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준 아파두라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인류학자. 인도 뭄바이에서 태어났다. 미국 브랜다이스 대학교를 졸업하고, 시카고 대학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뉴욕의 뉴스쿨 대학교 사회과학부 존 듀이 석좌교수를 지냈으며, ‘글로벌 이니셔티브(Global Initiatives)’의 상임고문을 역임했다. 현재 뉴욕 대학교 미디어·문화·커뮤니케이션 고더드 석좌교수(Goddard Professor of Media, Culture, and Communication)이며, 뭄바이 소재 비영리기관인 PUKAR(Partners for Urban Knowledge Action and Research)의 창립자이자 의장이다. 포드 재단·록펠러 재단·맥아더 재단 등 다양한 기구와, 유네스코, 세계은행, 국립과학재단의 자문관을 맡고 있기도 하다. 지은 책으로 ≪고삐 풀린 현대성≫ 등이 있다.
펼치기
채호석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한국근대문학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 문학의 위기, 위기의 문학』, 『 한국근대문학과 계몽의 서사』, 『 청소년을 위한 한국현대문학사』, 『 식민지시대 문학의 지형도』 등이 있다.
펼치기
차원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1년 「세계의 문학」을 통해 문학평론가로 등단했으며, 2007년 현재 경주대 한국어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한국 근대소설의 이념과 윤리>가 있다.
펼치기
배개화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사(1993.2), 그리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손창섭 소설의 욕망구조 연구」로 석사(1995.8) 학위와 「1930년대 후반 전통담론의 탈식민성 연구」로 박사(2003.2) 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논저는 『한국문학의 탈식민적 주체성: 이식문학론을 넘어서』(창비, 2009)가 있으며, 대표 논문으로는 「민족어, 민족문학, 리얼리즘: 임화의 경우」(2008), 「전선문학에 나타난 한국전쟁의 이데올로기와 전쟁 체험의 문학화 방식」(2008), 「1930년대 말 치안유지법을 통해 본 조선문학들」(2009), 「이태준: 해방기 중간파 문학자의 초상」(2010), 「당, 수령, 그리고 애국주의: 이태준의 경우」(2012), 「이태준, 최대다수의 행복을 꿈꾼 민주주의자−해방 이후 이태준의 사상과 문학」(2015), 「한 탈북 여성의 국경 넘기와 초국가적 주체의 가능성−이현서의 영어 수기를 중심으로」(2017), 「조선의 불균형 발전과 식민지 모더니즘」(2019), 「한국전쟁기 북한문학의 ‘애국주의’ 형상화 논쟁」(2020), 「탈북작가들의 소설을 통해 본 북한에서의 ‘시장 경쟁’」(2022) 등이 있다. 미국 하버드대학교 소재 옌칭연구소(Harvard–Yenching institute)에서 visiting fellow(2003.9~2005.2)와 visiting associate(2015.3~2016.2)로 현대한국문학을 연구하였으며, 현재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교수로 재직 중(2008.3~현재)이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