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실전에 바로 써먹는 부동산 절세지식 200문 200답

실전에 바로 써먹는 부동산 절세지식 200문 200답

원종훈 (지은이)
원앤원북스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5개 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실전에 바로 써먹는 부동산 절세지식 200문 200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실전에 바로 써먹는 부동산 절세지식 200문 200답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세금
· ISBN : 9788990966643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05-10-01

책 소개

일반인들이 부동산 세금을 쉽게 이해하고 실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부동산 세금에 대한 궁금증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구체적인 세금계산 사례나 예시로 든 법규 등은 일반인들이 부동산과 관련해 당면하는 대부분의 세금 문제를 해결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유용한 길잡이 역할을 할 것이다.

목차

지은이의 말_ 세무적인 마인드를 생활화 하자

1장 부동산 세금, 제대로 알아야 덜 냅니다
부동산과 관련된 세금에는 뭐가 있나요?
왜 부동산 세금에 대해 알아야 하죠?
부동산을 취득할 땐 어떻게 평가 세금을 내나요?
재산세를 계산할 때 부동산평가는 어떻게 하나요?
상속세를 계산할 때 부동산평가는 어떻게 하나요?
그럼 기준시가란 도대체 뭐죠?
기준시가와 시가표준액은 어떻게 다른가요?

2장 부동산을 취득할 때 세금 덜 내는 방법 없나요?
거래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이제 검인계약서를 다운해 쓰는 것은 의미가 없다면서요?
주주가 부동산에 대한 취득세를 내는 경우도 있나요?
차명으로 부동산을 구입하면 빼앗길 수도 있나요?
사치성재산에 해당하는 건물은 세금을 더 낸다면서요?
토지의 용도를 변경해도 취득세를 내야 하나요?
부동산을 취득한 요인에 따라 등록세도 달라진다면서요?
등록세율은 떨어져도 등록세는 줄어들지 않는다면서요?
공동주택 취득시 취득세와 등록세가 감면되는 경우도 있나요?
상속주택은 무주택 자녀에게 주는 것이 좋다면서요?
과밀억제권역에서 부동산 구입시 거래세를 더 내야 하나요?
분양권 증여시 증여재산 평가는 어떻게 하나요?
부동산을 구입할 때 부가가치세를 내는 경우도 있다면서요?
국민주택채권은 얼마나 구입해야 하나요?

3장 부동산을 보유할 때 어떻게 하면 세금을 덜 내죠?
보유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보유세, 이제부터는 많이 내야 한다면서요?
농지와 농지 관련 건물은 세금이 저렴하다면서요?
사치성재산은 보유세도 많이 내야 하나요?
종합부동산세는 도대체 어떤 세금인가요?
종합부동산세는 이중과세 되는 세금이 아니라면서요?
재산세는 시·구마다 다른가요, 같은가요?
보유세의 과세표준은 어떤 방법으로 이루어지나요?
주거용 오피스텔은 보유세가 저렴하다면서요?
공동명의로의 전환을 최적의 의사결정이라고 할 수 있나요?
부동산 사고팔고 때 판단기준은 6월 1일이라는데, 맞나요?

4장 부동산을 처분할 때 어떻게 하면 세금을 덜 내죠?
양도소득세는 어떤 경우에 내는 건가요?
양도소득세를 내는 물건은 따로 있나요?
실거래가액인가요, 기준시가인가요?
실거래가액으로 양도차익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기준시가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기준시가 고시 전에 취득한 부동산의 취득가액은 어떻게 하나요?
양도소득세를 실거래가액으로 계산해도 기준시가를 알아야 하나요?
투기지역이라도 양도소득세를 기준시가로 계산하기도 하나요?
투기지역과 투기과열지구는 어떻게 다른가요?
분양으로 취득하는 아파트의 취득 시기는 언제인가요?
부동산의 취득 시기와 양도 시기는 언제로 해야 하나요?
부동산은 오래 보유할수록 세금이 줄어든다면서요?
외국인만 아니면 250만 원의 공제는 받을 수 있나요?
아무리 급해도 2년은 보유하는 것이 좋다면서요?
주택이 3채 이상이라고 무조건 60% 중과세되는 건 아니죠?
공동명의 주택의 소수지분도 1주택으로 봐야 하나요?
공동명의로 구입하면 고가주택을 피할 수 있나요?
공동명의로 구입한 주택에도 주택자금공제가 가능한가요?
양도소득세를 비과세 받기 위해 어떤 요건들이 필요한가요?
주택의 부수토지는 어떤 운명을 갖고 있나요?
정착면적의 5배를 초과하는 고가주택의 부수토지는 어떻게 산정하나요?
이혼을 하면 양도소득세가 줄어드나요?
양도소득세를 직접 계산해볼 수 있을까요?

5장 특수한 경우 양도소득세는 줄어들거나 달라진다면서요?
2주택일 때 비과세받는 경우도 있나요?
땅과 집의 소유자가 다를 경우 1세대1주택은 비과세 대상인가요?
특정한 농어촌주택은 주택에서 제외된다면서요?
어떤 임대주택이 양도소득세도 감면되고 주택에서 제외되나요?
상가와 주택을 겸하는 건물의 양도소득세는 어떤가요?
시골로 근무지가 이전될 경우 3년을 보유하지 않아도 비과세되나요?
상속받은 주택은 나중에 파는 것이 더 좋다면서요?
상속받은 주택의 취득 시점과 세율은 어떻게 적용하나요?
고가주택이지만 일부라도 비과세가 가능한가요?
6억 원이 넘는 분양권도 고가주택인가요?
양도소득세가 면제되는 아파트도 있다면서요?
60평대 타워팰리스는 양도소득세 감면 대상 아파트인가요?
여러 부동산을 한 해에 몰아 팔면 세금이 더 많아지나요?
조합원주택은 철거 후 양도해도 비과세받을 수 있나요?
철거시점을 잘 활용하면 주택의 수를 줄일 수 있다면서요?
배우자에게 증여한 부동산은 5년 후에 매각하는 것이 좋다면서요?
8년 이상 자경농지는 양도소득세가 1억 원까지 감면된다고요?
자경농지는 증여하지 않는 것이 좋다면서요?
주택이 수용되면 3년을 보유하지 않아도 비과세를 받을 수 있나요?
부동산이 수용될 때 대가를 채권으로 받으면 공제 혜택이 있나요?
수용된 자금으로 대체 부동산 취득시 취득세·등록세는 없나요?
다가구주택에는 세무상 어떤 혜택이 있나요?
부담부증여를 이용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다면서요?

6장 부동산을 상속하거나 증여할 때, 어떻게 하면 세금을 덜 내죠?
상속세는 죽는 사람을 기준으로 세금을 계산하나요?
죽을 땐 한국인으로 죽는 것이 더 좋다면서요?
아들이나 딸보다 사위나 며느리에게 증여하는 것이 더 좋은가요?
부담부증여를 위한 채무는 과세관청에서 관리한다면서요?
분양권보다는 아파트를 증여하는 것이 더 낫다면서요?
도로를 증여나 상속받아도 세금을 내야 하나요?
요건을 갖춘 영농후계자가 농지를 증여받으면 증여세는 없나요?
기준시가로 증여세를 계산해서 세금을 내도 괜찮은가요?
그럼 부동산은 언제 증여해야 하나요?
손자에게 유증이나 협의분할시 상속세.증여세가 과세된다면서요?
가족 간의 부동산 거래는 특히 조심해야 한다면서요?
부동산으로도 세금을 낼 수 있나요?
세금 낼 돈이 없어도 신고는 꼭 해야 한다면서요?

7장 부동산을 임대할 때 세금을 줄이는 방법이 있나요?
부동산에도 부가가치세가 과세되나요?
부동산에 부가가치세가 면세되는 경우도 있나요?
부동산을 임대해도 세금을 내지 않는 경우가 있나요?
임대보증금이 많다면 기장을 하는 것이 좋다면서요?
기장을 하면 어떤 이유로 유리한가요?
대출이자는 임대소득에서 차감할 수 있나요?
2채 이하면 월세가 좋고, 3채 이상이면 전세가 좋다면서요?
주택 임대를 사업적으로 하면 종합부동산세도 줄일 수 있나요?
오피스텔 구입시 부가가치세 환급은 어떻게 받나요?
간이과세자로 할까요, 일반과세자로 할까요?
추계를 통한 종합소득세를 어떻게 계산하나요?
부동산임대를 공동명의로 해도 합산되지 않나요?
개인이 좋은가요, 법인이 좋은가요?
부동산을 매각해야 하나요, 지분을 매각해야 하나요?

저자소개

원종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0년 초 우리나라 금융 시장에 PB(Private Banking)가 도입된 이후부터 금융권 1호 자산 관리(Wealth Management) 전문 세무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자산가들이 가장 선호하는 세무 전문가이다. 세금을 계산하거나 신고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최적의 의사 결정 방향성을 제시하는 세금 설계(Tax Planning) 전문가로, 부동산 정책과 세법 개정안이 발표될 때마다 기자들이 가장 먼저 문의하는 세무사로 유명하다. 현재는 KB국민은행 WM투자자문부 부장으로 재직 중이면서 ‘여의도 5번 출구’ 운용자이기도 하다. ‘여의도 5번 출구’는 자산가뿐만 아니라 직장인의 자산 관리에 꼭 필요한 부동산, 세무, 법률, 그리고 금융 투자를 주제로 알기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는 유튜브 채널이다. 세무 관련해서는 대내외적으로 인정을 받아 국민대, 건국대, 단국대, 연세대 등의 최고경영자과정에서 강의를 했다. 다양한 언론에 칼럼을 연재했는데 특히 〈한국경제신문〉에 4년 넘게 연재한 ‘알짜 세무이야기’는 큰 인기를 끌었다. 저서로는 《실전에 바로 써먹는 부동산 절세 지식 200문 200답》, 《금융 전문가를 위한 세금 설계 1, 2》(공저), 《은행원을 위한 실전 세금 설계》,《개인 재무 설계 사례집》(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8.31 부동산대책 이후에는 절세를 위해 공동명의로 전환한 것이 의미없는 일이 되었습니다. 주택과 나대지에 의한 종합부동산세를 세대별로 합산해서 과세하고 기준금액을 하향 조정했기 때문입니다(주택은 9억 원→6억 원, 나대지는 6억 원→3억 원). 양도소득세는 2007년부터 55%(주민세 포함)의 단일 세율로 과세되기 때문에 공동명의로 과세표준을 나눈다고 하더라고 세율이 줄어들지 않습니다. - 본문 129p 중에서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