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주자어류 4

주자어류 4

(학문의 의미와 방법에 대한 토론)

주희 (지은이), 허탁, 이요성, 이승준 (옮긴이), 여정덕
청계(휴먼필드)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주자어류 4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주자어류 4 (학문의 의미와 방법에 대한 토론)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유교철학 일반
· ISBN : 9788988473290
· 쪽수 : 854쪽
· 출판일 : 2001-02-20

책 소개

<주자어류(朱子語類)>는 주자와 문인 사이에 행하여진 문답의 기록을 분류 ·편찬한 것으로 총 8책 140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국 남송(南宋)의 주자학자 여정덕(黎靖德)에 의해 1270년 편찬된 이 책은 주희의 저서는 아니지만, 중국 철학전반에 대한 제자들의 질문에 주희가 직접 답한 내용으로, 그의 철학 사상의 핵심을 그대로 담고 있다.

목차

[ 1권 ]
1. 리기(理氣)
1) 리기(상)
2) 리기(하)

2. 귀신(鬼神)

[ 2권 ]

1. 성리일(性理一)
2. 성리이(性理二)
3. 성리삼(性理三)


[ 3권 ]

- <주자어류> 공부론 번역에 대한 헌사
- 번역을 마치며
- 일러두기

권7 학일學一 소학小學
권8 학이學二 총론위학지방總論爲學之方
권9 학삼學三 논지행論知行
권10 학사學四 독서법상讀書法上

- 번역 용어

- 학문을 통해 성인이 되는 길
1. 주희와 12세기 도학道學의 위기
2. 도학의 회복 - 주희의 교육 활동
3. 도학을 추구하는 사람들을 위한 주희의 교육 내용
4. 주희와 유학 전통의 변용

- 주자어류고문해의朱子語類考文解義 원문

[ 4권 ]

- 일러두기

권11 학오學五 독서법하讀書法下
권12 학육學六 지수持守
권13 학칠學七 역행力行

- 번역 용어
- 주자 문인 사전

- 주자 문인 검색
1. 이름으로 성씨姓氏와 자字 찾기
2. 자字로 이름 찾기
3. 기록자 조목 색인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자소개

주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주자의 이름은 주희(朱熹, 1130∼1200)이며, 자는 원회(元晦) 또는 중회(仲晦), 호는 회암(晦庵), 시호는 ‘문(文)’이어서 ‘주문공(朱文公)’이라 부른다. 원적은 흡주(翕州) 무원[婺源, 지금의 장시성(江西省) 우위안시]인데, 흡주가 남송 때 휘주(徽州)로 개칭되었고, 휘주(지금의 안후이성) 아래쪽에 신안강(新安江)이 흘러서 그의 본관을 ‘신안’이라고 한다. 주자는 공자와 맹자 이후로 중국 역대 최고 사상가 중 한 사람이다. 북송 5자[주돈이, 정호, 정이, 장재, 소옹(邵雍)]의 유가 학문을 집대성하면서, 주돈이의 ‘태극(太極)’을 정호의 ‘천리(天理)’와 같은 것으로 보고, 정이의 ‘성즉리(性卽理)’ 사상을 발전시켜 성리학을 완성했다. 또 중국 유가 경전을 정리해 ≪논어(論語)≫, ≪맹자(孟子)≫, ≪대학(大學)≫, ≪중용(中庸)≫을 4서로, ≪시경(詩經)≫, ≪상서(尙書)≫, ≪주역(周易)≫, ≪예기(禮記)≫, ≪춘추(春秋)≫를 5경으로 분류했다. 19세 때 진사에 급제한 이후, 고종(高宗), 효종(孝宗), 광종(光宗), 영종(寧宗) 등 네 임금이 차례로 바뀌는 동안 실제로 벼슬을 한 기간은 지방 관리로 8년 여, 황제에게 조언과 강의를 하는 벼슬인 궁중 시강으로 46일, 도합 9년이 채 되지 않는다. 그는 관직 생활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간을 무이산과 부근의 숭안, 건양 등지에서 보냈다. 주자는 강경한 성격과 단호한 태도로 인해 여러 사람들로부터 오해를 받았는데, 결국 당시 실세인 한탁주(韓侂冑)의 의도적인 배척과 호굉이 작성하고 심계조(沈繼祖)가 올린 탄핵문에 의해 1196년 시강과 사당 관리직에서 해임되었으며, 1198년에는 ‘위학(僞學)’으로 내몰려 가르치고 배우는 것이 일절 금지되었다. 물론 ‘위학’ 규정에 따라 벼슬도 하지 못했다. 그는 향년 71세의 나이로 1200년 음력 3월 9일에 건양 고정(孤亭) 마을의 창주정사(滄州精舍)에서 숨을 거두었다. 사후인 1208년에 시호를 받았고, 정치적인 탄압 때문에 1221년이 되어서야 겨우 행장(行狀), 즉 전기가 나올 수 있었다. 그의 사위인 황간(黃榦, 1152∼1221)이 썼다. 1227년에는 ‘태사(太師)’라는 칭호를 받아 ‘신국공(信國公)’에 추봉(追封)되었으며, 이듬해 ‘휘국공(徽國公)’으로 개봉(改封)되었다. 그가 편찬한 책은 80여 종, 남아 있는 편지글은 2000여 편, 대화록은 140편에 달하며, 총 자수로는 2천만 자나 된다. 주요 저서로는 ≪사서장구집주(四書章句集注)≫, ≪초사집주(楚辭集注)≫, ≪시집전(詩集傳)≫,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송명신언행록(宋名臣言行錄)≫ 등이 있으며, 그의 제자들이 편찬한 ≪주자어류(朱子語類)≫, ≪문공가례(文公家禮)≫, ≪주회암집(朱晦庵集)≫ 등이 있다. 그리고 여조겸과 공동 편찬한 ≪근사록(近思錄)≫은 주돈이(周敦頤), 정호(程顥), 정이(程頤), 장재(張載)의 글과 말에서 622개 항목을 가려 뽑아 14개의 주제별로 분류 정리한 책으로, 이후 성리학자들이 가장 중시하는 문헌 중 하나가 되었다. 주자는 경학, 사학, 문학, 불학(佛學)뿐만 아니라 ‘이(理)’가 물질세계의 근원에 존재한다는 차원에서 심지어는 자연과학 서적까지도 고증을 거치고 훈고를 행해 올바른 주석을 달았다.
펼치기
허탁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9년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였다. 礖山書堂에서 한학을 공부하였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동양철학을 전공하고 있다. 현재 청계출판사의 대표를 맡고 있다.
펼치기
이요성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4년 전북 고창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였다. 礖山書堂에서 한학을 공부하였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동양철학을 전공하고 있다. 현재 청계출판사의 주간을 맡고 있다.
펼치기
이승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6년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였다. 礖山書堂에서 한학을 공부하였고, 한국고등교육재단 한학연수 장학생으로 선발되었다. 현재 연세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서 동양철학을 전공하고 있다.
펼치기
여정덕 ()    정보 더보기
중국 남송(南宋)의 주자학자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