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86788181
· 쪽수 : 310쪽
· 출판일 : 2024-03-01
책 소개
목차
제1 장 서론 11
제1 절 계시철학의 시대적 맥락 이해 11
1. 신칼빈주의의 태동 11
2. 헤르만 바빙크와 계시철학 18
제2 절 계시철학 이해를 위한 본 서의 구성 21
1. 바빙크의 생애와 신학 21
2. 바빙크의 일반은총론 22
3. 계시철학의 본문 분석과 이해 23
4. ‘철학’과 ‘자연’과 ‘역사’를 중심으로 25
제2 장 헤르만 바빙크의 생애와 신학 28
제1 절 생애 29
1. 탄생과 교육 29
2. 목회 32
3. 캄펜신학교 교수 시절 32
4. 자유대학 교수 시절 36
5. 죽음 38
제2 절 신학 총론 39
1. 학문의 여왕으로서의 신학 39
2. 교의학 43
3. 계시 44
4. 성경과 유기적 영감론 46
5. 설교 48
6. 바빙크의 영향 49
제3 절 바빙크의 주요 저술들 51
1. 개혁교의학 52
2. 하나님의 큰일 58
3. 일반은총론 61
4. 신앙의 확신 65
제3 장 헤르만 바빙크의 일반은총론 71
제1 절 과학의 토대 73
제2 절 종교의 토대 74
제3 절 일반계시론 78
1. 로마 카톨릭의 계시론과 이원론 79
2. 종교개혁자들의 계시론 84
3. 일반계시의 역할 86
4. 일반계시의 불충분성 88
5. 일반계시의 보편성 91
6. 일반계시와 기독교 96
제4 절 특별계시 99
제5 절 계시의 절정으로서의 그리스도 102
제6 절 정리 104
제4 장 계시철학의 개념 106
제1 절 바빙크의 계시철학의 개념과 독특성 107
제2 절 계시철학의 가능성 109
제3 절 계시철학의 신학적 성격 112
제4 절 계시철학의 인간 이해 113
1. 인간은 초월적인 존재다 115
2.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어졌다 117
3. 인간은 종교적 존재이다 118
제5 절 계몽주의 사상의 흐름 119
1. 이신론 120
2. 진화론 121
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진화 사상 121
나. 다윈의 진화론 122
3. 헤겔의 절대정신 124
4. 신신학 125
5. 범신론 126
6. 바빙크의 비판 127
제6 절 계시철학의 시작 130
1. 계시의 실제성 131
2. 계시의 양식과 내용 132
3. 계시철학의 정의와 필요성 133
4. 계시철학의 방법과 궁극적 목표 136
제7 절 정리 139
제5 장 계시와 철학(I) 141
제1 절 철학 사상의 반복과 순환 142
제2 절 자연주의적 세계관 비판 145
제3 절 진화론의 한계 152
제4 절 실용주의 156
1. 실용주의의 등장 156
2. 실용주의 사상 159
3. 실용주의 비판 162
제5 절 정리 163
제6 장 계시와 철학(II) 166
제1 절 관념론 166
1. 관념론의 이해와 비판 167
2. 객관적인 실제의 실종 171
제2 절 자아와 계시 인식 173
1. 자아의 이해 173
2. 계시 인식의 장소: 자아 175
3. 자아(의식)과 정신 178
제3 절 자아의식을 지닌 인간의 특성 179
1. 의존적인 존재 180
2. 자율적인 존재 181
제4 절 인간의 계시 파악 능력 183
1. 인식하는 자아 183
2. 인간 정신의 능력 184
3. 계시의 장소로서의 의식 185
제5 절 계시철학의 근거 187
1. 계시 분석의 장으로서의 의식 187
2. 계시 파악의 절대적 기준(보편성, 필요성) 188
제6 절 절대 의존 감정과 절대자 190
제7 절 도덕과 예배의 존재로서의 인간 193
1. 인격적인 하나님과의 관계 193
2. 의존과 자유의 상호성 194
3. 계시와 예배 196
제8 절 철학의 기반으로서의 계시 196
1. 유신론적 기반 197
2. 계시와 진리의 점진성 198
3. 진리의 계시자 그리스도 200
제9 절 정리 201
제7 장 계시와 자연 205
제1 절 계시의 확신:
계시는 모든 사람에게 말을 걸고 있다 206
제2 절 자연과학으로서의 진화론 208
1. 작업가설로서의 진화 개념 209
2. 자연과학의 한계 211
제3 절 자연과학과 형이상학 215
1. 자연과학의 철학 217
2. 자연과학과 신앙 222
제4 절 인격적인 신 225
1. 창조의 다양성 225
2. 자연의 입법자 229
제5 절 자연과 기독교 231
1. 과학의 정신 232
2. 미신의 발생 235
3. 기독교의 우월성 238
제6 절 자연의 통합성 240
1. 다양성과 통일성 240
2. 계시를 통한 통합적 사고 242
3. 신, 인간, 자연의 유신론적 세계관 244
제7 절 인격적인 하나님과 계시의 필연성 246
1. 인간 실존과 하나님의 노여움 246
2. 죄를 드러내는 계시 247
3. 세계를 구원하시는 하나님 249
제8 절 정리 250
제8 장 계시와 역사 254
제1 절 자율에 기초한 역사 이해의 한계 256
1. 자연과학적 방법에 의한 이해 256
2. 개인적 신앙 요소에 의한 이해 259
3. 일원론과 진화론적 역사 이해 261
4. 역사철학에 의한 역사 이해 267
제2 절 계시 의존적 역사 이해 271
1. 당위로서의 역사 인식 272
2. 역사의 통일성 275
가. 신의 통일성 275
나. 인류의 통일성 278
3. 역사의 핵심으로서의 그리스도 281
가. 영원에 참여하는 인간 281
나. 다시 오시는 그리스도 282
다. 역사의 목적으로서의 충만한 하나님 나라 286 제3 절 정리 287
제9 장 결론 289
부록 295
I. 헤르만 바빙크와 그의 학문 297
II. 헤르만 바빙크의 인간 이해 300
III. 셸링의 계시철학에 대해 304
IV. 계시철학에 나타난 신칼빈주의 이해 306
참고문헌 317
저자소개
책속에서
“계시의 도입은 이제 인류 역사가 남겨둔 마지막 가능성이고, 이제까지의 모든 진리 문제를 해결할 열쇠가 된다. 그런 만큼 계시를 인정하고 받아들이지 않는 한 인류는 또 다른 한계에 부딪칠 것이다. 분명한 것은 이제까지의 인류에게 새로운 시도가 없어서 그 역사의 한계가 나타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문제는 계시를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이다.”
- 계시와 철학 중에서 -
“계시의 목적은 인간을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재창조하는 것이요. 지상에 하나님의 나라를 건설하는 것이다. 그것은 또한 세상을 죄의 세력에서 구속하는 것이요 만유 가운데 하나님의 이름을 영화롭게 하기 위한 것이다.”
- 일반은총론 중에서 -
“인격성은 인격성에서 비로서 탄생될 수 있지 이것은 단순한 일원론적인 물질의 세계에서 가능한 것이 아니다. 이렇게 일원론에 인격적인 것이 불가능하다면 그것은 인격적인 신으로부터만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하고 확신하는 것은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실제 성경의 하나님은 인간과 대화하시는 분이시다. 그래서 그분의 이름은 ‘말씀’이라고 한다.”
- ‘계시와 자연’ 중에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