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창의 교육
· ISBN : 9788991486201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07-02-25
책 소개
목차
저자의 말
1장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아이와 실패를 두려워하는 아이의 큰 차이점
아이를 실패에서 지켜주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라고 생각하고 있나요?
착한 아이보다 대처능력이 있는 아이가 더 크게 성장한다
부모가 실패를 두려워하면 아이는 도전하지 못하는 사람이 된다
아이에게 필요한 도움, 필요하지 않은 도움
똑같은 실패를 자꾸 반복하는 이유
미안합니다라는 말보다 책임을 지는 방식을 가르쳐라
실패는 나쁜 것이라는 착각을 버리자
2장 그저 야단치기보다는 다음 단계로 이어지는 방식을 가르쳐라
그건 안 돼라고 금지하기보다 어떻게 할가에 대해서 함께 생각하라
가져가야 할 물건을 잘 챙기지 못하는 습관을 고치게 하려면 부모가 대신 해 주지 말아야 한다
물건을 잃어버릴 때마다 사주면 아이는 결국 스스로 해결하는 힘을 잃어버린다
자기도 모르게 한 실수는 주의를 주지 마라. 대신 실수를 줄이는 방법을 같이 생각하라
억지로 사과를 시키지 말고, 아이 스스로 사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심부름을 잘 하지 못해도 반드시 고마워하라
약속을 잘 지키지 못하는 아이에게는 벌 보다 규칙을 준다
애완동물의 죽음은 아이의 잘못을 탓하기보다, 죽음을 아는 귀중한 경험으로 삼자
생물을 괴롭히는 일을 통해 상대의 아픔을 아는 아이가 된다
전철에서 떠드는 아이에게는 야단치기보다, 타인에게 끼치는 폐에 대해서 깨닫게 하라
일찍 일어나라는 잔소리보다 스스로 일어날 수 있게 도와준다
험담을 하지 마라보다 험담을 듣는 편이 낫다가 마음에 울린다
부모의 돈을 몰래 가져가는 행동은 벌하기보다 용돈관리와 교섭기술을 가르쳐라
성격의 결점을 지적받는 것보다 구체적인 해결법을 통해서 아이는 변한다
무리한 계획은 막지 말고, 수정하도록 한다
엄마, 아빠가 도와주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일도 아이 스스로 결정하게 한다
3장 의욕과 재능을 이끌어내는 말의 마법
결과가 나쁠 때일수록 열심히 한 노력을 인정해 주자
아이가 꾀병부리는 행동은 작은 실패를 큰 실패로 숨기는 행위다
곤란한 일을 남의 탓으로 하면, 불평만 하는 어른으로 성장한다
비판에도 지지 않는 자신감을 심어주는 부모의 한 마디
아이를 괴롭히는 친구가 있다면, 그 체험을 자신과 잘 맞지 않는 상대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기회로 연결시켜라
다툼은 좋다,나쁘다가 아니라 사고방식의 차이임을 가르친다
충격을 받은 아이에게 어쩔 수 없다는 말을 해서는 안 된다
작은 용기를 칭찬 받은 아이는 다시 도전한다
틀린 것에는 신경 쓰지 마 보다 괜찮아
패배를 인정하는 일이 다음에 이기기 위한 첫걸음이다
승패에 대한 집착을 버리는 것이 마음을 편안하게 만드는 비결이다
아이의 마음은 이렇게 하라보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라는 말에 움직인다
모두와 사이좋게 지내지 못하는 아이에게는 한 사람과 친해지는 계기를 만들어주자
4장 부모의 도움으로 아이는 생생히 도전한다
도중에 그만 두지 마라는 말로 작심삼일을 고칠 수는 없다
서툰 설득보다는 마음을 정리 함으로써 긍정적이 될 수 있다
뭔가를 숨기는 아이에게는 왜 숨기는지를 생각하게 한다
왜 거짓말을 하는가가 아니라 어떤 목적을 위한 거짓말인가에 주목하라
허세를 부리는 거짓말 뒤에 숨은 원망을 눈치채자
창피한 경험을 한 아이에게는 신경 쓰지 말아라보다 실패담을 들려주자
도전을 두려워하는 아이에게는 부모의 경험담을 들려주며 용기를 심어주자
놀이에 끼워주렴이라는 말은 아이에게서 스스로를 주장하는 힘을 빼앗는다
소극적인 아이에게는 역할연기 게임이 효과적이다
미움을 받는다고 불안해하는 아이에게는 상대의 마음을 확인하게 하라
하고 싶지 않다는 말은 그냥 넘겨듣지 말고 진심을 들어라
연습할 기회를 만들어주면, 아이는 쉽게 포기하지 않는다
실패를 남의 탓으로 돌리는 것은, 자신에게 짜증이 나기 때문이다
울면 어떻게든 다 된다가 아니라 말로 전하는 방법을 배우게 하라
아이에게 직접 옷을 고르게 하면서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키워주자
5장 어떤 체험도 모두 성공으로 이어지는 습관 기술
위험해서 만지지 못하게 한다가 아니라 만지는 방법을 배우게 한다
게임의 해악을 설교하기 전에 게임의 매력을 직접 경험해 본다
꼴찌인 아이가 싫은 이유는 부모가 창피를 당하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부모가 방을 치워주는 습관을 그만 두면, 아이는 치우는 방법을 생각하게 된다
사과하는 것이 아니라 사과하는 마음을 키워주자
비 오는 날에 놀면서 처음으로 알게 되는 경험도 있다
아이가 싫은 경험을 할 때마다 부모가 나서지 말고 협력을 해 주자
거절하는 습관이 나쁜 일을 막는다
아이를 전학 보내는 것은 불쌍하다가 아니라 다른 인간관계를 만들 수 있는 용기를 키워준다
외모에 대한 열등감도 부모의 무조건적인 사랑만 있다면 괜찮다
아빠가 싫어가 아니라 아빠의 어디가 싫은가를 들어 본다
싫은 사람을 좋아하려고 노력해라 보다 싫은 사람과 어울리는 방식을 배우게 한다
캐묻기보다 걱정하는 마음을 전하는 편이 아이의 고민을 들을 수 있다
학교에 가지 않는 것을 탓하기보다, 가려는 노력을 칭찬해 준다
아이들이 괴롭혀도 지지 마라는 말은 결국 아이를 추궁하는 말이다
친구 사이에 생긴 트러블, 장난과 괴롭힘은 구분한다
부모가 실패를 인정하면 아이도 솔직하게 사과할 수 있게 된다
부모의 실언도 아이와 대화를 나누는 기회가 된다
아이를 때렸다면, 때린 자신이 아니라 방식에 대해서 반성한다
아이와 한 약속을 지키지 못할 때는, 사과보다는 앞으로 어떻게 할지가 더 중요하다
완벽하지 못한 부모가 아이를 편안하게 해 준다
6장 아들러 박사의 실패를 활용하는 자녀교육법
못하는 아이를 보는 것이 아니라 못하는 일을 본다
다른 아이와 비교하지 말고, 그 아이의 성장을 인정하라
결과보다 과정에 주목하라
할 수 없었던 일보다 할 수 있었던 일을 이야기하라
이렇게 하면 좋다보다 이렇게 하는 방식도 있다는 것을 전하라
자신의 말로 전할 수 있도록 용기를 주자
폐를 끼치지 않는 삶의 방식이 아니라 타인에게 도움이 되는 삶의 방식을 가르친다
리뷰
책속에서
실패를 모르고 자란 아이는 '실패에 약한' 아이가 된다. 100점 만점을 받지 않으면 자신을 좋아할 수가 없게 된다. 사춘기가 지나면 아이는 친구관계도 복잡해지고, 크고 작은 수많은 실패에 직면하는데 실패를 모르는 아이는 작은 실패에 직면할 때조차 다시 일어서기 힘들다. 부모의 역할은 아이가 실패를 경험하지 못하도록 보호하고 지키는 일이 아니라, 아이가 스스로 실패를 통해서 무언가를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이다. - 본문 19p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