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한국미술
· ISBN : 9788988812136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01-09-29
책 소개
목차
1부 남도의 전통문화와 미술
스러져 이 땅의 넋이 된 선사인의 삶과 문화
생존방식으로서 문화와 조형예술의 뿌리 - 원시미술
환생과 탈속의 멋, 고대 도자문화
생명의 안식과 부활처 - 독널│
부처가 된 이 땅의 사람들
토착신앙 속에 녹아든 불교
전통신앙과 공동체문화, 민속조형물
극락정토를 향한 절집의 건축미
만유상생의 자연주의 미학
무등산자락 원림과 누정
2부 전통의 맥으로서 호남 남화
남도정서의 멋과 흥취의 회화
문향 짙은 예도의 뿌리 - 학포 양팽손
신문화 신미술 속의 근대 남화
근대적 과도기의 전통과 현대
전환기 화단의 변화와 화맥 형성
원로작가의 타계와 신생 모임들
시대변화 속 청년화단과 전통남화
전통의 계승과 변화하는 시대문화의 충돌
3부 자연감흥과 현실반영으로서 남도 서양화
남도 서양화단의 형성과 1세대 활동
호남 첫 서양화가 김홍식
일본 유학파와 전후 화단 활동
해방 후 유학파들의 활동과 화단 형성
새로운 문화풍토 속의 동인전과 공모전
`1960년대 신생 미술모임들
남도 추상회화와 자연주의 구상회화의 양립
동.서양 추상미술의 뿌리
미술의 시대의식과 현실참여
현실주의 참여미술의 등장
신표현과 형상성의 모색 확대
4부 남도조각 50년의 발자취
남도조각의 기본 바탕
남도 현대조각의 터닦기
남도조각의 씨앗
'도전'의 창설과 초기 동향
정착단계의 남도조각
활발해진 중견조각가들의 개별활동
중흥기를 맞은 남도조각
첫 조각가 모임 - 남도조각회
현대조각으로서 활로 모색
청년조각가 모임의 폭발적인 증가
5부 남도미술의 오늘, 그 창조적 거듭나기
호남남화, 이제 무엇으로 남는가?
지.정.예의 조화
남도조각의 거듭나기
매체의 다양성과 조형미의 확대
인류사회로 향한 문화의 창, 광주비엔날레
광주비엔날레의 창설
상생의 공동체 문화도시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