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91186836774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16-06-10
책 소개
목차
서문 - 4
1. 참성단과 삼랑성
- 강화도 마니산 참성단과 삼랑성의 원형은 중국 랴오닝성 우하량 유적지에 있었다
마니산의 원래 명칭은 머리산 - 15
참성단과 삼랑성의 수수께끼들 - 18
강화도의 고조선 자취들 - 255
형제봉 전설 - 28
한단고기에 나타난 참성단과 삼랑성 - 31
기록에 나타난 랴오닝성 서쪽 부근의 고조선 - 35
중국 랴오닝성 건평시 우하량의 피라미드와 참성단 - 41
삼신 수호자의 거주지, 삼랑성 - 47
2. 첨성대
- 경주 첨성대는 금성(金星)의 여신을 모시기 위한 제단이었다
첨성대의 미스터리 - 59
천문대라는 설 - 62
불교적 제단이라는 설 - 71
규표 설과 주비산경 설 - 75
수메르 문명과 우리 문명 - 77
신라 왕실과 중동 문화의 유사성 - 81
신라의 지구라트, 경주의 첨성대 - 91
지구라트에서 모셨던 신들 - 97
선덕여왕의 고뇌 - 102
금성의 여신을 위한 제단, 첨성대 - 108
3. 태백산 천제단
- 현재의 천제단은 1970년대에 대종교인들에 의해 축조된 것이다
천왕단, 장군단, 하단의 3기로 이루어진 천제단 - 117
일제강점기 이후 시작된 단(壇)의 명칭 - 119
천지중앙명류도의 제단 - 124
다시 고유의 제의 장소로 변모 - 128
원, 방, 각 형태로 쌓여진 제단 - 131
대종교 제단을 거쳐 고유 신앙의 제단으로 - 136
4. 신라 금관
- 신라 금관은 금척(金尺)의 조형물이었다
최초로 본격적인 연구를 전개한 김병모 - 143
금관의 세움 장식이 나무(神樹)라는 고정관념 - 148
금관은 과연 왕관인가 - 153
금관은 과연 머리 위에 쓰기 위한 관이었는가 - 159
눌지왕 대에 시작된 금관 - 164
불교의 공인과 함께 사라진 금관 - 166
천도 사상이 유포되어 있었던 신라 - 169
박제상의 순교 - 170
왕실의 이데올로기가 된 금척의 법 - 174
금척 설화 - 177
천부의 법을 간직한 금척 - 181
금관의 원형은 3단의 出자형 세움 장식이 3개로 되어있는 것 - 185
금관 해석의 단서를 간직한 서봉총 금관 - 192
시신의 얼굴 위에 씌워진 금관 - 197
5개의 세움 장식 금관 - 198
4단의 세움 장식은 차별화 의미 - 201
조형적으로 발전한 세움 장식 - 204
우리 고유 신앙의 상징물, 금척 - 208
5. 이성산성(二聖山城)
- 경기도 하남시 이성산성은 신라의 신궁(神宮) 유적이었다
삼국시대의 성지, 이성산성 - 213
백제 유물은 거의 발굴되지 않아 - 216
군사적 요새였다는 이성산성 - 218
신라 신주의 치소라는 설 - 222
신라의 제의장소였던 이성산성 - 226
고대 동아시아 제사지의 원형, 중국 천단 - 231
이성산성 유적은 신라의 또 다른 신궁 - 237
저수지는 계불의식 유적 - 241
원래는 고구려 제사지 - 246
2기의 목제 인형 - 249
일본의 신궁도 여러 지역에 세워져 - 252
석성은 성소의 표시 - 255
6. 변산 죽막동 수성당
- 변산반도 죽막동 수성당은 해상왕 장보고에 의해 세워진 것이었다
죽막동의 대막골 철마 신화 - 262
황금 부채와 철마, 그리고 봉래도 - 265
두 형제는 장보고와 정년? - 270
죽막동의 미스터리 시설물 흔적 - 273
장보고의 고향이라는 완도 - 278
대막골이라는 이름 - 284
장보고의 군사기지가 있었던 안면도 - 286
참고문헌 - 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