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의와 공정 1

정의와 공정 1

(키워드 한국 공론장)

목광수, 신경아, 이병훈, 설동훈, 조문영 (지은이)
나남출판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0% 0원
180원
17,8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정의와 공정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의와 공정 1 (키워드 한국 공론장)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2275192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4-05-30

책 소개

최근 한국 사회의 화두인 정의와 공정 담론의 주요 주제인 젠더, 노동, 이주민, 청년의 의미와 역사적 변화, 한국 사회에서의 활용 방식 등을 살펴보면서 공론장의 바람직한 의사소통을 이끄는 책이다. 공론장의 핵심 키워드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합리적 의사소통을 활성화하기 위해 한림대 도헌학술원에서 기획한 ‘키워드 한국 공론장’ 강연을 바탕으로 집필되었다.

목차

서문 5

1장 정의와 공정의 재검토 / 목광수
1. 한국 사회에서의 정의와 공정 이슈 19
2. 정의의 개념사와 의미 분석 23
3. 공정의 의미 분석과 개념사 26
4. 한국 사회에서의 실력주의 공정 32
5. 실력주의 공정을 합리적으로 선택하는 이유 38
6. 《정의론》 입체적 독해로 대안 모색하기 43
7. 정의로운 사회를 향한 첫걸음:
부정의 제거 경험을 통한 사회 협력의 경험 축적 50

2장 젠더란 무엇인가?: 갈등과 이분법을 넘어 / 신경아
1. 한국 사회 젠더갈등의 전개 57
2. 한국 사회 구성원들의 젠더 인식 62
3. ‘젠더’ 개념 다시 보기: 급진주의와 사회구성주의 68
4. 젠더 이분법 비판 74
5. 젠더 경계 활동 77
6. 몸과 젠더 위치 78
7.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 79
8. 도나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선언: 젠더와 인간을 넘어 84
9. AI 시대에는 젠더 이분법이 사라질 수 있을까? 88
10.젠더 정의, 그리고 이분법을 넘어서는 상상의 필요성 92

3장 공론장에 선 노동 / 이병훈
1. 노동 이슈의 각축적 공론장 97
2. 노동 개념의 이해 100
3. 노동 상품화를 둘러싼 주요 논점 108
4. 한국 사회의 주요 노동 이슈 117
5. 극한 대립의 노동 공론장 124
6. 상생적 공론화를 위하여 130

4장 이주, 다문화 개념과 혼돈의 공론장 / 설동훈
1. 한국 사회에서 이주의 의미 135
2. 이주,다문화 개념 136
3. 이주,다문화 개념사 147
4. 한국 공론장에서의 이주,다문화 162

5장 ‘청년’이라는 배치 / 조문영
1. 21세기 한국의 ‘청년세대’ 177
2. 청년을 문제화한 조건들 184
3. 청년세대의 수행성 187
4. ‘밀레니얼 청년’의 배치 193
5. ‘이대남 대 이대녀’의 배치 196
6. ‘MZ세대 공정론’의 배치 200
7. 다른 청년, 다른 배치 206

저자 소개 215

저자소개

설동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북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고용이민연구센터 이사장을 맡고 있다. 국제결혼중개업, 외국인고용허가제, 이민개방, 남북통일 후 사회통합 등에 대한 정책·학술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외국인노동자와 한국사회>(1999), <韓國の少子高齡化と格差社會: 日韓比較の視座から>(2011, 공저), <사회조사분석> 제4판(2012, 공저)이 있다.
펼치기
신경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사회학 석사학위를 취득했고, 서강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 분야는 여성학, 여성노동, 가족 등이며, 노동과 돌봄, 일-삶 균형work-life balance, 여성의 노동시장 조건, 감정노동 등을 주제로 질적 연구를 수행해왔다. 한국여성학회장, 한국사회정책학회장 등을 지내며 노동시장 내 성별 격차 해소를 위한 이론과 정책 개발의 토대를 구축해왔고, 서울시 성평등임금격차개선위원장을 맡아 국내 최초 성평등임금공시제 시행을 이끌었다. 지은 책으로 《젠더와 사회》(공저), 《여성과 일》(공저), 《감정노동의 시대, 누구를 위한 감정노동인가》(공저), 《코로나 시대의 페미니즘》(공저) 등이 있으며, 〈저출산 대책의 쟁점과 딜레마〉, 〈노동의 불안정성과 젠더〉, 〈젠더 관점에서 본 유연근무제의 필요성과 딜레마〉, 〈시간선택제 여성노동자의 조직 내 주변화에 관한 연구〉, 〈신자유주의시대 남성 생계부양자의식의 균열과 젠더관계의 변화〉 등의 논문을 썼다.
펼치기
이병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코넬대학교 노사관계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및 재단법인 공공상생연대기금 이사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그간 서울시 근로자권익보호위원회 위원장, 참여연대 노동사회위원회 위원장, 노사정위원회 공익위원 및 책임전문위원, 아울러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의 정책자문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노동자 연대_불안정고용 시대 노동약자들의 승리 전략』, 공저로는 『일의 가격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I & II』, 또한 공역서로는 『자본주의의 노동세계』 외 다수가 있다. 비정규직 등의 취약노동자 계층으로부터 비롯되는 우리나라의 노동시장 양극화 문제에 초점을 둔 실천적 연구들을 계속해 오고 있다.
펼치기
조문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한국과 중국을 오가며 빈곤이란 주제를 새롭게 등장시키는 작업에 관심을 기울여왔다. The Specter of “The People”, 『빈곤 과정』을 썼다. 엮은 책으로 『동자동, 당신이 살 권리』 『문턱의 청년들』 『민간중국』 『우리는 가난을 어떻게 외면해왔는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분배정치의 시대』가 있다.
펼치기
목광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 철학과 교수다. 윤리학과 정치철학 관련 연구를 해오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의 윤리, 그리고 생명의료윤리를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인공지능 개발자 윤리》(2024), 《루치아노 플로리디, 정보 윤리학》(2023), 《정의론과 대화하기》(2021)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롤스는 실력이 중시되는 사회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실력만을 사회 재화의 분배 원리로 적용하려는 체제로서의 실력주의를 부정하는 것이다. … 롤스에 따르면 이러한 실력은 우연적인데, 이를 원리와 기준으로 전체 사회 재화를 분배하여 실력이 좋은 사람들이 그러한 재화를 독점하고 이를 정당화하는 것은 부당하다. (1장 ‘정의와 공정의 재검토’)


해러웨이가 지향하는 세계는 젠더 이분법이 해체된 자유로운 사회다. 젠더란 사회적 성별 체계이므로 이런 개념조차 필요 없는 세계를 꿈꾸는 것이다. 사이보그는 기술과학 시대의 새로운 존재로서 젠더를 넘어선다. (2장 ‘젠더란 무엇인가?’)


노동 현실의 후진성은 노동 이슈를 다루는 우리나라의 공론장이 생산적 협상과 상생적 타협을 이루는 성숙한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소모적 갈등으로 얼룩져 온 것과 무관치 않을 것이다. (3장 ‘공론장에 선 노동’)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