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91238657
· 쪽수 : 363쪽
· 출판일 : 2013-08-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_ 05
개정증보판을 내면서 _ 08
서론 _ 18
제1장 | 애굽에서 학대받는 이스라엘 (출 1장)
1. 역사의 주관자이신 야웨 하나님 … 32
2. 토박이의 나그네 억압 … 34
3. 고난과 함께 있는 축복 … 35
4. 애굽과 출(出) 애굽(출 1:13-14) … 36
5. 불법에 저항한 최초의 불복종 운동 … 38
각주 … 40
제2장 | 모세의 출생과 도주 (출 2장)
1. 또 다른 창조의 시작인 모세의 출생 … 42
2. 두 번째 노아인 모세 … 44
3. 생명의 파수꾼인 위대한 여성들 … 46
4. 폭력 대 대항 폭력 … 48
5. 게르솜=노예 예언의 성취와 해방의 전망 … 50
각주 … 52
제3장 | 모세의 소명 (출 3장)
1. 불꽃 가운데서도 사라지지 않는 떨기나무(?) … 54
2. 인간 삶의 현장 한 가운데 계신 하나님 … 56
3. 인간의 무자격이 하나님의 유자격 … 58
4. 최초의 하나님 성함(야웨) 계시 … 60
5. 애굽 물품의 약탈 사건 … 62
각주 … 65
제4장 | 소명을 거부하는 모세 (출 4장)
1. 모세의 신임장 … 68
2. ‘능력의 신임장’ 보다는 ‘말씀 선포의 은사 … 71
3. 과연 누가 보낼 만한 자인가? … 72
4. 마음의 완악함 … 73
5. 죽을 뻔한 모세 … 75
각주 … 78
제5장 | 모세와 바로의 첫 대결: 마지막 승리를 위한 첫 걸음 (출 5장)
1. ‘억압’의 애굽이 아니라 ‘자유’의 광야에 계시는 하나님 … 82
2. 야웨가 누구냐? … 83
3. 히브리인의 하나님 … 84
4. 희생 제사( jbz, 제바흐)의 의미 … 85
5. 노역의 강화 … 86
6. 현실에 길들여진 기록원들 … 88
7. 모세에 대한 원망, 야웨를 향한 모세의 탄식 그리고 하나님의 응답 … 89
각주 … 91
제6장 | 모세의 재 소명 (출 6장)
1. 야웨, 곧 전능의 하나님 … 94
2. 속량 … 96
3. 백(background) 없는 자의 하나님 … 97
4. 모세의 실패 … 98
5. 끝까지 포기하지 않으시는 하나님 … 99
6. 아론의 소명 … 101
각주 … 103
제7장 | 모세와 바로의 재격돌 (출 7장)
1. 하늘로 불려 갈 나이에 세상으로 부름받은 모세 … 106
2. 하나님의 신임장은 믿음의 판독기로만 … 108
3. 첫 번째 재앙 … 109
각주 … 112
제8장 | 하나님의 재앙(1): 개구리, 이 그리고 파리 (출 8장)
1. 두 번째 재앙 … 114
2. 세 번째 재앙 … 117
3. 네 번째 재앙 … 118
각주 … 120
제9장 | 하나님의 재앙(2): 돌림병, 악성 종기 그리고 우박 (출 9장)
1. 다섯 번째 재앙 … 124
2. 여섯 번째 재앙 … 126
3. 일곱 번째 재앙 … 127
각주 … 130
제10장 | 하나님의 재앙(3): 메뚜기 그리고 흑암 (출 10장)
1. 여덟 번째 재앙 … 134
2. 아홉 번째 재앙 … 137
각주 … 141
제11장 | 유월절과 열 번째 재앙 (출 12장)
1. 유목민의 유월절에서 야웨의 유월절로 … 144
2. 무교절 … 147
3. 첫 유월절 의식의 시행 … 148
4. 열 번째 재앙 … 150
5. 출애굽 … 152
각주 … 156
제12장 | 홍해를 건넘 (출 14장)
1. 돌아가는 지름길… 160
2. 알 수 없는 출애굽의 여정 … 161
3. 노예근성의 수장 … 163
4. 새로운 창조인 출애굽 … 165
5. 구원의 방법보다 구원의 주체가 더 중요 … 166
각주 … 168
제13장 | 하늘에서 양식을 비같이 (출 16장)
1. 마라의 쓴 물이 단물로 … 170
2. 굶주림에서의 해방 … 172
3. 모든 양식은 하늘 양식이라 … 174
4. 하늘 양식인 만나의 영성 … 176
각주 … 180
제14장 | 광야의 목마름과 전쟁의 시련 속에서 (출 17장)
1. 아래의 소리 듣기 … 184
2. 말씀은 물이다 … 186
3. 하나님을 시험하다니! … 187
4. 사람들간의 동역을 통하여 동역하시는 하나님 … 190
각주 … 193
제15장 | 이드로의 방문 (출 18장)
1. 아들 ‘게르솜’과 ‘엘리에셀’과의 재회 … 196
2. 이방인 이드로의 반응과 구원 … 198
3. 이드로의 충고 … 201
4. 재판관의 조건 … 203
각주 … 205
제16장 | 시내 광야에 이르러 (출 19장)
1. 시내 산 식장에서의 결혼 … 208
2. 제사장 나라와 거룩한 백성 … 210
3. 신현현의 준비 … 212
4. 하나님의 음성 계시 … 214
각주 … 216
제17장 | 십계명(1): 서문과 제1-2계명 (출 20장)
1. 십계명 서문 … 220
2. 제1계명 … 222
3. 제2계명 … 224
각주 … 229
제18장 | 십계명(2): 제3-6계명 (출 20장)
1. 제3계명 … 232
2. 제4계명 … 234
3. 제5계명 … 238
4. 제6계명 … 240
각주 … 243
제19장 | 십계명(3): 제7-10계명 (출 20장)
1. 제7계명 … 246
2. 제8계명 … 248
3. 제9계명 … 250
4. 제10계명 … 252
각주 … 256
제20장 | 언약 법전(1): (출 21장)
1. 제단 쌓는 법 … 260
2. 종을 위한 법 … 263
3. 살인에 관한 법 … 265
4. 상해복수법 … 266
각주 … 270
제21장 | 언약 법전(2): (출 22장)
1. 배상법 … 274
2. 우상 숭배 금지법 … 278
3. 약자보호법 … 280
4. 종교법 … 282
각주 … 284
제22장 | 언약 법전(3): (출 23장)
1. 공정한 재판에 관한 법 … 288
2. 안식년과 안식일에 관한 법 … 291
3. 3대 절기에 관한 법 … 293
4. 약속과 경고 … 296
각주 … 299
제23장 | 시내 산에서의 언약체결 (출 24장)
1. 피의 언약 사건 … 302
2. 언약 식사 … 306
3. 시내 산에 오르는 모세 … 309
4. 시내 산에서 6일 동안 준비하는 모세 … 309
각주 … 311
제24장 | 금송아지 사건 (출 32장)
1. 금송아지 제작 … 314
2. 모세의 첫 번째 중보 기도 … 317
3. 참 지도자 모세의 분노와 거짓 지도자 아론의 변명 … 320
4. 하나님만을 향한 신실함 … 323
5. 모세의 두 번째 중보 기도 … 325
각주 … 328
제25장 | 하나님의 동행 (출 33장)
1. 하나님의 동행 거부 … 332
2. 회막에서의 만남 … 334
3. 모세의 중보 기도 … 335
4. 하나님의 영광을 본 모세 … 337
각주 … 340
제26장 | 파기 된 언약의 갱신 (출 34장)
1. 하나님의 나타나심 … 342
2. 다시 주신 십계명(제의적 십계명) … 346
3. 모세의 광채 … 350
각주 … 353
참고문헌 _ 355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이 책은 그동안 많은 사랑을 받아왔던 『창세기 다시 보기』의 후속편이다. ‘창세기 다시 보기’는 특별히 한국교회의 강단을 책임지고 있는 많은 목회자들에게 큰 사랑을 받아왔다. 그리고 그 중에 적지 않은 독자들이 구약성서 전체에 대한 “다시 보기” 시리즈의 집필을 끊임없이 요청해 오기도 하였다. 이러한 격려에 힘입어 구약 다시 보기의 두 번째 시리즈인 『출애굽기 다시 보기』가 완성되었다.
그러나 “창세기 다시 보기”와 “출애굽기 다시 보기”는 “구약성서 다시 보기 시리즈”의 시작에 불과하다. 특별히 필자는 이러한 집필들이 한국교회를 위한 평생의 과제라고 생각하고 뜻을 같이하는 동료와 후학들과 함께 이 작업에 매진할 계획이다. 그리고 우리의 이러한 노력들이 그동안 서로 격리되어 있었던 교회와 신학을 이어 주는 가교 역할을 충실히 감당해 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한국교회의 강단에서 선포되는 설교 가운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약성서는 창세기, 출애굽기, 시편, 이사야서 등이다. 이렇듯 출애굽기는 우리에게 친숙한 책이다.
창세기가 우주 창조를 이야기한다면, 출애굽기는 이스라엘 국가의 탄생에 관하여 기록하고 있다. 하나님이 애굽의 종살이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을 구원하시고, 시내 산에서 언약을 맺음으로써 그들을 하나님의 백성으로 삼으셨다. 여기서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백성이자 언약의 백성이 되었다. 특별히 출애굽기는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들이 어떠한 관계이며, 더 나아가 어떠한 관계로 살아가야 하는지 말해 준다. 이것은 곧 이스라엘 백성들의 정체성을 말해 주고 있는 동시에 오늘날 우리의 정체성 대해서도 말해 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필자는 이 책을 통하여 많은 목회자들이 설교의 깊은 통찰력을 얻기를 바란다. 그리고 신학생들에게는 이 책이 출애굽기 연구의 길잡이가 되었으면 한다. 마지막으로 평신도들은 이 책을 읽음으로써 성서의 깊은 영적 세계를 체험했으면 하는 기대를 감히 가져 본다.
이 책은 목회사역 46년째를 맞이하신 영산(靈山) 조용기 목사님께 드리고 싶다. 필자가 독일에서 유학할 때 조용기 목사님을 단독으로 만나는 영광을 누린 적이 있다. 당시 필자는 학위논문을 제출하고 구술시험을 앞둔 시점에서 학위취득 이후의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기다리던 중이었다. 그런데 조용기 목사님은 바쁜 집회일정 가운데서도 필자를 만나 주셨고, 귀국 이후 순신대학교(현 한세대학교)에서 함께 일하자고 권해 주셨다. 그것이 계기가 되어 오늘날까지 필자는 한세대학교에 둥지를 틀고 사랑하는 후학들과 함께 즐겁게 구약을 공부하고 있다. 이 자리를 빌어 다시 한 번 조용기 목사님께 머리 숙여 감사드린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수고한 고마운 분들이 있다. 먼저 이 작업을 함께 해 준 한세대학교의 윤은희, 곽정은, 이순범 조교들에게 고마움을 표하고 싶다. 특히 윤은희 전도사는 지난 5년 동안 필자의 연구 활동을 성심성의껏 도와 주었다. 그리고 이 책의 초고를 적절히 비평해 줌으로써 더 좋은 원고가 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다음으로 이 책의 모판을 마련해 주었던 『순복음 신문』의 김진영, 김미정 기자에게도 감사한다.
끝으로 출판사의 첫 작품인 이 책을 큰 정성으로 훌륭하게 만들어 준 실한 제자 프리칭 아카데미의 임태현 소장과 박향란 편집장에게도 진심 어린 감사를 표하고 싶다. 더불어 한국교회 최초의 설교전문지(월간 프리칭)를 발행하는 프리칭 아카데미가 목회자들의 설교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간절히 기원한다.
2004년 5월 5일
한세대학교 신학관 연구실에서
차준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