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담속찬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실학
· ISBN : 9791143004871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25-06-06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실학
· ISBN : 9791143004871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25-06-06
책 소개
다산 정약용이 모으고, 번역하고, 편집한 속담집. 다산의 저술 가운데 가장 먼저 상업 출판물로 제작되면서, 민간에 널리 알려진 다산의 대표 저술이다. ‘이담의 속찬’이라 밝히듯이 중국 문인 왕동궤의 《이담》의 중국 속담 가운데 177개를 발췌·재편한 것에, 민간에서 우리말로 구전되던 조선의 속담 214개를 한역해 완성했다.
다산 정약용이 모으고, 번역하고, 편집한 속담집
여러 문헌에 산재된 속담을 한곳에 모아 정리한 한국 최초의 작업
단순한 속담집을 넘어 다산의 학문적 지향과 지식의 재구성 방식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저작
《이담속찬(耳談續纂)》은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이 모으고, 번역하고, 주석을 붙여 정리해 1820년에 완성한 속담집이다. 다산의 수많은 저술 가운데 가장 먼저 상업 출판물로 제작되면서, 민간에 널리 알려진 다산의 대표 저술이다. 여러 문헌에 산재해 있는 속담을 한곳에 모아 정리한 한국 최초의 작업이기도 하다. 표제에서 ‘이담(耳談)의 속찬’이라 밝히고 있듯이, 《이담속찬》은 중국 문인 왕동궤의 《이담(耳談)》의 중국 속담 가운데 177개를 발췌·재편한 것에, 민간에서 우리말로 구전되던 속담 214개를 한역해 완성한 책이다. 우리 속담 214장에는 모두 운(韻)을 붙인 것이 특징이다. 4개를 제외한 모든 속담이 4언 2구의 시(詩) 형태로 리듬감 있게 번역되어 있다. 구전되던 우리말 속담의 운율이나 대구(對句) 구조를 고려한 다산의 기획과 번역 결과물은 다른 어떤 속담집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다산은 오랜 시간을 들여 여러 차례 원고를 수정해 《이담속찬》을 완성했다. 특히 서문에는 편찬 과정에서 참고한 서적과 속담을 수집하는 과정이 명시되어 있다. 《이담속찬》과 관련된 초고 성격의 자료도 전하고 있어, 《이담속찬》은 단순한 속담집을 넘어 다산의 학문적 지향과 지식의 재구성 방식을 탐색할 수 있는 중요한 저작이다.
《이담속찬》은 1820년에 편찬된 이래 여러 형태로 제작되었다. 대표적으로 다산의 문집에 다른 작품과 함께 수록되어 전하는 전서본 계열과 《이담속찬》만 단독으로 제작되어 유전된 단행본 계열이 있다. 그간 번역·소개되었던 《이담속찬》은 이본에 대한 고려 없이 오탈자가 많은 20세기의 활판본을 저본으로 했기에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이번 책은 제작된 시점과 완성도 면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자료인 다산의 문집 《열수전서속집(洌水全書續集)》 속의 《이담속찬》을 저본으로 삼았다. 오랜 시간 《이담속찬》을 연구해 온 임미정 교수가 정확한 번역으로 다산이 의도했던 속담집의 원형을 소개한다.
여러 문헌에 산재된 속담을 한곳에 모아 정리한 한국 최초의 작업
단순한 속담집을 넘어 다산의 학문적 지향과 지식의 재구성 방식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저작
《이담속찬(耳談續纂)》은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이 모으고, 번역하고, 주석을 붙여 정리해 1820년에 완성한 속담집이다. 다산의 수많은 저술 가운데 가장 먼저 상업 출판물로 제작되면서, 민간에 널리 알려진 다산의 대표 저술이다. 여러 문헌에 산재해 있는 속담을 한곳에 모아 정리한 한국 최초의 작업이기도 하다. 표제에서 ‘이담(耳談)의 속찬’이라 밝히고 있듯이, 《이담속찬》은 중국 문인 왕동궤의 《이담(耳談)》의 중국 속담 가운데 177개를 발췌·재편한 것에, 민간에서 우리말로 구전되던 속담 214개를 한역해 완성한 책이다. 우리 속담 214장에는 모두 운(韻)을 붙인 것이 특징이다. 4개를 제외한 모든 속담이 4언 2구의 시(詩) 형태로 리듬감 있게 번역되어 있다. 구전되던 우리말 속담의 운율이나 대구(對句) 구조를 고려한 다산의 기획과 번역 결과물은 다른 어떤 속담집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다산은 오랜 시간을 들여 여러 차례 원고를 수정해 《이담속찬》을 완성했다. 특히 서문에는 편찬 과정에서 참고한 서적과 속담을 수집하는 과정이 명시되어 있다. 《이담속찬》과 관련된 초고 성격의 자료도 전하고 있어, 《이담속찬》은 단순한 속담집을 넘어 다산의 학문적 지향과 지식의 재구성 방식을 탐색할 수 있는 중요한 저작이다.
《이담속찬》은 1820년에 편찬된 이래 여러 형태로 제작되었다. 대표적으로 다산의 문집에 다른 작품과 함께 수록되어 전하는 전서본 계열과 《이담속찬》만 단독으로 제작되어 유전된 단행본 계열이 있다. 그간 번역·소개되었던 《이담속찬》은 이본에 대한 고려 없이 오탈자가 많은 20세기의 활판본을 저본으로 했기에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이번 책은 제작된 시점과 완성도 면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자료인 다산의 문집 《열수전서속집(洌水全書續集)》 속의 《이담속찬》을 저본으로 삼았다. 오랜 시간 《이담속찬》을 연구해 온 임미정 교수가 정확한 번역으로 다산이 의도했던 속담집의 원형을 소개한다.
목차
이담속찬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에서
왕씨(王氏)의 《이담(耳談)》은 고금(古今)의 속담을 모은 것이다. 경서(經書)와 사서(史書)에 쓰여 있는 것도 빠진 것이 꽤 있어서 지금 다시 수록했고, 승지 석천(石泉) 신작(申綽)이 10여 장을 채록해 도와주었다. 이어 성호(星湖) 선생의 《백언해(百諺解)》를 생각해 보니 곧 우리나라의 속담인데 모두 운을 맞추지 않았다. 이제 운을 붙일 만한 것을 골라서 운을 붙이고, 이어서 또 빠진 것을 수록했다. 돌아가신 둘째 형님이 흑산도에 계실 때에 또 수십 장을 보내 주셨으므로, 지금 모두 합해 편집하고 이름을 《이담속찬(耳談續纂)》이라 했다. / 가경(嘉慶) 경진(庚辰, 1820) 봄에 철마산초(鐵馬山樵)가 쓰다.
- <서문> 중에서
관을 파는 자는 해마다 역병을 바란다.
鬻棺者, 欲歲之疫.
……
《한서(漢書)》 <형법지(刑法志)>. ○우리나라 속담에 “곡식을 파는 자는 해마다 기근을 바란다”고 했다.
<刑法志>. ○東語云 : “積糶者, 欲歲之饑.”
부뚜막의 소금도 집어넣어야 짜다.
在灶之鹽, 擩之乃鹹.
……
사물의 문채가 비록 갖추어졌어도 사람의 공이 마땅히 중요하다는 말이다.
言物采雖具, 人功宜急.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