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취화선

취화선

유중하, 김소영, 최정무, 아드리앵 공보, 데이빗 제임스, 이향진 (지은이), 연세대미디어아트연구소 (엮은이)
삼인
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취화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취화선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야기
· ISBN : 9788987519968
· 쪽수 : 152쪽
· 출판일 : 2004-01-10

책 소개

영화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한 권에 담아 단순한 인상 비평을 넘어 치밀한 영화 분석을 시도한다. 프랑스 필자 아드리앵 공보는 '얼룩과 형태'란 글에서 예술은 창조보다는 질료의 변형이라며, <취화선>의 에토스를 예술가의 바람직한 이상으로 높이 평가한다.

목차

'영화와 시선'을 펴내며
책을 펴내며

'취화선'과 한국 영화사 - 김소영
'취화선' : 근대와 멜랑콜리 - 최정무
'양화' 문외한의 이야기 - 유중하
얼룩과 형태 : 예술가와 질료 - 아드리앵 공보
예술, 영화, 예술 영화 : '취화선'과 그 동류 영화들 - 데이빗 제임스
민중 콤플렉스와 신선 이야기 : '한국 영화', 정체성의 정치학 - 이향진

감독 인터뷰
주석

저자소개

유중하 (엮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에서 중문학을 공부하고 같은 대학교에서 중문학을 가르쳤습니다. 중국 문학을 공부하면서 중국의 근대 작가인 루쉰에 관한 글을 많이 썼습니다. 아이들이 눈높이에 맞는 『삼국지』를 통해 유비, 관우, 장비, 조조 등 여러 인물들의 인품과 의리와 열정과 냉철함을 두루 만났으면 하는 바람을 담았습니다. 쓴 책으로 『화교 문화를 읽는 눈, 짜장면』, 『검은 유혹, 맛의 디아스포라 짜장면』 들이 있습니다.
펼치기
김소영 (엮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교, 듀크대학교 등에서 한국영화사를 가르쳤고,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상이론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파국의 지도: 한국이라는 영화적 사태>(2014), <근대의 원초경: 보이지 않는 영화를 보다>(2010), <한국영화 최고의 10경>(2010), <근대성의 유령들: 판타스틱 한국영화>(2000), <시네마, 테크노 문화의 푸른 꽃>(1996) 등이 있으며, 편저로 <트랜스: 아시아 영상문화>(2006), <아시아 영화의 근대성과 지정학적 미학>(2009), Electronic Elsewheres: Media, Technology and the Experience of Social Space(2009) 등이 있다. ‘김정’이라는 이름으로 제3회 서울여성영화제 개막작 [거류](2000)를 비롯해 [황홀경](2002), [원래 여성은 태양이었다: 신여성의 퍼스트 송](2004) 등 여성사 3부작 다큐멘터리와 장편영화 [경](2009), 그리고 중앙아시아 고려인을 다룬 다큐멘터리 [김 알렉스의 식당: 안산-타슈켄트](2014), [Heart of Snow: 슬픔이 우리를 데려가는 곳](2014)을 연출했다.
펼치기
최정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 독문과와 국문과를 졸업하고 인디애나대학 민속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캘리포니아 어바인대학(UC lrvine)의 동아시아 어문학교수로 있으며, 듀크대학에서 발행하는 문화연구 잡지 <Position>의 책임편집위원이다. <위험한 여성(Dangerous Women: Gender and Korean Nationalism)>을 편집했으며, 한국의 여성문제, 민족주의, 현대성, 포스트식민주의 등에 관한 연구활동을 해오고 있다.
펼치기
아드리앵 공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의 영화 잡지 Positif의 기자. 한국 영화와 관련한 글을 많이 쓰고 있다.
펼치기
데이빗 제임스 (사진)    정보 더보기
캠브리지대학과 펜실베이니아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했다. 뉴욕대학, 고려대학, 상하이대학, 베이징대학 등에서 강의했으며 현재 남캘리포니아 대학 영화·텔레비전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엮은 책으로 <임권택: 한국 민족 영화의 성립>이 있다.
펼치기
이향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리브 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현재 영국 셰필드 대학교 동아시아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 <Contemporay Korean Cinema: Identity, Politics and Culture>가 있다.
펼치기
연세대미디어아트연구소 (엮은이)    정보 더보기
인문학적 상상력+첨단 테크놀로지+예술적 상상력을 모토로 21세기 디지털 시대의 문화 예술 현상들을 학제간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1998년 5월에 설립되었다. 매체와 예술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많은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으며 해부 과정에 영상예술학 연계 전공을 개설 운영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