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노동문제
· ISBN : 9788990106230
· 쪽수 : 453쪽
· 출판일 : 2006-08-04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1부. 현대 노동시장의 재 문제
1장··지구화와 현대 노동시장제도
1. 현대 노동시장제도는 영미형으로 수렴하고 있는가 | 2. 노동시장제도의 변화 상황 | 3. 노동시장제도의 지속에 대한 이론적 논의 | 4. 맺음말
2장··노동시장제도와 실업 및 불평등
1. 현대 자본주의는 실업과 불평등을 동시에 해결할 수 없는가 | 2. 노동시장 유연성론과 그 한계 | 3. 실업 대책으로서 수요관리정책의 유효성 | 4. 코포라티즘의 성과 | 5. 복지국가 유형과 실업/불평등 | 6. 유연안정성 | 7. 맺음말
3장··비정규 노동의 사회적 성격
1. 비정규 노동의 다양성 | 2. 임시직 노동의 규모와 성격 | 3. 파트타임 노동의 규모와 성격 | 4. 이론적, 정책적 함의
2부. 각국 노동시장체제의 현 상황
4장··사민주의 노동시장제도의 변화와 지속
1. 사민주의 노동시장제도는 와해되었는가 | 2. 사민주의 노동시장제도의 주요 측면들 | 3. 위기와 그 요인 | 4. 변화 양상 | 5. 차이의 요인 | 6. 사민주의 노동시장제도의 전망
5장··독일의 고실업과 노동시장제도
1. 독일 모델, 무엇이 문제인가 | 2. 독일 노동시장제도와 이에 대한 비판 | 3. 노동시장제도의 변화 상황 | 4. 평가와 전망
6장··미국 노동시장과 노동시장제도
1. 미국 노동시장을 다시 본다 | 2. 미국 노동시장 상황의 특징 | 3. 노동시장제도/정책과 변화 | 4. 노동시장제도 개혁 논의와 추이 | 5. 맺음말
7장··동아시아의 노사관계와 임금불평등
1. 경제 위기와 동아시아 노동시장 | 2. 노동시장제도로서의 노사관계 유형화 | 3. 동아시아 노사관계의 성격 | 4. 임금불평등 추이 | 5. 동아시아 노동체제의 특성과 새로운 도전
8장··동아시아의 경제 위기와 고용안정성의 변화
1. 동아시아 고용체제와 고용안정 | 2. 근속연수 추이 | 3. 이직률 및 해고율 추이 | 4. 변화의 해석
3부. 한국 노동시장체제의 재조명
9장··한국은 장기근속과 연공임금의 나라인가: 미국과의 비교
1. 한국 고용체제의 특징을 어떻게 볼 것인가 | 2. 분석 대상 자료 | 3. 근속연수의 비교 | 4. 임금연공성의 비교 | 5. 분석 결과의 해석
10장··분단노동시장과 연대
1. 한국 노동계급과 연대 | 2. 이론적 배경 및 분석 시각 | 3. 연대활동의 양상 | 4. 분석과 토론 | 5. 맺음말 | 후기
11장··결론: 한국 노동시장체제의 대안 모색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중·일) 세 나라의 기본 과제는 노동시장 불평등을 줄이고 복지를 확대하는 것이 될 것이다. 과거와 같은 고도성장을 회복하면 실업도 줄이고 불평등이나 빈곤 문제를 해소할 수 있지 않겠는가라는 질문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제 과거와 같은 고도성장은 어렵다고 생각된다. 이제부터는 경제성장이 아닌 제도와 정책을 통해 불평등과 빈곤의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유럽과 대비되는 점으로, 유럽 국가들에서는 1980년대 이래 불평등보다는 실업 또는 고용 창출이 문제였다. 이 때문에 평등과 복지의 기본 틀은 유지하면서도 얼마간의 복지 삭감과 노동시장 유연성 조치를 도입하여 고용을 늘리려 해 왔다. 동아시아 국가들은 그 반대 방향의 과제를 안고 있는 것이다. - 본문 294쪽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