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야베 미유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0년 일본 도쿄, 후카가와에서 태어났다. 스물세 살 때부터 소설을 쓰기 시작해, 이 년 동안 고단샤 페이머스 스쿨 엔터테인먼트 소설 교실에서 수학했다. 1987년에 올 요미모노 추리소설 신인상을 받은 단편《우리 이웃의 범죄》로 데뷔했다. 그 후《마술은 속삭인다》(1989)로 일본추리서스펜스대상, 《용은 잠들다》(1991)로 일본추리작가협회상,《화차》(1993)로 제6회 야마모토슈고로상, 《가모우 저택 사건》(1997)으로 일본 SF대상을, 《이유》(1999)로 나오키상, 《모방범》(2001)으로 마이니치 출판대상 특별상, 《이름 없는 독》(2006)으로 요시카와에이지문학상을 수상하며, 명실 공히 일본을 대표하는 최고의 미스터리 작가로 군림한다.
어렸을 때부터 시대 소설과 대하드라마를 좋아했던 아버지 덕에 많은 작품을 접하고, 시대물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 에도에 사는 사람들의 인정을 그려 요시카와 에이지 문학신인상을 수상한《혼조 후카가와의 기이한 이야기》(1991)를 시작으로, 초능력자가 등장하거나 괴담과 미스터리를 접목한 작품들, 또는 하급 관리 주인공이 괴이한 사건을 수사하는 시대 미스터리를 썼다. 저자 자신의 고향이기도 한 후카가와를 배경으로 한 작품과 더불어 봉건 사회를 사는 서민의 고통에 주목한 사회파 시대 미스터리《외딴집》(2005)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를 미스터리와 접목한 작품을 속속 발표해 기존 시대 소설 독자뿐 아니라 시대 소설을 읽기 어려워하는 독자들까지 동시에 사로잡았다.
그 밖의 작품으로 《벚꽃 다시 벚꽃》《세상의 봄》 《안주》 《낙원》 《희망장》 등이 있고, 2012년 국내에서 영화화된 《화차》 외에도 《대답은 필요 없어》 《스나크 사냥》 《모방범》 《이유》《고구레 사진관》 《솔로몬의 위증》 등 다수 작품이 영화화되거나 드라마화되었다.
현재 하드보일드 작가 오사와 아리마사(大澤在昌), 미스터리 작가 교고쿠 나쓰히코(京極夏彦), 미야베 미유키(宮部みゆき), 이렇게 세 사람의 성을 딴 사무실 '다이쿄쿠구大極宮'를 만들어 함께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김소연 (옮긴이)
정보 더보기
다양한 일본 문학 작품을 번역하고 출판을 기획한다. 옮긴 어린이책으로 〈수상한 보건실〉 시리즈와 〈마르가리타의 모험〉 시리즈를 비롯해 《우리 반 물고기 아이》, 《코끼리는 1학년》, 《어떤 말》, 《빌려준다고 했는데…》, 《그 소문 들었어?》, 《일기 쓰고 싶은 날》, 《첼로, 노래하는 나무》, 《용돈 좀 올려 주세요》 들이 있다.
펼치기
이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극·뮤지컬 연출가로 ‘극단 이진’ 대표다. 팟캐스트 ‘북텔러리스트’ 연출과 ‘새하늘 미디어’ 오디오북 연출을 진행하고 있다. ‘SAE 아카데미’ 부원장으로 성우과정 연기 지도도 맡고 있다. 서울대학교 국악과를 졸업하고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학부, 전문사 과정에서 연출을 전공했다. 연출작으로 뮤지컬 [밥 짓는 시인, 퍼 주는 사랑](공동 연출), 뮤지컬 쇼케이스 [헤이 미스터 디제이], 연극 [마이 시스터 인 디스 하우스], [늙은 마술사], [어떤 결혼식], 다원예술 [아시아 우리들의 동화 엄마나라 이야기], 판소리극 [소리로 듣는 삼국지], 마당극 [터 탓] 등이 있으며 낭독 공연 [읽어드릴깝쇼], [안주] 등이 있다. 제작에 [모란이모], [가든], [눈덩이 지구이론] 등이 있다. 단편영화 [웃음을 참으면서]로 2003년 밀라노 필름페스티벌에서 여우주연상을 받았고, 장편영화 [질투는 나의 힘], [포도나무를 베어라], [혜화, 동], [똥파리] 등과, 단편영화 [도둑소년], [숙자야] 외 다수에 배우로 출연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