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지/출판 > 서지/문헌/도서관
· ISBN : 9788991706477
· 쪽수 : 527쪽
· 출판일 : 2011-10-30
책 소개
목차
발간사·5
일러두기·9
제1부 화보: 사진으로 보는 근현대도서 100년
한국문학의 탄생·15
부문별 10대 작품집·16
나의 애장본 10선·21
한국학 역저ㆍ명저·22
사진ㆍ도록·38
희귀 시집·40
최초 한국 근대문학 문화재: 김소월 시집 <진달래 꽃>·44
카프시대 시인·47
한국시의 모더니즘·48
시문학파·50
시인부락과 생명파·51
항일민족시인·52
청록파·53
전위파·55
합동시집·56
유고시집·57
사화집·58
번역시집·59
동(요)시집·60
시조집·61
이광수·63
이태준·67
동인시대: 창조, 폐허, 백조·69
경향파작가·70
동반자작가·71
9인회와 순수문학·72
풍자와 세태소설·73
역사소설·74
농민소설·75
친일작가·76
해방공간의 문학·78
월북문인·80
월남문인·84
한국전쟁과 문학·86
대하소설·91
대중소설·92
베스트셀러·94
금서와 필화작품·98
여성작가·100
번역문학·101
동화·102
문학독본·103
희곡·104
평론·105
시론·107
수필·108
잡지·114
장정이 아름다운 책·123
문학과 영화·127
증정본 저자 서명·129
판권면의 저자 인장·131
육필시·133
인사동 경문서림에 남긴 흔적·135
제2부 목록: 발행 순서로 보는 근현대도서 100년
시·139
소설·221
수필·295
잡지·361
한국학·399
서지·481
도록·499
대중·509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목록집에 수록된 책들은 그것들을 얻을 때마다 각기 다른 특별한 사연들을 갖고 있다. 특히 김소월의 시집 『진달래꽃』의 경우는 더욱 각별하다. 1994년 겨울로 기억된다. 퇴근 후 여느 때처럼 노량진 근처의 단골서점에 들렀는데 서점 주인이 내 눈치를 살피며 책 두 권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김억의 『안서시집』과 김소월의 『진달래꽃』 초판본 시집이었다. 『안서시집』은 그렇다 치더라도 소월의 『진달래꽃』 초판본은 수집가들 사이에 첫 손가락을 꼽는 수집대상 1호였다. 유심히 살펴보니 그간 알려진 시집과는 판이하게 달랐다. 표지에 꽃그림도 없었고, 특히 꽃 자의 표기가 맞춤법 통일안 이전의 표기법으로 되어 있어서 조심스레 서점 주인에게 이 책이 초판이 맞는지 물었다. 주인 역시 확신을 못하면서도 종이의 재질이나 활자, 판권 등을 고려해 볼 때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했다. 나는 값을 물었다. 주인은 두 권에 3백만 원은 받아야겠다고 했다. 지금의 화폐가치로 따지면 3천만 원을 상회하는 금액이다. 책값이 문제가 아니라 책의 진위가 더 문제였다. 나는 김소월 시집만 인수하겠다고 하고 주인에게 하루 시집을 빌려줄 것을 요청했다. 확인 후 진본이 맞으면 내가 무조건 인수하겠다고 약속을 했다. 주인은 잠시 망설이더니 시집을 빌려줬다. 나는 그 답을 찾아 경문서림 송해룡 선생을 찾아갔다. 선생께 급히 찾아온 경위를 설명하고 시집을 보여주었다. 선생은 한참을 살펴보고 나서 내게 말했다. “윤 선생 보물 중에 보물을 건졌네, 값의 고하간에 무조건 인수하게나” 하는 것이었다. 당신도 서점을 운영하면서 평생 『진달래꽃』 초판본을 두 권 취급해 봤으나 이 책은 처음 봤다는 것이다. 틀림없는
나서 내게 말했다. “윤 선생 보물 중에 보물을 건졌네, 값의 고하간에 무조건 인수하게나” 하는 것이었다. 당신도 서점을 운영하면서 평생 『진달래꽃』 초판본을 두 권 취급해 봤으나 이 책은 처음 봤다는 것이다. 틀림없는 진본이고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은 국내 유일본이니 잘 간수하란 말씀까지 해 주었다. 한편으론 흥분되는 일이었지만 책값을 마련하자니 참으로 난감했다. 욕심은 나지만 무슨 수로 책값을 마련할 것인가, 박봉의 월급쟁이가 그런 돈이 수중에 있을 리 만무했다. 나는 다음날 출근 즉시 만기가 다돼가는 적금통장을 해약할 수밖에 없었다. 책을 인수하고 나서 몇 년이 지난 뒤에 서점 주인이 내게 한마디 했다. 당시 알만한 돈 많은 유명수집가들에게 이 책을 소개했더니 이런저런 이유를 대며 사지 않더란 것이었다. 그런데 월급쟁이인 내가 선뜻 이 책을 인수할 때 자기도 무척 놀랬다는 것이다. 한편으론 이런 희귀본이 제대로 임자를 만나게 되어 무척 기뻤단다. 그때 얻게 된 김소월의 『진달래꽃』시집이 금년에 근대문학 유물로는 처음으로 국가문화재로 등록되었다. 내게는 큰 기쁨이고 보람이기도 했다. -(<발간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