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88991813502
· 쪽수 : 136쪽
· 출판일 : 2010-08-26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7
책을 읽을 학생과 학부모님께 10
머리글 14
1. 이주란 무엇일까요? 19
2. 이주를 선택한 사람들 32
3. 강제 이주 39
4. 이주를 향한 여정 50
5. 전쟁과 이주 55
6. 인종, 민족 그리고 이주 66
7. 정치와 이주 71
8. 종교와 이주 77
9. 여성과 이주 82
10. 아이들과 이주 87
11. 환경과 이주 93
12. 이주에 관해 정부가 하는 일 98
13. 이주자들이 하는 일 106
14. 이주자들의 귀환 114
한눈에 보는 이주의 역사 120
이주 관련 단체 125
찾아보기 132
리뷰
책속에서
합법적인 형식의 이주가 제한되면, 사람들은 밀입국에 의지하게 됩니다. 결국에는 밀입국을 단속하느라 망명 신청이 까다로워지고 진짜 난민들은 더 고통스럽게 됩니다. 이런 악순환 때문에 난민들은 유일한 탈출 수단으로 밀입국 중개인들에게 의지하는지도 모릅니다. 인도주의 단체들은 난민들의 망명 신청권을 지켜 주는 게 중요하다고 주장합니다. 이 단체들은 이주를 보낼 수밖에 없는 가난한 나라와 공정무역을 하고 그 나라에 투자하라고 충고합니다. 그래서 가난한 나라 사람들이 가난을 극복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합니다.
- 101~102쪽 <이주에 관해 정부가 하는 일>
멀리 보았을 때, 이주는 모든 나라의 문화를 다양하고 풍요롭게 만들어 줍니다. 이주 덕분에 우리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많은 사람을 만나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언어, 문화, 민족 집단 간의 전통적인 경계는 점차 사라질 거예요.
- 69쪽 <인종, 민족 그리고 이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