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융
· ISBN : 9788990699947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11-10-25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말
원서 서문
서론 _ 융 심리학과 종교경험의 세계
1. 융의 체험과 사상의 형성
1) 융의 생애와 종교체험
2) 사상가로서의 융
2. 심층심리학의 그리스도교 비판
1) 근대화와 그리스도교
2) 니체
3) 프로이트
4) 프롬 대 베버
3. 내적 정신의 세계로
1) 프로이트 비판
2) 종교경험에 대한 관점
3) 내향성과 외향성
4) 마음의 네 가지 기능과 신체
5) 집합무의식
6) 원형과 영성의 영역
7) 초상 현상의 문제
제1장 원시 그리스도교
1. 예언자 사상의 붕괴
1) 욥을 향한 응답
2) 의인의 고뇌에 대한 종래의 해석
3) 신의 이중적 성격과 사탄의 역할
4) 구약에서의 신과 인간 관계의 변모
2.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의 사이
1) 오리엔트 신화와 욥기
2) 지혜와 성령과 여성적 원리
3) 묵시와 인자
3. 신약적 인간관의 문제
1) 소피아와 로고스
2) 성령의 수육
3) 동정성모
4) 요한의 묵시계시
5) 현대 그리스도교를 향한 제언
제2장 그노시스 주의
1. 그리스도교와 그노시스주의
1) 아이온
2) 그노시스주의란 무엇인가?
3) 그노시스 연구의 문제점
2. 그노시스적 우주관과 인간관
1) 그노시스 신화의 우주관
2) 그리스도의 삼중신과 인간성
3) 그노시스 체험에서의 심층심리적 심상
4) 양성구유의 이념
5) 근친상간 터부의 극복
3. 그리스도교 교리의 심층심리학적 고찰
1) 선의 결핍으로서의 악
2) 무로부터의 창조
제3장 정통과 이단
1. 삼위일체론의 형성
1) 니케아 공의회
2) 삼위일체론의 문제점
3) 바울 신화와 이집트 신화
4) [티마이오스]의 우주론
2. 삼위일체론에서의 신성과 인성
1) 동방교회의 그리스도론
2) 성모 숭배
3) 제4자로서의 에로스와 악마
4) 삼위일체론과 연금술
3. 정통과 이단의 분기점
1) 정통 신앙의 확립
2)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과 심층심리학
결어 _ 서양정신사의 빛과 그림자
1. 메타-피지카와 메타-프쉬키카
2. 근대 정신의 영광과 비극
3. 진혼의 정신사
저자 후기
해설
주석
찾아보기
책속에서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고금의 많은 사상과 사상가들과 만나게 될 것이다. 그 중에서도 우리에게는 다소 생소하거나 막연하게 느껴지는 초대의 그리스도교 사상가들, 영지그노시스주의자들, 그리스 철학자들과 그들의 사상을 접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가 되리라고 생각한다. 특히 고대 세계에서의 그리스 철학, 영지주의, 그리스도교 사상의 상호관련성에 대한 이해는 영지주의를, 단지 정통 그리스도교를 괴롭혀 왔고 그것과 싸워 왔던 이단사상으로만 여기던 것을 넘어, 그 안에 담겨 있는 종교적·심리적 근원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더 넓게 본다면 그동안 멀게만 느껴졌던 동학·불교·유교·그리스도교 등 수행 전통의 종교들 사이에 근본적으로 놓여 있는 공통된 상호관계를 새로이 이해와 안목도 길러 줄 수 있을 것이다.(7쪽, 옮긴이의 말 중에서)
우리들은 그리스도인의 입장에서 인간성을 바라보아야만 하는 것도 아니며, 종교인의 입장에서 인간성을 보아야 하는 것도 아니다. 역으로 신앙인과 비신앙인을 론하고 일반적으로 인간의 내적인 혼의 보편적 본성이라는 입장에서 종교라는 것의 본질적인 존재 방식을 직시하고, 더욱이 서양 정신과 그리스도교 세계의 전통에 대해서 반성의 눈을 가져야만 하는 것이다. 융이 서양정신사에 대처하는 기본적인 자세는 이상과 같은 것이다.『욥을 향한 응답』을 통하여 융이 제시한 문제는 이와 같은 것이었다(본문 191쪽)
교부철학에서의“무로부터의 창조”와“선의 결핍”이라는 두개의 기본 명제는 리적으로 불가분한 관계에 있다. 그리스도교의 정통 사상이 확립되어 가는 과정은 이 경우 이론적·우주론적 요청을 첫째 의제로 두고 윤리적·인성론적 요청을 두 번째 의제로 두었던 것이다. 말하자면, 유일하며 전능하며 초월적이며 절대적인 인격이라는 신의 이념을 명확히 해나가는 것이 교부철학의 기본 요청이었기 때문에, 여기에서 나오게 된 필연적인 결과로서 그들은“선의 결핍”(악은 존재하지 않는다)이라는 명제를 선택했던 것이다.(본문 26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