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국격의 그림들

국격의 그림들

(나는 동방예의지국의 젊은이들을 믿었다)

장우주 (지은이)
글마당
3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2개 2,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국격의 그림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국격의 그림들 (나는 동방예의지국의 젊은이들을 믿었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87669953
· 쪽수 : 720쪽
· 출판일 : 2014-04-18

목차

추천사; 백선엽, 김점곤 장군
프롤로그

Ⅰ장/ 어린 독립 투사
1. 내 고향
2. 내 어릴 때 일들
3. 일본의 우민화 정책
4. 함흥 공립상업학교
5. 독립운동의 첫걸음
6. 어린 독립투사
7. 38선을 넘어 남한으로
8. 큰 뜻을 품다

2장/ 군 생활
9. 조선 경비대, 육군사관학교
10. 우정과 이념
11. 아버님의 환갑
12. 우연한 인연
13. 통위부 근무
14. 대한민국 국방부
15. 이규갑 목사님 부부와의 만남, 그리고 결혼
16. 육군본부 군수국을 거쳐 헌병사령부로
17. 전쟁 발발과 시흥에서 수원을 거쳐 천안 으로
18. 다시 천안에서 대전, 대구로
19. 世紀의 想夫戀
20. 북진- 서울로 평양으로 원산으로
21. 1?4 후퇴
22. 정예 2군단 창설 - 백 전투사령부로
23. 탄약보급률 ARS의 엄격한 통제와 벤 플 리트 장군
24. 생애 첫 미국 유학길에 오르다
25. 한국을 알리다
26. 고된 실전교육훈련
27. 즐거운 크리스마스 휴가
28. 알라바마 농장으로의 초대
29. 귀국후 인사쇄신의 중책을 맡다
30. 6사단 7연대장- 월남 군사시찰단
31. 군 사령부 인사참모 그리고 2차 미국
유학
32. 이승만 대통령의 특별한 외교관 발탁
33. 믿고 맡기는 백선엽 장군식 인사-
나는 외롭고 힘든 길을 걸어야 했다
34. 40일 간의 미국 시찰 교육
35. 국방대학원
36. 제3사단장으로 부임하여
37. 5.16군사혁명- 지휘관의 결심
38. 혼돈의 3일간
39. 사단이름을 ‘백골부대’로 바꾸고
40. 죽어도 백골, 살아도 백골
41. 지휘검열- 사단장은 할 일도 많았다
42. 군 사격대회- 실탄으로 승부하는 전투
능력 평가
43. 국민들의 관심- 일선 장병들을 위하여
44. 대통령 부대 표창 - 백골부대는 해냈다
45. 박정희 의장의 방문- 병사들과의 축배
46. 월남파병을 고려한 미국의 한국군 전력 평가
47. 정든 백골부대를 떠나며

3장/ 국가 대전략을 위한 합동참모본부
신설과 국방기구 개편
48. 국방기구 개편
49. 새로운 국방부 장관
50. 박정희 대장의 전역식
51. 이루 말할 수 없게 실패한 디너-
그리고 그 결과는…
52. UN 군사정전위원회 한국 수석대표
53. 미 상하원 의원들의 판문점 방문
54. 휴전 10주년의 해에 생긴 사건들
55. 미군 부대 주변에서 일어난 인명 살상 사고

4장/ 월남 파병
56. 브라운 미 대사와 한일회담 그리고 월남 파병
57. 월남파병의 전주곡
58. 월남 탐색전- 현장답사
59. 또 하나의 월남 탐색전-고위회담
60. 월트 휘트먼 로스트 박사
61. 원 vs. $
62. 미국에서의 새로운 탐색전
63. 미 국무성
64. 고삐 풀린 황소와 문관 우위
65. 미 의회 의원들의 후원
66. 비전투부대 월남파병
67. 번디 국무차관보 국방부회의
68. 하라키리- 손으로 배를 가르며
69. 박 대통령이 주재한 방미 준비회의
70. 한미 정상회담
71. 박정희 대통령 초청 리셉션
72. 브라운 각서
73. 미국과의 월남파병 협상 후일담
74. 월남파병 등 3년간의 국방부 임무를
마치면서
75. 전방에서의 파월부대 훈련 그리고 기동 훈련

5장/ 국가 군사전략의 발전
76. 이스라엘과의 소중한 인연
77. 육군의 미래 지향적 혁신
78. 전략 기획과 육사 생도들의 순수한
눈망울
79. 코레히도르-금문교-콜로라도
80. 왕과 나
81. 월남전선-사이공
82. 퀴바디스?

6장/ 국제정치학과 국내정치의 현실
83. 인생의 또 다른 전환점에서
84. 어렵게 떠난 미국 유학길
85. 하버드대학에서의 국제문제 연구
86. 국제문제 연구- 남북한 긴장 완화
87. 캠브리지 그리고 하버드 스퀘어
88.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최고경영자 과정 (AMP)

7장/ 남북회담의 물꼬를 트다.
89. 귀국 그리고 새로운 일들
90. 역사적 남북회담의 대임을 맡다
91. 통일에 대한 국민의 희망과 현실
92. 회담사무국 조직 편성
93. 회담 준비
94. 아델만 박사
95. 남북 직통전화 개통
96. 통일로
97. 회담사무국 건물 신축
98. 남북회담을 향한 우정어린 관심
99. 서울이 변하고 있었다
100. 강대국들의 이해관계와 남북회담
101. 역사의 전환점에서의 한미 협조
102. 예비회담
103. 남북 적십자회담 의제
104. 음지와 양지
105. 물꼬가 트였다
106. 평양 제1차 본회담
107. 북녘 손님맞이
108. 서울 본회담
109. 회상
110. 북측 손님을 보내던 날
111. 졸업장
112. 남북회담 에필로그

8장/ 해외건설? 한국해외건설주식회사 사장
113. 다시 나라의 명을 받고 중동 건설시장 진출
114. 25개 건설사들을 이끌고 중동으로
115. 또 하나의 축복
116. 미국의 자랑, 미 공병단
117. 캐피톨 힐의 오랜 친구들
118. 세계 비즈니스의 중심 뉴욕
119. 미 지중해 공병사령부
121. 유럽, 일본, 자유중국
122. 출장 귀국 보고
123. 박 대통령의 집념
124. 박 대통령의 격려금 일금 십만 불
125. SNEP
126. 다시 중동으로
127. 힐링던 병원과 대~영제국
128. 다시 사우디로
129. 타우피크 장관
130. 이란 진출의 기반 조성
131. 내가 주최한 나의 송별회

9장/ 해외건설 - 현대 그룹 6개 회사 사장
132. 다시 백골정신으로
133. 결심의 기본-국가 이익
134. 정주영식 OJT
135. 하이드 파크 담판
136. 월리엄 헬크로우 사
137. 외국에서의 경영자 수업
138. 기업의 전략·전술
139. 경영 일선에서
140. 좋은 정보는 즉시 행동으로
141. 회장의 독특한 인사
142. 주베일 산업항- 계약과 은행연합보증
143. 새로운 도전
144. 사우디 지도자들이 보는 한국
145. 한국 대사관
146. 주 사우디 미 대사관 방문
147. 쿠웨이트- 경제협력 3단계 전략
148. 이스라엘 보이콧 위원회
149. 야심찬 현대의 사장 인사
150. 주베일 산업항 폭동
151. 커미션
152. 왕은 등불을 밝히셨다
153. 호사다마
154. 우리의 인사말 “진지 잡수셨습니까?”
155. 박 대통령과의 마지막 만남
156. 나는 동방예의지국의 젊은이들을
믿었다
157. 알라신의 작품
158. 어떤 싸움 말리기
159. 클레오파트라- 현대
160. 왕의 행차
161. 왕자 장관의 약속- 약속은 현실로 나타 났다
162. 비행기 안의 대서방
163. 아프리카 자원을 잡아라
164. 뒷거래
165. 지휘관
166. 신화는 없었다
167. 스쳐 지나간 이야기
168. 이란 철수
169. 이삭줍기
170. 이란- 이라크 전쟁
171. 협상과 비키니의 효과
172. 정성 ‘해보기나 했어?’
173. 자식 생각
174. 신문 가십
175. 귀환
176. 해외건설 10년, 그 현장을 떠나다

10장/ 한미우호의 역군 ? 한미경영원
177. 한국과 미국 경영인- 인식의 차이
178. 한미경영원 설립 추진
179. 손님맞이
180. 국제화 물결
181. 컨설팅
182. 미 하원 군사위원회 의원들
183. 김대중 씨에게 자유를
184. 외국 기업들의 시련
185. 경영원이 경험한 88서울올림픽
186. 어떤 미국 전우의 항의
187. 봉사직 미국주정부대표
188. 소련의 해체와 한국, 아! 통일
189. 마음속의 통일행사

11장/ 나의 고향 육군사관학교
190. 내 마음의 고향
191. 육사 총동창회장
192. 육군사관학교 발전기금 모으기
193. 어떤 편지
194. 자랑스러운 첫 육사인 상

12장/ 봉사 활동
195. 피지공화국 명예총영사
196. 봉사활동
197. 한미 FTA 체결을 위한 노력
198. 한국의 국격을 위해

13장/ 미국의 은혜와 한미 협력
199. 미국과 나
200. 미국의 감사함
201. 미국의 세계전략과 한미협력
202. 평생 친구와의 대화
203. 한미 간의 상부상조
204. 내 일생에서 가장 고귀한 결심

에필로그
연보

저자소개

장우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7년 함경남도 함흥에서 태어나 육군사관학교(3기)를 거쳐 미 보병학교와 미 육군지휘참모대학, 국방대학원을 졸업, 하버드대학 경영대학원 AMP 과정 수료하였다. 최강의 부대인 백골 3사단장, UN군사정전위원회 한국수석대표, 국방부관리차관보, 월남파병 협의차 방미한 박정희 대통령를 수행한바 있다. 그후 육군본부 정책기획부장, 남북적십자회담 사무국 초대 총장을 지냈다. 주요 경력으로 하버드대학 경영대학원 한국동창회장, 한미경영원 이사장(1974~현재) 한국해외건설 대표이사 사장(1975년, 해외)과 현대건설, 종합상사 등 현대그룹 6개사 대표이사 사장(1976~1985년)을 역임하였다. 그후 한?나이제리야 경제협력위원장(1978년), 미국 아이다호 주정부 한국대표(1988~현재), 주한 피지공화국 명예총영사(1991~현재), 육군사관학교 총동창회장(1997년), 미국 뉴저지 주정부 한국대표(1999년), 육군사관학교 발전기금 이사장(2000년), 아시아ㆍ태평양환경NGO한국본부 총재(2002년), 육사총동창회 명예회장(2009~현재) 등의 활동을 펼쳤다. 금성화랑무공훈장, 은성충무무공훈장, 미동성 무공훈장, 보국훈장 천수장, 로마교황특별강복장, 남북회담 공로표창, 은탑산업훈장, 3억불 수출탑, 하버드 대학 특별 공로상, 금장 적십자 훈장, 국제로타리재단 공로상, 피지 건국 공로훈장, 피지 공화국 국가최고훈장(컴파니온), 자랑스런 육사인 상(2004년), 육사발전기금재단 공로상(2005년)을 각각 수상받았다. 저서(역서) 미국 경영인, 그 가치관과 행동스타일/ 아더 M. 화이트 힐 저(한국경제신문,1986 刊) ※ 특히 육군사관학교는 1946년 개교 설립 이래 58년 만에 처음으로 ‘자랑스러운 육사인’ 상을 제정, 첫 수상자를 김점곤 장군(육사1기), 고 박정희 장군(육사2기), 장우주 장군(육사3기)을 선정해 수여한바 있다.(2004년) ※ 저자는 아들인 장순흥(전 KAIST 부총장)이 한동대 총장으로 취임하는 지난 2월 4일 아침 7시 30분 소천하여, 2월 6일 대전 국립 현충원 제2장군묘역에 안장되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