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87787879
· 쪽수 : 399쪽
· 출판일 : 2004-07-26
책 소개
목차
책을 읽기 전에
1. 근대의 옷을 입은 신여성의 출현
1. 근대와 여성의 만남
2. 일본의 '모던 걸'과 조선의 '신여성'
3. 여성에 관한 관찰은 편견과 혹평으로 충만한 바
2. 변화와 갈등의 물결을 타다
1. '신여성' 담론의 계보학
2. 여성 해방 욕구의 분출 _ 1880-1910년대
3. 동경의 대상으로 자리한 신여성 _ 1920-1930년대 중반
4. 원피스를 벗어던지고 '전사'로 _ 1930년대 후반 - 1945년대
3. 자기정체성에 눈뜨다
1. 동화 혹은 저항, 식민지 신여성의 선택
2. 타자로서의 근대, 서구와 일본
3. 민족주의와 페미니즘 앞에서 분열된 자아
4. 미완성의 과제, 여성의 근대
4. 성과 사랑의 자유를 부르짖다
1. '연애'의 탄생
2. 다양한 성 담론
3. 향락과 퇴폐로 얼룩진 성
4. 세 가지 사랑의 유형
5. '근대'의 표상으로서의 성과 사랑
5. 단발에 스카프를 두르고 종로거리를 활보하다
1. 근대성의 분열과 여성의 몸
2. 몸과 성 정체성의 변화
3. 단발 시대의 도래
4. 스포츠를 즐기는 여성들
5. 신여성의 몸과 근대성
6. 소비와 유행의 선두에 서다
1. 근대의 도시 문화
2. 모던 걸의 소비 문화
3. 도시의 욕망이 흐르는 카페
4. 사치와 허영이라는 낙인
5. 전통의 역할과 식민지 현실
7. 학교에 가다
1. 여성 교육의 근대화와 한계
2. 여성 교육의 실태와 현상
3. 일본에 동화시키기
4. 우민화 정책의 희생자
5. 식민 제국을 위해 노동하는 여성들
8. 학교제도를 비판하다
1. 여성을 타자화하는 식민 교육
2. 우리에게 맞는 교육을!
3. 교육 기회의 불평등 _ 1920년대
4. 방향과 목표를 상실한 식민 교육 _ 1930년대 이후
9. 직업전선에 뛰어들다
1. 신여성과 직업
2. 경제 활동과 직업 구조의 변화
3. 제한적이고 불평등한 직업의 기회
4. 능력보다 외모
5. 여성들이 일하는 이유
수록된 글의 출전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일본의 신여성과는 달리 조선의 신여성에게는 조국에 대해 부정하고 싶은 마음과 반대로 동정하는 마음이 중첩되어 나타난다. 기녀 출신의 어머니에게서 서녀로 태어난 김명순 역시 어려서부터 멸시를 받아온 자신과 약소국의 설움을 당하는 조국을 동일하게 인식하였다. 그리하여 일련의 스캔들로 인해 동족, 특히 남성 사회의 비난과 조롱에 시달리면서도 여전히 민족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였다. --본문 95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