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실학
· ISBN : 9788987350998
· 쪽수 : 504쪽
· 출판일 : 2007-04-30
책 소개
목차
서론
제1부 주자학과 서학에 대한 비판적 종합
1장 주자학과 서학의 사유 체계
I. 주자학의 사유 체계
1. 형이상학적 우주론과 인간론
2. 중화신설의 심성론과 수양론
3. 인심도심설의 철학적 의미
II. 『천주실의』의 사유 체계
1. 중세 스콜라철학적 세계관
2. 경험론적 실체론과 인간론
3. 주지주의적인 자유의지의 윤리학
2장 정약용의 서학 수용과 주자학 비판
I. 정약용의 『천주실의』의 관점 수용
1. 인격적 상제관과 경험론적 실체론의 수용
2. 인간의 고유성과 자유의지에 대한 숙고
II. 정약용의 주자학 비판
1. 태극과 이일의 형이상학 비판
2. 인의예지의 본성론 비판
3. 미발 함양의 수양론 비판
3장 주자학의 부분적 수용과 서학에 대한 거리 두기
I. 주자학에 대한 부분적 수용
1. 주자 인심도심설의 철학적 함축 수용
2. 주자 『중용혹문』의 중화설 수용
3. 주자학의 철학사적 가치에 대한 인정
II. 정약용과 『천주실의』 사이의 거리
1. 천주와 다른 상제의 의미와 역할
2. 형상인으로서의 성 개념에 대한 비판
3. 주지주의적 심론과의 차이
제2부 정약용 철학 체계의 고유성
1장 고대유학의 재발견
I. 고대유학의 상제와 인간에 관한 재조명
1. 상제의 의미와 역할
2. 인간의 선천적인 도덕 욕구
II. 고대유학의 심성론과 수양론에 대한 통찰
1. 신독과 중용의 의미
2. 극기복례와 대체소체론
3. 효제자와 덕의 실현
2장 정약용 심성론의 구조
I. 성기호설 논증과 철학적 함축
1. 성기호설의 의미
2. 본연지성에서 천명지성으로의 전회
3. 천명지성을 위한 두 가지 논증
II. 인심도심설과 정약용의 심성론
1. 「대우모」 16자 심법에 대한 고증
2. 정약용의 주자 비판의 취지
3. 『심경밀험』과 「염씨고문소증초」의 심성론 체계
3장 정약용의 수양론과 경세학
I. 신독의 수양론과 서의 실천론
1. 신독 공부와 집중 공부
2. 서의 실천 원리와 인의 실현
II. 경학을 통한 경세학의 모색
1. 정약용 경세학의 배경과 구조
2. 정약용 경세학의 경학적 기초
결론
보론 정약용에 대한 기존 연구 경향과 그에 대한 반성
1. 들어가는 말
2. 유학적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한 연구
3. 서학과의 관련성을 강조한 연구
4. 서학과 유학의 관계에 대한 중도적 입장의 연구
5. 나가는 말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정약용에 의하면 권형 역시 상제로부터 우리에게 주어진 것으로, 선을 향할 수도 혹은 악을 행할 수도 있는 이중적 가능성을 지닌 능력이다. 한편 악을 행할 수 있는 가능성도 불가피한 육체적 조건으로 인해 우리 의지와 관계없이 애초부터 미리 주어져 있다. ...바로 이런 의미에서 정약용은 우리가 일부의 책임을 피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할 수 있지만 그런 기대는 버리라고 경고한다.-p111 중에서
정약용의 철학 체계는 주자학과 서학에 대한 비판적 종합의 과정으로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그는 자신의 철학 체계를 고대유학의 경전들을 재해석하는 데 성공적으로 적용시킴으로써 자신의 체계가 지닌 정당성을 최종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p401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