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대안교육
· ISBN : 9788992107624
· 쪽수 : 222쪽
· 출판일 : 2007-10-05
책 소개
목차
감사의 말
1장 소개
2장 교육의 기초가 된 철학과 커리큘럼
관념론 철학 / 실재론 철학 / 프래그머티즘 철학
3장 트리비움의 역사적 발전과정
소크라테스의 생애
플라톤의 생애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
아리스토텔레스가 고전적 교육에 끼친 영향
이소크라테스의 생애
퀸틸리아누스의 생애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생애
카시오도루스의 생애
4장 대학의 태동
중세 대학의 기원 / 초기 대학 / 커리큘럼 / 중세 대학의 중요성 / 유명한 스콜라주의 교수들
5장 고전적 교육의 쇠퇴
계몽주의 운동 / 윌리엄 제임스와 프래그머티즘 / 존 듀이와 교육의 진보주의
6장 고전적 교육의 재기
도로시 L.세이어스의 생애와 '잃어버린 배움의 도구'
배움의 잃어버린 도구는 무엇이며 그것이 왜 그렇게 중요한가?
문법 단계 / 논리 혹은 변증 단계 / 수사학 단계
더글러스 윌슨과 <잃어버린 배움의 도구를 찾아서>
모티머 애들러와 <공교육 대개혁안> / 공교육 대개혁안
학교의 목적 / 커리큘럼 / 1열_지식습득 / 2열_기술 개발 / 3열_이해력 확장
교사의 역할/ 학생의 역할
7장 실습 모형과 결론
고전학교에서 어떻게 가르칠지 고전하다 / 고전 철학의 체로 거르다
부록 - 잃어버린 배움의 도구
추천도서 참고도서
책속에서
고전적 교육의 방어벽이었던 교양과목 교육이 심하게 쇠퇴했지만 다행이도 2000년 넘게 지탱해 온 고전적 교육의 단단한 기초는 여전히 흔들리지 않았다. 이 책의 결론에서는 모티머 애들러, 도로시 세이어스, 더글라스 윌슨 같은 사람들이 어떻게 그 방어벽을 다시 세웠고, 그들의 노력이 어떻게 우리 자녀들에게까지 고전적 교육을 전달한 국가적 운동의 촉매제가 되었는지 그 감동의 이야기를 나눌 것이다.-p108 중에서
오늘날 교육자는 스스로 교사님을 인식해야 한다. 진보주의 운동에서 규정하듯 '촉진자'가 아니라는 말이다. 오늘날 교육자가 되려면 우리는 어마어마하게 큰 가치를 지닌 이 '도구'를 가르치는 일에 헌신해야 할 것이다.-p170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