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심리치료
· ISBN : 9788989456148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09-12-0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이야기 동화 <거위 치는 소녀>
1부 부모라는 이름의 악마
마마보이, 파파걸은 이렇게 만들어진다
2부 공주는 왜 거위 치는 소녀가 되었을까?
의존성 인격 장애의 모든 것
3부 치유와 해방의 눈물
쇠난로 속으로 들어가다
4부 제물이 된 아이들
가정 안에서 일어나는 감정적 악용의 여러 형태들
부록 ‘거위 치는 소녀’에 갇힌 중독자들
설문 1 나는 감정적 악용을 당하고 있는가?
설문 2 나는 거위 치는 소녀인가?
지은이의 말 의존의 기술을 알려주는 셀프헬프 북
옮긴이의 말 당신도 혹시 ‘착한 딸 콤플렉스’에 빠졌는가?
리뷰
책속에서
딸의 행복과 욕망 충족을 위해 최선을 다할수록, 딸을 위해 자신의 욕망을 희생할수록 어쩔 수 없이 본질적인 문제가 남는다. 바로 감정의 악용이다. 딸은 파트너의 대체물이다. 이런 역할의 의미를 흔히 과소평가하기 쉽지만 바로 여기에 의존이라는 큰 고통의 뿌리가 있다.
사랑은 자유의 자식이다. 사랑이 의존으로 변하는 이유는 어머니의 욕망 때문에 딸이 악용되기 때문이다. 원하든 원치 않든 어머니는 딸의 진짜 욕망을 무시하는 것이다.
하지만 아이가 자라면서 이런 부모의 조언과 지시는 반항심을 불러일으킨다. 특히 사춘기 아이들은 부모 말이라면 무조건 반항부터 하고 본다. 그런 반항을 통해 자신의 힘을 일깨우는 것이다. 사춘기의 꽃은 바로 이런 저항 정신이다.
또한 이들은 매사에 최선을 다하기 때문에 악용당하거나 조종당하기 쉽다. 취직을 하면 당연히 상사나 동료 직원들에게 인기가 높다. 힘든 일도 마다하지 않고, 심지어 자진하여 일을 떠맡기 때문이다. 친구들 사이에서도, 이웃들 간에도, 친척들 사이에서도 이들은 어디서나 희생자 역할을 받아들인다.
하지만 언젠가는 스스로를 학대한 결과가 나타나게 되어 있다. 과로로 인한 심신장애, 공포 장애나 우울증 같은 정신 질환, 중독성 질환 등이 찾아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