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하루 한 구절 중국명언집

하루 한 구절 중국명언집

이나미 리쓰코 (지은이), 이목 (옮긴이)
책과함께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1개 11,5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9개 6,8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하루 한 구절 중국명언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하루 한 구절 중국명언집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명언/잠언록
· ISBN : 9788991221543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09-12-11

책 소개

많은 중국 명언들 가운데서 366개를 엄선해 윤달을 포함한 1년 366일에 배정하고 하루마다 각 명언에 해설을 달았다. 독자들이 딱딱한 고전을 읽는 게 아니라 재미난 역사서나 짧은 수필을 읽는 것처럼 느끼게 구성하였다. 또한 당시 중국의 역사, 문화, 사회, 정치까지 엿볼 수 있어 명언만 읽고 외워야 하는 부담을 줄여 준다. 일본 <교토신문>에 실렸던 글로 계절감과 일본 사회의 '세시기'를 느낄 수 있다.

목차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지은이 후기
옮긴이 후기
연표
옮긴이 주
인물 찾기/출전 찾기

저자소개

이나미 리쓰코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4년 도야마 현에서 태어났다. 1966년 교토대학을 졸업, 1972년 동 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가나자와대학 교수를 거쳐 현재는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 명예교수로 있다. 전공은 중국문학. 저서로는 『삼국지연의』, 『중국 문장가 열전』, 『중국의 5대 소설 (상)(하)』, 『중국인의 기지』, 『중국문학의 유쾌한 세계』, 『「삼국지」를 읽다』, 『삼국지 명언집』, 『중국 명언집』, 『중국 명시집』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목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학교를 졸업하고 지곡서당에서 공부했다. 문학, 역사, 철학 고전에 관심을 기울이며 근현대사로 이어지는 일본의 근세 후기 문화와 사상을 연구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소년의 눈물』 『사라지지 않는 사람들』 『청춘을 읽는다』 『한무제』 『국경을 넘는 방법』 『하루 한 구절 중국명언집』 『기시 노부스케와 박정희』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1월 1일 한 해의 계획은 봄에 있다 一年之計 在於春
중국의 오래된 격언이다. “하루의 계획은 새벽에 있다[一日之計 在於晨]”는 말과 대구를 이룬다. 여기서 ‘봄’은 한 해의 처음을 가리키므로, 일본의 “한 해의 계획은 원단에 있다”는 말과 같은 뜻이다. 새해 첫날이 오면, 사람들은 대개 한결같이 마음을 가다듬고 분기해서 일기 쓰기를 시작하기도 하지만 그 결심은 채 사흘도 못 가서 깨지는 경우가 다반사다. 이른바 ‘작심삼일作心三日’이라는 속담이 바로 그것인데, 중국에는 흔히 ‘삼일향三日香’이라고 표현한다. 제아무리 아름다운 향기라 해도 순식간에 사라져버리면 아무런 소용이 없다. ‘종시여일終始如一(처음부터 끝까지 변하지 않는다)’하고픈 것이다. (《순자》 예편)


3월 5일 배해를 그리면서 뺨 위에 털 세 가닥을 더 그렸다 頰上益三毛
동진의 대화가 고개지顧愷之의 일화에서 유래한 말이다(《세설신어》 교예편). ‘배해裵諧’라는 인물의 초상화를 그릴 때, 뺨에 세 가닥 털을 더 그려 넣었더니 인물의 특징이 생생하게 재현되었다는 것이다. 북송시대 소동파도 이 일화를 근거로 ‘무릇 사람의 의사意思는 그 인물에게 있다. 어떤 사람은 눈썹에 있고 또 어떤 사람은 코에 있다(〈전신기〉)’고 하면서, 대상의 특징이 응축된 포인트를 파악해서 초상화를 그리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한다. 그림뿐만 아니라, 널리 인간을 이해하는 데도 통하는 얘기다.


4월 7일 한 잔 한 잔 또 한 잔 一杯一杯復一杯
꽃에 술은 으레 따르기 마련이다. 이 시구는 이백의 칠언절구 〈산중에서 처사와 술을 마시며[山中與幽人對酌]〉 중 둘째 구절이다. 시의 전문은 이렇다.

마주 앉아 술을 드니 산에 꽃 피고 兩人對酌山花開
한 잔 한 잔 다시 또 한 잔 一杯一杯復一杯
내 취해 잠 오니 그대 먼저 돌아가오 我醉欲眠君且去
내일 아침 생각 있거들랑 거문고 안고 오시게 明朝有意抱琴來

산에 꽃이 피는 계절, 은자인 벗과 술잔을 주고받는 동안 이백은 ‘어느덧 눈꺼풀이 천근만근이니 자네는 돌아가 달라. 내일 술 생각이 다시 나거들랑 거문고를 가지고 와 달라’고 부탁한다. 천의무봉天衣無縫 ‘시선詩仙’ 이백이기에 가능한 뛰어난 대사라 하겠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