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42360222
· 쪽수 : 420쪽
· 출판일 : 2004-04-30
책 소개
목차
서 장 신화적 사고(思考)
1. 몸과 우주
2. 종교적 우주관에서 본 동양과 서양
제1장 동양의 사고(思考)
1. 중국 고대 사상의 형성
1) 신정군주(神政君主)와 조상숭배(祖上崇拜)
유교의 종교성은 어디에 있는가?
2)진한(秦漢) 제국의 사상 상황
신앙습속과 방사(方士)의 출현
3) 고대 중국의 과학사상―자연관과 수행론의 형성
2. 동양과 서양의 사고양식
1) 혼돈과 질서―역(易)의 사고
2)인과성(因果性)과 공시성(共時性)
동,서양의 시,공간관
3)동양의학에서 보는 몸[身]
심신(心身)관계의 공시성(共時性)
3. 기술적(技術的) 사고(思考)
1) 기술의 철학인 역(易)―성(聖)과 속(俗)은 하나다
2) 사람과 우주의 감응(感應)―천인상관(天人相關)
3) 명상에서 몸과 우주―존사(存思)와 내단(內丹)
4) 기술적 자연관―수행(修行)과 복점(卜占)
4. 동아시아의 불교
1) 수행과 신비주의―불교는 어떻게 수용되었는가?
2) 도교와 불교의 교류―신불(神佛)의 세계를 보다
3)불교사상의 중국화 과정
천태(天台),화엄(華嚴)의 우주관
4)중국불교와 일본불교
밀교(密敎)의 즉신성불론(卽身成佛論)
5. 동양 사고의 완성
1)명상과 철학
타자(他者)?자연(自然)?성(聖)스러운 것
2) 반철학(反哲學)으로서의 선(禪)
주체의 밑바탕은 우주와 통한다
3) 이기철학(理氣哲學)의 체험적 밑바탕
내향적 실천과 외향적 실천
4) 근대적 주체로 전회(轉回)
동양과 서양의 양심(良心)
제2장 서양의 사고(思考)
1. 고대 헬레니즘 사고
1)고대 철학의 심리학적 성격
정념(情念)의 극복과 평안
2) 스토아철학의 몸[身] 이론
로고스(logos)와 프뉴마(pneuma)
3) 그노시스적 명상―세 개의 세계와 세 개의 몸
4) 로고스와 성령―신플라톤주의와 기독교의 성립
2. 서양 사고(思考)의 발전
1) 삼위일체의 빛과 그림자
외면적 인간과 내면적 인간
2) 주체적 체험에서 관념과 존재
형상[形]과 마음[心]
3)연금술(鍊金術)의 자연관
정신과 물질은 공감적(共感的)으로 변용한다
4) 잊혀진 데카르트―최후의 고대 철학자
종 장 고대의 사고(思考)와 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