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종교학 일반
· ISBN : 9788936480622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4-11-22
책 소개
목차
서문 백낙청
1장 세계종교에 담겨 있는 개벽사상
백낙청·오강남
다시 읽는 『개벽사상과 종교공부』│세계적 맥락에서 돌아본 동학│개벽사상의 보편성│한국 근대화와 ‘천지공사’의 의미│신비주의 문제와 심층종교로서 원불교│원불교의 윤회설은 표층종교적인가│개벽을 말한 신학자들: 슈바이처와 본회퍼│유영모와 함석헌의 개벽│개벽의 관점에서 본 기독교 종말론│세계종교의 종말론과 개벽│종교 대화의 가능성을 찾아서: 3대 종교를 중심으로│종교다원주의와 ‘종교 내적 대화’의 길│예수의 부활은 사실인가, 상징인가│그리스도교가 현대의 심층종교로 거듭나려면│과학주의적 합리주의를 경계하며│예수의 세가지 선물과 ‘시천주’│‘세상을 바꾸는 영성’의 필요성│세상을 바꾸려 했던 싸움꾼 예수와 개벽종교
2장 물질개벽 시대, 유교의 현대화는 어떻게 가능한가
백낙청·백민정
대화를 시작하며│왜 ‘귀신의 공공성’인가│다산의 귀신, 수운의 상제│인격적 상제 개념의 변천│영적 체험의 갈망을 채워준 법신불 ‘사은’의 의미│소태산의 「최초법어」와 유교의 ‘수신제가치국평천하’│유교와 원불교 공부론의 비교│윤회론의 확장성│다시, 근대와 근대성의 문제│물질개벽 시대의 유교적 현대성이란│개벽사상으로 유교의 한계를 극복한다면
3장 K사상의 세계화를 모색하는 원불교
백낙청·전도연
대화를 시작하며│원불교에서 물질과 정신, 초월적 유일신의 문제│‘일원상’에 담긴 동아시아의 종합적 사유│수운과 소태산의 비교│‘윤석열도 부처인가?’라는 질문에 대하여│종교의 국한을 벗어난다는 것│‘삼학팔조’와 ‘사은사요’│원불교의 공 사상과 윤회│‘정신의 지도국’이 되기 위하여│K사상의 세계화를 향한 길
4장 인간해방의 논리와 개벽사상
백낙청·이보현
『인간해방의 논리를 찾아서』를 함께 읽으며│‘복수로부터의 해방’과 서양 형이상학의 극복 문제│본질적 진리 탐구와 과학│한반도 개벽사상과 인간해방│윤회의 논리│윤회론과 개벽사상│지상의 유일한 신, 인간
보론 하이데거와 후천개벽사상의 만남
백낙청·고명섭
대화를 시작하며│어떻게 하이데거와 만나게 되었나│로런스와 하이데거 존재 개념의 비교│하이데거의 시대인식│하이데거의 기술시대 논의와 후천개벽사상│하이데거의 휴머니즘 비판과 천지인 사상│하이데거와 동아시아의 대화: 진리 개념을 중심으로
부록 주요 인명 해설·찾아보기·이미지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