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예술/사찰
· ISBN : 9788990644275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06-11-03
책 소개
목차
책 머리에
운주사의 수수께끼
한국 최고, 최대의 불가사의 운주사
미스터리의 유적들
운주사에 대한 기록들
문학작품에 나타난 운주사
장길산과 녹두장군에 등장한 운주사
운주사 해석에 소홀했던 문인들
요헨 힐트만과 운주사
해독을 위한 제 1단계, 기존의 견해들에 대한 검토
운주사 유적 조성에 대한 설들
호족 세력의 후원에 의한 창건설
민중론적 해석, 민중에 의한 건립설
이주민에 의해 건립되었다는 설, 몽고군을 중심으로
석탑들의 배치가 천문도와 일치한다는 설
운주사 유적에 대한 고정관념들
운주사 유적 조성에 대한 설화들
풍수비보와 관련된 설화
중국에서 세웠다는 설화
운주도사와 관련된 설화
새로운 세상의 도래와 관련된 설화
설화들의 전반적인 의미
해독을 위한 제 2단계, 운주사 유적들에 대한 해석
운주사라는 이름
9층 석탑의 문양들
탑들의 배치가 나타내는 도형
칠성석의 의미
X자 문양과 마름모 문양은 묘지의 상징
송산리 고분군의 X자 문양
무덤에 나타나 있는 마름모 문양
배 형상 유적은 능묘의 조형물
능묘의 주인공은 군주 급 인물
와상은 장보고 부부?
오른쪽 산허리의 탑들
6층탑의 의미
원구형 석탑
동냥치 탑(또는 거지탑)
석조불감의 두 석불좌상
석조감실의 불상은 불경의 상징
불경의 내용은 앞쪽의 탑과 관련시켜 해석
광배를 갖춘 석불좌상과 마애여래좌상
광배를 갖춘 석불좌상은 관세음보살 상
마애여래좌상은 도선국사 상?
시위불
석상 군
석상 군은 불상이 아닌 보통 사람
석상 군의 실체
석상 군의 배치, 의상, 그리고 머리 위의 형상
남은 문제들
장보고의 추모 유적이 고려 시대에 조성된 사유
해독을 위한 제 3단계, 방증 자료들에 대한 해석
운주사의 추석
전래의 추석 습속
산동반도 적산원의 추석 명절
천태산이라는 이름의 산
중국 절강성의 천태산
중국과 관련된 천태산 설화
백제탑과 신라탑의 공존
해독을 위한 참고사항들
장보고의 부(富)와 유적 조성 비용
정읍시의 흔적들
천곡사지 7층 석탑
칠성바위
망제동 석불입상
운주산과 천태산, 그리고 망제봉
도선국사의 또 다른 실체
도선과 왕건
도선과 장보고
운주사 유적은 도선국사가 설계?
해상 왕국을 건설하려 했던 장보고
장보고의 실책, 과연 실책이었는가
청해진에 별도의 국가를 건설하려 했던 장보고
완도의 전설, 송징 장군의 미스터리
얘기를 마치면서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조선조 후기에 공식 기록에 運舟寺가 등장한다고 해서 이때부터 運舟寺라고 불렸다고도 보기 어렵다. 이것은 <동국여지승람>에 운주사에 관한 첫 기록이 등장한다고 해서 운주사 유적들이 그때 만들어졌다고 간주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차라리 내내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던 運舟寺를 조선조 후기에 문헌에 기록했다는 게 맞는 추측일 것이다.
그렇다면 이 후미진 계곡에 왜 ‘운항하는 배’라는 이름의 절이 등장하는 것일까. 이 이름도 사실 ‘구름이 머무는 절’ 이라는 이름만큼이나 수수께끼가 아닐 수 없다. 더구나 이 運舟寺 라는 표기는 雲住寺보다 오히려 더 많이 알려져 있으며, 그만큼 표기가 갖는 위상도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도 이 후미진 계곡의 사찰이 왜 運舟寺로 불려지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 본문 144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