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90745910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20-11-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유두류록이란 무엇인가
*김종직은 누구인가
*함양에서 엄천을 지나
김종직 선생의 지리산행 출정 | 함양에서 엄천까지 | 엄천에 이르기까지 | 엄천은 어디인가
*엄천강을 건너
엄천강을 건넌 위치 | 엄천강의 도강 수단
*화암은 어디인가
화암을 찾아서 | 화암을 화림사로 비정한 오류 | 화암을 찾다
*지장사를 찾아서
화암에서 한쟁이골까지 | 한쟁이골 | 진지밭골에서 감태밭골까지 | 감태밭골에서 지장사까지 | 지장사 사지
*환희대를 지나 천혜의 요새 선열암으로
짚신을 신고 지장사를 떠나다 | 노장동 마을 | 환희대 | 선열암
*신열암과 독녀암을 찾아서
신열암의 열쇠가 되어준 독녀암 | 함양독바위인 독녀암 | 함양독바위의 별칭 | 학승의 도량 같은 신열암
*고열암과 의론대
산행 첫 밤을 고열암에서 | 고열암의 위치 | 의론대 | 의론대 지명탐구 | 우타의 수행처 | 소림선에 대한 왜곡 | 의론대와 향로봉 그리고 미타봉 | 상내봉(향로봉)에 대한 논란
*동부를 가로질러 구롱을 지나다
구롱과 동부 | 동부는 어디인가 | 구롱을 찾아서 | 길잡이가 되어줄 첫 번째 고개 | 동부로 들어서는 길 | 마지막 아홉 번째 능선, 구롱을 향하여 | 구롱을 다 넘고서
*청이당
구롱을 지나 청이당으로 | 청이당을 찾기까지 | 청이당의 위치 | 청이당의 역사 | 청이당 지명에 대하여
*마암
≪유두류록≫ 기록에 순서가 바뀐 마암 | 마암의 위치에 의문을 품은 이유 | 마암당은 무엇인가 | 마암당의 바위 | 말바우와 마암당 지명 어원 | 말바우의 또 다른 이름, 천례탕 | 천례탕의 어원
*청이당에서 영랑고개 올라가는 하봉옛길
마암(말바우) 우회하는 산길 | 하봉옛길 | 영랑고개
*영랑봉과 하봉
영랑봉 | 영랑대와 소년대 | ‘지리산과 영랑’에 기원한 영랑봉의 어원탐구 | 영랑과 말달릴평전 | 하봉의 지명 | 하봉의 영역
*영랑대에서 해유령을 지나 중봉으로
산천은 의구하다 | 해유령은 어디인가 | 의구한 중봉 | 마암과 중봉샘
*드디어 천왕봉에 오르다
천왕봉에서 첫 일정 | 성모석상과 성모사당에 대하여 | 성모사당 | 성모사당에서 하룻밤
*향적사에서 다시 천왕봉에 오르다
향적사로 철수 | 통천문을 지나다 | 향적사에서 하룻밤을 묵다 | 다시 천왕봉에 오르다
*제석봉과 세석고원
제석봉을 지나며 | 세석고원 | 창불대에서
*영신사
지리산 최고의 기도터 영신대 | 가섭전 | 좌고대 | 몽산화상의 그림 족자 | 영계와 옥천
*4박 5일간 지리산행의 막을 내리다
하산점 | 직지直旨에 대하여 | 경유직지이하徑由直旨而下에 대하여 | 한신능선으로 하산하며 조망한 풍경들 | 마지막 합수점을 건너 | 당집을 지나 하산 | 산행 후 소회
*부록 1. 유두류 기행시
*부록 2. 유두류록 국역본
*부록 3. 유두류록 원문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유두류록》은 점필재 김종직?畢齋 金宗直:1431-1492 선생이 1472년에 두류산(지리산) 일대를 유람하고 돌아와 지은 기행록이며, 1책 31장의 을해자본乙亥字本으로 《점필재집》에 수록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