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가
· ISBN : 9788989800408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04-11-10
책 소개
목차
회화의 표현성과 시적 직관력을 갖춘 경이의 예술, 삶의 아픔 - 손상기
학처럼 고개를 높이 들고 / '자라지 않는 나무'의 출구 / 절망과 소망의 끝없는 회로 - 미술대학 시절 / 그림과 문학의 접목 / 그의 예술론 - 생명의 미술
생명의 힘과 맥을 형상으로 떠낸 선구자 - 오윤
바람으로 다시 올 것이다 / 오윤의 인간과 성품 / 성장배경 / 새 미술을 위한 용트림 - 대학시절 / 10년의 아픔과 침묵의 고뇌 / 목판화 제작에 분노를 삭이며 / 1980년대의 북소리 - 새 지평을 열며 / 예술생명의 회복을 주장 / 오윤의 민중미술관
삶과 예술을 합일시키려던 구도자 - 최욱경
조약돌처럼/ 개성으로 뭉친 여자 / 특이한 지적 배경의 화가 / 최욱경의 고독 / 최욱경의 사랑 / 그림에서 인간의 해답을 찾으며 / 더 많은 자유와 자연에의 희구 / 새롭게 자각되어가는 자기 / 흑장미에 덮여 / 2주기 유작전을 보고
소외의 아픔을 창조적 고집으로 버틴 화단의 이단아 - 박길웅
운명의 화가 / 화가의 불행은 원인인가 결과인가? / 상처처럼 아픈 시절 / 미술에서 자기발견 / 작품에의 전념으로 외로움을 달래며 / 국전 대상 수상 - 그 영광과 시련 / 낮과 밤 - 어둠의 터널 / 절망의 심연에서 / 인간 박길웅 - 두 개의 세계를 살며 / 떠나기 전의 정박 / 박길웅의 예술사상과 작품
생명의 화가, 생명을 화폭에 불사르다 - 하인두
마지막 대화 / 그때는 이미 불치의 병이 / 죽음마저도 예술로 / 그 파란의 인생과 예술 / 인간 하인두의 편편 / 그의 그림, 그의 세계
화폭처럼 넓고 순박한 가슴에 승화시킨 역사의 상흔 - 박항섭
겉 꾸미기 아닌 진솔한 고백 자체 / 창작 위해 직장을 버린 최초의 예술인 / 꾸밈과 거짓과 가식을 거부
예술의 완성인가, 패배인가 - 권진규
미술구조의 모순과 권진규 / 그의 삶, 그의 사상 / 흙과 권진규 / 하나밖에 없는 선택 - 자살로의 귀결 / 작품 - 그 미완의 완성
역사의 격랑 속에 침몰한 낭만적 예술참여주의자 - 양수아
고독한 삶을 살다 간 양수아 / 청년 시절 / 격동기 / 목표의 양화연구소 개설 / 현대미술의 태동 / 작품의 변천 / 광주 생활의 시련 / 슬픈 분노 / 최후의 항거
역사의 상흔은 끝내 한 예술가를 파멸시키는 것인가?
-빨치산 종군화가 양수아의 아내 곽아미와의 대담
예술을 위해 가시밭길을 밟고, 삶의 향기 그대로 - 박래현
우향이 이룩한 세계 / 진취적이고 호기심 많은 성장배경 / 선택된 필연 / 하늘과 땅의 만남 / 우향과 운보의 예술 / 사랑처럼 아픔처럼 / 책임과 예술의 갈등 / 예민한 감성에 시달리며 / 우향의 예술론 / 작품의 변천과정 / 뉴욕의 판화시대 - 그리고 쓰러지다
민중정서의 미를 창출한 위대한 환쟁이 - 박수근
박수근 삶과 미술의 특이성 / 수용과 일탈의 순발력 / 민중적 삶의 저력 / 종교성과 민족서정의 양식화 / 밀레와 박수근 / 박수근의 삶은 우리 현대사의 점철 / 미술 수업 시절의 순수의지 / 장인 기질의 천착 / 금성에서의 결혼 / 평양 근무와 주호회 시절 / 다시 금성으로, 그리고 이산 / 창신동과 미군 PX 시절 / 피기 시작한 꽃의 좌절
미를 찾아나선 끝없는 여로, 한국적 시정신의 서양화적 표현 - 김환기
아쉬움이 함성되어 / 다시 그를 생각하며 / 전환기적 시대인 / 풍성한 삶 도전적인 예술편력 / 인간적인 풍모 / 문인화의 서양화적 표현 / 김환기 미술의 시대구분 / 고향, 그리고 고향의식 / 일본 시절과 모더니즘 수용의 논의 / 한국미 탐구의 전환기 - 해방과 서울 정착 / 전쟁의 아픔과 부산 시절 / 환도와 파리행 / 인정과 풍부한 감성의 소유자 수화 / 온몸으로 부닥친 예술 - 뉴욕시대
문화적 정체성의 위기를 예술정신으로 극복한 작은 거인 - 박생광
두 개의 문화를 산 화가 / 화가가 된 인과 / 멋과 여유 / 화가다운 화가 / 강물처럼 흐르는 아픔들 / 비워야 채워지는 비결 / 그의 예술론, 그리고 예술적 정열 / 문화적 정체성을 찾아 / 무속화 등에서 자기 것 찾아 / 여전희 미완의 여지를 남기고......
분단 이데올로기로 상처 입은 예술혼 - 이응노
정치의 예술지배 / 예술사상 형성의 배경 / 오직 창작의 자유를 찾아 / 이응노 예술의 설득력 / 정치와예술의 비극적 충돌 / 춤 - 자유의 예술, 평등의 바람 / 이응노 예술의 평가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처럼 잘 알려진 김환기를 다시 생각하게 되는 까닭은 무엇일까? 우선 김환기에 대한 글들이 거의 그가 세상을 떠난 직후에 씌어진 것들이라는 점이다. 물론 김환기의 생전에도 그에 관한 글이 많이 씌어졌고, 근래에도 없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이 1975년부터 77년 사이에 씌어졌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이들 글들을 차분히 종합하여 정리할 필요를 느끼게 한다. - 본문 320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