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서양철학 일반
· ISBN : 9788987671734
· 쪽수 : 576쪽
· 출판일 : 2007-04-3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 20세기, 천재 철학자들이 수놓은 사유의 세계 - 이정우
제1부 생성존재론의 성립과 전개
영원회귀란 무엇인가 - 니체, 현대 사유의 문을 열다 , 이정우
베르그송, 서양 형이상학의 새로운 탄생, 류종렬
변화의 철학, 화이트헤드를 위한 변명, 문창옥
20세기의 형이상학자, 질 들뢰즈, 신지영
제2부 경험의 의미: 해석학과 현상학
가다머가 리쾨르, 20세기 해석학을 정초, 반성택
해석학 전통의 형성 - 슐라이어마허, 딜타이를 중심으로, 반성택
모든 워리 중의 원리 탐구, 후설과 현상학, 조광제
하이데거: 존재와 현재론, 박찬국
'의미'의 현상학, 사르트르와 메틀로-퐁티, 조광제
제3부 논리, 언어, 인식의 철학
콩트와 실증주의 인식론의 기초, 이지훈
바슐라르의 새로운 과학 정신- 과학과 예술의 관계에 적용될 철학의 가능성, 이지훈
미셸 세르의 인식론: 공존의 모색, 이지훈
분석철학의 발흥, 프레게와 러셀- 언어와 논리, 의미, 박정일
유아론에서 실천으로 : 비트겐슈타인의 철학, 박정일
분석철학의 새로운 지평 - 콰인과 크립키의 혁신, 박정일
제4부 현대사회와 비판적 사유
실천으로서의 철학, 마르크스주의의 형성, 조정환
마르크스주의의 전개 - 레닌, 로자 룩셈부르크, 비판이론, 조정환
이성 실현에서 이성 비판으로 -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사회철학, 문성훈
미셸 푸코 :담론, 권력, 주체 , 이정우
안토니오 네그리와 자율주의 정치 - 마르크스주의의 혁신, 조정환
제5부 '상징적인 것'을 넘어서
구조주의와 그 너머 - 라캉, 푸코, 들뢰즈의 '메타' 구조주의를 중심으로, 이정우
데리다의 해체주의 - 타자는 유령처럼 이미 우리 안에 들어와 있다, 민승기
정신분석과 철학 - 라캉, 지젝, 민승기
저자소개
저자소개
책속에서
화이트헤드 철학의 중요한 의의는, 한편으로는 헤겔과 다른 한편으로는 베르그송이나 하이데거로 대변된다고 할 수 있는 존재 사유의 두 극단 간의 근본적인 대립을 넘어 제3의 길을 개척함으로써 지성사의 내적 양극성에 말려들고 있지 않다는 데 있다.-p86 중에서
푸코는 '욕망의 해석학', '주체의 해석학', '자기의 해석학' 이라는 표현을 쓴다. 그러나 '계보학'이라는 개념도 여전히 사용한다. 그러나 주체의 '윤리학'이라는 표현이 가장 적절할 것이다. 이것은 자기에 대한 자기의 관계, 자기의 주체 정립에서의 진리의 놀이들을 다루는 것이다.-p484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