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88974183677
· 쪽수 : 318쪽
· 출판일 : 2017-05-30
책 소개
목차
서문 (이동수) 9
1부 서구의 충격과 동아시아 13
1장 19세기 한중일 근대화 비교 : 이현휘 15
1. 지배양식과 삶의 운영원리 그리고 서양 근대혁명의
사회학적 의미 19
2. 가산제와 전통주의적 혁명 28
3. 중국 전제군주제와 유교 및 도교 30
4. 일본 봉건제와 병학 36
5. 한국 신분제적 가산제와 신유학 53
6. 21세기 한국의 패권제적 사회질서와 ‘대한양궁협회’
그리고 시민사회의 과제 58
2장 중국의 대응 : 김시천 73
1. 서구의 ‘충격’과 전통 75
2. 천하관과 근대화 81
3. 구국과 계몽의 이중주 87
4. 유교적 사회와 시민사회 92
3장 일본의 대응 : 이명원 100
1. 메이지유신과 자유민권운동 100
2. 제국헌법과 교육칙어의 반포 106
3.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실패 113
4. 총력전 체제와 파시즘의 대두 118
5. 결론 126
4장 한국의 대응 : 김시천 130
1. 유교적 조선과 근대 133
2. 개화론과 동도서기론 137
3. 위정척사와 유교변혁운동 142
4. 근대화와 유교전통 152
2부 전통의 재발견과 동아시아 시민 159
5장 도가적 가치와 현대 시민 : 유병래 161
1. 도가의 현대적 이해와 시민사회 161
2. 결사적 삶과 자연(自然) 175
3. 좋은 사회와 현덕(玄德) 194
4. 지구시민사회와 확장된 시민 211
6장 유가적 가치와 현대사회 : 김시천 228
1. 유교문화권과 서구의 근대 232
2. 문화담론과 전통계승 239
3. 아시아적 가치와 유교의 부흥 245
4. 동아시아 공동체론과 시민사회 251
7장 21세기 동아시아 미래와 시민 : 이명원 262
1. 시민연대의 딜레마 262
2. 아베의 전후 70년 담화와 ‘일본문제’ 268
3. ‘일본 예외주의’의 극복 276
4. 동아시아 시민의 연대 가능성 281
에필로그 동아시아에서 시민 되기와 고전읽기 : 김시천 285
1. 문명의 ‘대조’에서 삶의 ‘유비’로 286
2. 탈근대와 전근대의 착종을 넘어 293
3. 지식인, 독자 그리고 시민 300
4. 시민적 삶의 해석학 308
저자 소개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