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 말기의 실학자. 정조 때의 문신이며, 정치가이자 철학자, 공학자이다. 본관은 나주, 자는 미용(美庸), 호는 사암·탁옹·태수·자하도인(紫霞道人)·철마산인(鐵馬山人)·다산(茶山), 당호는 여유(與猶)이며, 천주교 교명은 요안, 시호는 문도(文度)이다.
1776년 정조 즉위 호조좌랑에 임명된 아버지를 따라 상경, 이듬해 이익의 유고를 얻어 보고 그 학문에 감동받았다. 1783년 회시에 합격, 경의진사가 되었고, 1789년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하고 가주서를 거쳐 검열이 되었으나, 가톨릭 교인이라 하여 탄핵을 받고 해미에 유배되었다. 10일 만에 풀려나와 지평으로 등용되고 1792년 수찬으로 있으면서 서양식 축성법을 기초로 한 성제(城制)와 기중가설(起重架說)을 지어 올려 축조 중인 수원성 수축에 기여하였다.
1794년 경기도 암행어사로 나가 연천현감 서용보를 파직시키는 등 크게 활약하였고, 1799년 병조참의가 되었으나 다시 모함을 받아 사직하였다. 정조가 세상을 떠나자 1801년 신유교난 때 장기에 유배, 뒤에 황사영 백서사건에 연루되어 강진으로 이배되었다.
다산 기슭에 있는 윤박의 산정을 중심으로 유배에서 풀려날 때까지 18년간 학문에 몰두, 정치기구의 전면적 개혁과 지방행정의 쇄신, 농민의 토지균점과 노동력에 의거한 수확의 공평한 분배, 노비제의 폐기 등을 주장하였다.
저서로 『목민심서』 『경세유표』 『정다산전서』 『아방강역고』 『마과회통』 『자찬묘지명』 『맹자요의』 『논어고금주』 『춘추고징』 『역학제언』 『상서지원록』 『주역심전』 『사례가식』 『상례사전』 『악서고존』 『상서고훈』 『매씨서평』 『모시강의』 『삼미자집』 등이 있다.
펼치기
정약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관은 압해押海, 자는 천전天全, 호는 손암巽庵·연경재硏經齋·일성루一星樓·매심재每心齋다.
1758년(영조 34) 경기도 광주 마현(남양주시 조안면)에서 정재원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장남은 정약현, 삼남은 정약종, 사남은 정약용). 어릴 때 고향 근처의 남한강에서 동생들과 낚시를 즐겨서, 장성한 후에도 동생 약용과 함께 성균관을 몰래 빠져나와 낚시를 갈 정도로 호기심 많고 활달한 성격이었다. 이익의 학문을 이어받았고, 권철신의 문하에서 공부했는데, 1783년(26세)에 진사가 된 무렵 이벽과 교유하면서 서학과 천주교를 접하고 관심을 가졌다. 1790년 규장각 초계문신이 되고 1797년 병조좌랑까지 오르지만, 한때 서학에 몸담았다는 사실 때문에 모함을 받으며 벼슬길이 좌절되었다. 정조가 갑자기 서거하자 이듬해인 1801년 신유사옥으로 동생 정약종과 매부 이승훈이 참수되고 정약전과 동생 정약용은 각각 신지도와 장기로 유배되었다. 그런데 그해 9월 조카사위 황사영의 백서사건으로 형제는 다시 각각 흑산도와 강진으로 유배되었다. 정약전은 유배 초기 6년을 소흑산도(우이도)에서 보냈는데, 감시가 너무 심해서 환멸을 느껴서 흑산도 사미촌(신안군 흑산면 사리)으로 옮겼고, 이후 아우 약용이 유배에서 풀릴 듯하다는 소식에 조금이라도 뭍과 가까운 곳에 있고자 다시 소흑산도(우이도)로 넘어왔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동생을 다시 보지 못하고 1816년 6월 6일 우이도에서 59세의 나이로 일생을 마쳤다. 저서로는 《자산어보》, 《표해시말》, 《송정사의》 등이 있다.
펼치기
정해렴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39년 경기도 파주에서 출생하여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1964년부터 교학도서·신구문화사·을유문화사 편집부에서 근무했고, 1976년부터 창작과비평사 편집부장·대표·고문, 1997년부터 현대실학사 대표를 역임했다. 출판계에 입문한 이후 1,000여권의 책을 편집·교정·편역했다. 정약용의 대표적인 저술인 일표이서와 실학·문학 저서를 완역하거나 편역하고, 『지봉유설』 『성호사설』 등 조선 실학자들의 주요 저작을 편역했다. 또한 홍기문·김태준·문일평·안확·신채호 등의 주요 저술을 정리해 총서로 간행하기도 했다. 저서로 『편집·교정 반세기』 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