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주제평론
· ISBN : 9788988537206
· 쪽수 : 318쪽
· 출판일 : 2001-07-18
책 소개
목차
저자서문 - 글쓰기 또는 부드러운 해독
1. 소금을 찾아서
이따위 잡문이나 쓰는 나는?
봉건적 신분사회의 멘탈리티가 대학원 사회를 타락시킨다
연민과 분노가 필요한 지금
소금을 찾아서
김영하, 지식인, 문학권력
나는 왜 하필 비평가가 되었을까?
이문구 선생님 동인문학상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문학적 냉소주의와의 싸움
술잔이 숨쉬는 까닭
역사의 건망증 환자들
'일상적 파시즘' 혹은 학계의 봉건적 권위주의
자유라니? '해프닝' 혹은 '도착'이다
오히려 더 많은 전태일이 보인다
팍팍한 문학시장 그대 몸 팔러 가는가
세 출판사의 게시판을 지켜보면서
청평에서
세기말의 마지막 학기
감각의 지배자 매스미디어 - 이제, 당신의 홀로그램이 거리를 활보한다
서울에서 나고 자랐으니 운이 좋은 건가?
넓고도 깊다면, 그런 거장이 출현한다면
현실 눈 감은 비평, 맹수 사라진 정글
두 편의 글을 읽으면서 난 감동에 빠졌소
매 맞는 아이
쌀리에르로서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
어느 우울한 날의 단상
이문열과 '야구'에 대한 명상
2. 길위에서, 낯선
'비판적 지식인'의 실존 - 아름다운 패배를 위한 고백
권오룡의 돈키호테식 글쓰기 - '권력형 글쓰기에 대하여'를 비판한다
'창비'와 '문지'에 보내는 한 젊은 비평가의 고언 - 최근 문학권력 논쟁과 관련하여
표절보다는 정신의 식민화가 문제다
4.19 세대 비평 '역사적 기념비' 아니다
프로이트를 옹호할 권리 - 한국 대학원 사회에 반대의 자유는 있는가
강의란 무엇인가
망각된 투쟁의 '의미화'에 대한 몇 가지 우문(愚問)
문학 매체도 반성의 대상이다
'신비화'와 '특권화'가 김현 비평 죽인다
<이상 문학상>, 우상화한 권위에 정을 박아라
위기의 시대 '불안'과의 문화적 접촉
좌담은 왜 하는가 - <문학동네> 2000년 봄호 좌담, 무엇이 문제인가?
침묵하는 시대의 시 - 비평가들의 '무책임의 알리바이'
잡지의 문화사적 의미와 검열의 반시대적 억압
신세대 문학 혹은 실패한 명명법
문학인들의 기회비용
지금 왜 동아시아를 말하는가 - 동아시아 문화론, 환멸과 유혹을 넘어서
3. 방부처리된 사랑의 기록
아름다운, 덧나는 상처 - 김선우, '목포항'의 따뜻한 비관주의
진부한 세계에서의 눈먼 사랑 - 이대흠, '홍수 속으로'
흔적 혹은 미완의 사랑 - 나희덕, '오래된 수틀'
그들은 정말로 돌아왔는가 - 밀란 쿤데라의 신작에서 되풀이되는 '망명'과 '귀환'의 모티프
남루한 삶과 시의 황홀 - 정진규, '풍천장어는 왜 더 맛이 있는가'
가이아, 인공자연, 정현종 - 정현종의 시를 읽고
방부처리된 사랑의 기록 - 최민식의 사진
캘리니코스의 환멸을 건너는 방법 - 알렉스 캘리니코스, <포스트모더니즘 비판>
절망의 울림과 기교 - 신경숙의 소설세계
도전으로서의 비평사론 - 임영봉, <한국 현대 문학비평사론>
한 중견작가의 자기 성찰 - 이문구, <내 몸은 너무 오래 서 있거나 걸어왔다>
당신과 나는 화간(和姦)의 역사에 함께 서 있다 - 김정환, <파경과 광경>
'머리'만 있고 '가슴'이 없다 - 백민석과 정영문의 소설
번역되지 못하는, 반역할 수 없는 - 최승자, '번역해다오'
농촌은 따뜻하고 도시는 냉혹하다? 정말?
4. 독기 서린, 부드러운 해독
교신불능의 언어
홍기돈 혹은 어느 '심해탐험가'와의 랑데뷰
개방적인 비판의 네트워크를 실험하자
복수화된 모순, 다층화된 실험
김성기 또는 부드러운 진보주의자를 위한 변명
영화의 검열과 관객의 볼 권리
이교도의 세계관은 존중되어야 한다 - 장정일 소설에 대한 법적 제재에 대하여
남색욕망, 혹은 장정일의 저항 프로그램 - 아버지로 상징되는 '고해체계'에 대한 문학적 살해욕망
스타시스템, 땀과 피가 사라진 상상의 역사 - 세기말의 신화, 퇴행인가 진보인가
<비평과전망>을 둘러싼 몇 가지 풍문에 대한 사실 확인 - <오늘의 문예비평> 대담을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