 : 나에게 모과를) …………………………………………… 248

왕풍(王風)(6)

제1편 서리(黍離 : 기장) ……………………………………………………… 255
제2편 군자우역(君子于役 : 임은 부역에 나가고) ………………………… 259
제3편 군자양양(君子陽陽 : 우리 님은) ……………………………………… 261
제4편 양지수(楊之水 : 잔잔히 흐르는 물결) ……………………………… 263
제5편 중곡유퇴(中谷有? : 골짜기에 익모초가 있네) …………………… 266
제6편 토원(兎爰 : 토끼는 깡충깡충) ………………………………………… 269
제7편 갈류(葛? : 치렁치렁 칡넝쿨) ………………………………………… 272
제8편 채갈(采葛 : 칡을 캐러 갈거나) ……………………………………… 275
제9편 대거(大車 : 큰 수레) …………………………………………………… 277
제10편 구중유마(丘中有麻 : 언덕에는 삼밭이 있는데) …………………… 280

정풍(鄭風)(7)

제1편 치의(緇衣 : 검은 그 옷) ……………………………………………… 285
제2편 장중자(將仲子 : 중자여!) ……………………………………………… 287
제3편 숙우전(叔于田 : 숙이 사냥 가니) …………………………………… 291
제4편 대숙우전(大叔于田 : 대숙이 사냥 가니) …………………………… 293
제5편 청인(淸人 : 청읍 사람) ………………………………………………… 298
제6편 고구(羔? : 염소 갖옷) ………………………………………………… 302
제7편 준대로(遵大路 : 큰길로 좇아서) ……………………………………… 304
제8편 여왈계명(女曰鷄鳴 : 닭이 우네요) …………………………………… 306
제9편 유녀동거(有女同車 : 한 수레를 탄 여자) …………………………… 310
제10편 산유부소(山有扶蘇 : 산에는 부소나무) ……………………………… 312
제11편 탁혜(?兮 : 마른 잎) …………………………………………………… 314
제12편 교동(狡童 : 교활한 사나이) …………………………………………… 316
제13편 건상(?裳 : 치마를 걷고) ……………………………………………… 318
제14편 봉(? : 반달 같은 의젓한 그대) ……………………………………… 320
제15편 동문지선(東門之? : 동문 밖 넓은 공지) …………………………… 323
제16편 풍우(風雨 : 비바람) …………………………………………………… 325
제17편 자금(子衿 : 그대의 옷깃) ……………………………………………… 327
제18편 양지수(楊之水 : 잔잔한 물결) ………………………………………… 330
제19편 출기동문(出其東門 : 동문을 나서니) ………………………………… 332
제20편 야유만초(野有蔓草 : 들판에 넝쿨이) ………………………………… 334
제21편 진유(溱洧 : 진수와 유수) ……………………………………………… 337

제풍(齊風)(8)

제1편 계명(鷄鳴 : 닭이 우네요) ……………………………………………… 343
제2편 선(還 : 날래기도 하네) ………………………………………………… 346
제3편 저(著 : 나를 문간에서) ………………………………………………… 348
제4편 동방지일(東方之日 : 동쪽의 해) ……………………………………… 351
제5편 동방미명(東方未明 : 동이 트기 전에) ……………………………… 353
제6편 남산(南山 : 남산) ……………………………………………………… 355
제7편 보전(甫田 : 큰 밭) ……………………………………………………… 360
제8편 노령(盧令 : 사냥개에 단 방울) ……………………………………… 363
제9편 폐구(?? : 해진 그물) ………………………………………………… 364
제10편 재구(載驅 : 수레를 타고) ……………………………………………… 367
제11편 의차(?嗟 : 아! 의젓한 사람) ………………………………………… 371

위풍(魏風)(9)

제1편 갈구(葛? : 칡신) ……………………………………………………… 377
제2편 분저여(汾沮? : 분수라 이 물가에) ………………………………… 379
제3편 원유도(園有桃 : 뒤안에 복숭아) ……………………………………… 382
제4편 척호(陟岵 : 바위산에 올라가서) ……………………………………… 385
제5편 십묘지간(十畝之間 : 텃밭에서) ……………………………………… 388
제6편 벌단(伐檀 : 박달나무를 베어) ………………………………………… 390
제7편 석서(碩鼠 : 큰 쥐) ……………………………………………………… 394
亞山의 詩經講義

당풍(唐風)(10)

제1편 실솔(?? : 귀뚜라미) ………………………………………………… 401
제2편 산유추(山有樞 : 산에는 참느릅나무) ………………………………… 405
제3편 양지수(楊之水 : 잔잔한 물) …………………………………………… 408
제4편 초료(椒聊 : 산초) ……………………………………………………… 411
제5편 주규(綢繆 : 나뭇단 묶자 하니) ……………………………………… 413
제6편 체두(?杜 : 아가위나무) ……………………………………………… 416
제7편 고구(羔? : 염소 갖옷) ………………………………………………… 419
제8편 보우(?羽 : 너새의 깃) ………………………………………………… 421
제9편 무의(無衣 : 옷이 없네) ………………………………………………… 424
제10편 유체지두(有?之杜 : 아가위나무가) ………………………………… 426
제11편 갈생(葛生 : 칡이 자라네) ……………………………………………… 428
제12편 채령(采? : 감초를 캐러) ……………………………………………… 432

진풍(秦風)(11)

제1편 거린(車? : 수레 소리 요란터니) …………………………………… 439
제2편 사철(駟? : 말은 네 필) ……………………………………………… 442
제3편 소융(小戎 : 병거) ……………………………………………………… 446
제4편 겸가(?? : 갈대) ……………………………………………………… 451
제5편 종남(終南 : 종남산에는 에헤야) ……………………………………… 454
제6편 황조(黃鳥 : 꾀꼬리) …………………………………………………… 457
제7편 신풍(晨風 : 새매) ……………………………………………………… 461
제8편 무의(無衣 : 옷이 없다면) ……………………………………………… 464
제9편 위양(渭陽 : 위수) ……………………………………………………… 466
제10편 권여(權輿 : 처음에는) ………………………………………………… 469

진풍(陳風)(12)

제1편 완구(宛丘 : 완구에서) ………………………………………………… 475
제2편 동문지분(東門之? : 동문에는 느릅나무) …………………………… 477
제3편 형문(衡門 : 초가집에서) ……………………………………………… 481
제4편 동문지지(東門之池 : 동문의 연못에는) ……………………………… 483
제5편 동문지양(東門之楊 : 동문의 버드나무) ……………………………… 486
제6편 묘문(墓門 : 묘문에서) ………………………………………………… 488
제7편 방유작소(防有鵲巢 : 방축에 까치집이) ……………………………… 490
제8편 월출(月出 : 달이 떴네) ………………………………………………… 492
제9편 주림(株林 : 주 땅의 숲에서) ………………………………………… 495
제10편 택피(澤陂 : 저 못 둑에는) …………………………………………… 497

회풍(檜風)(13)

제1편 고구(羔? : 염소 갖옷) ………………………………………………… 503
제2편 소관(素冠 : 흰 관을 쓰고) …………………………………………… 506
제3편 습유장초(?有?楚 : 진펄에는 쐐기풀이) …………………………… 508
제4편 비풍(匪風 : 바람은 일어나고) ………………………………………… 511

조풍(曹風)(14)

제1편 부유(?? : 하루살이) ………………………………………………… 517
제2편 후인(候人 : 저기 저 길잡이는) ……………………………………… 520
제3편 시구(?鳩 : 뻐꾸기) …………………………………………………… 523
제4편 하천(下泉 : 흐르는 샘물) ……………………………………………… 527

빈풍(?風)(15)

제1편 칠월(七月 : 7월이 되면) ……………………………………………… 533
제2편 치효(?? : 올빼미야) ………………………………………………… 545
제3편 동산(東山 : 동산에) …………………………………………………… 550
제4편 파부(破斧 : 도끼는 깨어지고) ………………………………………… 556
제5편 벌가(伐柯 : 도끼자루를 베고) ………………………………………… 559
제6편 구역(九? : 아홉 코의 고기 그물) …………………………………… 562
제7편 낭발(狼跋 : 늙은 이리) ………………………………………………… 565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