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국제사회비평/칼럼
· ISBN : 9788991274211
· 쪽수 : 318쪽
· 출판일 : 2007-09-16
책 소개
목차
한국의 독자들께
감사의 말
머리말 북한을 둘러싼 논쟁
1장 약하지만 여전한 위협_빅터 차
북한 문제의 퍼즐 맞추기
북한이 아직도 위협적인 이유
북한의 선제공격 의지를 완화시키는 요인의 결여
'두 배 따거나 아니면 모두 잃기' 식의 논리
선제공격/예방적 공격 상황의 실현
북한의 의사결정 준거틀
북한이 선제공격/예방적 공격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근거
북한에 햇볕이 들고 있는가?
정책 대안_'매파적 관여'정책
약하지만 여전히 위험한 북한
2장 위협적이지만 억지되고 있는 위협_데이비드 강
북한이 군사적 위협이 되지 못하는 이유
억지와 세력 균형의 변화
핵무기와 테러리즘
정신병자 가설의 부적실성
결론_이론적·정책적 함의
3장 왜 우리는 '매파적 관여'정책을 추구해야만 하는가?_빅터 차
유효한 억지 체제
강압적 협상
9·11 이후의 상황
북한 군사력의 쇠퇴
문제의 핵심_진정한 의도
'매파적 관여' 정책
부시의 대북 정ㅊ책
왜 매파적 관여정책인가?
비판받을 소지는 없는가?_인권과 미사일 방어체제 문제
강압책을 사용할 경우
정책에 위협을 맞추지 말고 위협에 정책을 맞추어야
4장 왜 우리가 관여정책을 두려워해야 하는가?_데이비드 강
북한의 경제개혁 노력
매파적 관여정책과 임박한 붕괴론의 비현실성
관여정책을 두려워할 이유가 있을까?
내 주장의 핵심 요소들
미국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들
한국과 중국의 역할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
5장 과장이 난무했던 2003년의 북핵 위기_빅터 차·데이비드 강
대한반도 전략의 기본?
위기의 조성
북한의 핵개발 '고백'
위기에 대한 우리 두 사람의 서로 다른 평가
데이비드 강_'원점' 으로의 복귀
빅터 차_돌아올 수 없는 다리?
매파적 관여정책 이후에는?
왜 매파적 관여정책으로 돌아가서는 안 되는가?
고립화 및 봉쇄 정책
2002년 10월 위기에 대한 결언
6장 과장을 넘어서 전략으로_빅터 차·데이비드 강
대북 관여정책의 큰 그림
장기적 안목에서의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
왜 정체성이 중요한가?
비전
회의적 시각에 대하여
결언
옮긴이 후기
각주
책속에서
북한의 군사력은 남한과 미국이 지나친 모험을 하지 않게 억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북한이 남한을 침공하려고 한다는 것보다 불안한 교착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고 보는 것이 한반도 현황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다. 양측 모두 신중한 자세이고, 먼저 전쟁을 시작하려 하지 않는다. 양측 모두 전쟁이 가져올 파괴를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p93 중에서
통일 비용은 일반적인 생각보다 싸게 먹히리라 예상된다. 그리고 북한의 핵보유에 따르는 비용은 일반적인 생각보다 훨씬 크다. 지금 여기서 주장하고자 하는 바는 무력 사용을 지지한다는 게 아니고, 노무현 정부가 무력 사용을 선택지에서 완전히 배제시켜 버리게 맏느 기본적인 비용 계산방식 자체를 다시 생각해 보기를 바란다는 것이다.-p238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