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지리학/지정학 > 지리학
· ISBN : 9788987691992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08-05-28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지리학에서 지명 연구 동향 | 김기혁·임종옥
1부 지명과 역사
두모계 고지명(古地名)의 기원과 분포 | 남영우
추가령(楸哥嶺) 지명에 관한 지형학 및 역사지리적 해석 | 이민부·전종한
지명 변천 요인의 지역적 함의(含意) - 16세기 이후 대전 지방의 한자 지명을 사례로- | 김순배
≪청구도(靑邱圖)≫와 ≪동여도(東輿圖)≫의 지명 위치 비정에 대한 일고찰
- 충청도의 해미현을 사례로- | 이기봉
2부 지명과 문화
영남 지방 지명에 관한 연구 - 창녕군, 봉화군, 남해군의 사례 - | 박태화
지명에 나타난 지역 문화 | 이혜은
한국 전통숲[林藪]의 지명에 관한 연구 | 장동수·김학범
지명의 사회적 구성 - 조선 시대 회덕현의 ‘송촌(宋村)’을 사례로 - |권선정
조선 말기 농작물 관련 마을명의 분포와 특성 | 정치영
북한 개성특급시 역사·문화지명의 유래와 특성 | 이영희
3부 지명과 사회
정치지리학적 시각으로 본 동해(東海) 지명 | 임덕순
‘동해(東海)’ 지리 명칭의 역사와 국제적 표준화를 위한 방안 | 이기석
동해(東海) 지명과 조선 시대의 고지도(古地圖) | 양보경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지명 분석 | 오상학
지리과 내용 요소로서 ‘지명’의 의미 탐색과 교수-학습의 실제 | 장의선
한국 지명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분석과 발전 방향 | 김종혁
우리나라 일본식 지명의 관리와 정비 방안 연구
- 경기도 여주군 산지 지명을 사례로 - | 김기혁·심보경
저자소개
책속에서
막이, 쟁이, 정, 정자, 정자나무 등의 용어들도 나타나는데 여기서 막이와 쟁이는 숲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숲의 기능상 어느 지역의 지형을 보완하거나 시각을 치폐하는 기능으로 사용되어 풍수적 측면에서 명명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정이나 정자의 경우에는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간적 성격을 갖는 숲의 명칭으로 숲의 이용적 가치를 의미하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이밖에 숲을 뜻하는 지역별 방언에는 수풀과 숲이 가장 보편적으로 전국에 걸쳐 나타나고 있으며, 삿깟, 수음, 수페, 숩풀, 잡초, 까꿈 등의 지방색이 짙은 용어들도 조사되고 있다. (199~200쪽, '한국 전통숲[林藪]의 지명에 관한 연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