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88992114844
· 쪽수 : 283쪽
· 출판일 : 2013-04-2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RULE #1 당신의 열정을 따르지 마라
제1장 스티브 잡스의 열정
수백만 명을 매혹시킨 연설 | 스티브 잡스는 애초에 열정이 없었다 | 내가 좋아하는 일을 어떻게 찾을까
제2장 열정은 속임수다
일은 단계별로 차근차근 | 열정보다는 일이 먼저다
제3장 열정은 위험하다
누가 열정에 불을 지폈는가 | 타고난 열정
RULE #2 아무도 당신을 무시하지 못하게 실력으로 승부하라 (실력의 중요성)
제4장 열정마인드 vs 장인마인드
육체적이면서 정신적인 연습 | 장인마인드 | 열정마인드 | 장인마인드로 일하라
제5장 커리어 자산의 힘
무엇이 좋은 직업인가 | 무모한 열정이 가져온 참담한 결과 | 장인마인드가 실패하는 경우
제6장 커리어 자산을 쌓아라
높은 장벽을 무너뜨려라 | 알렉스 버거는 어떻게 할리우드에 입성했을까 | 자산이 모든 것을 말해준다 | 실리콘밸리에서 가장 인기 있는 직업 | 마이크 잭슨은 어떻게 벤처투자자가 되었나 | 진정으로 잘할 수 있도록 노력하라
제7장 스스로 장인이 되어라
왜 조던 타이스는 나보다 뛰어난 기타리스트가 되었을까 | 그랜드마스터가 되는 법 | 비판은 디딤돌이 된다 | 장인의 5가지 습관
RULE #2 요약
RULE #3 승진에 얽매이지 마라(자율성의 중요성)
제8장 꿈의 직업을 만드는 묘약
레드 파이어 팜의 인기 비결 | 전문성이 높아져야 열정이 커진다 | 자율성은 자유를 준다
제9장 자율성의 첫 번째 함정
모험이 가득한 인생의 끝 | 자율성을 위해서는 자산이 필요하다
제10장 자율성의 두 번째 함정
루루는 왜 승진을 거부할까 | 자율성은 저항을 불러온다 | 용기 문화
제11장 자율성의 함정을 피하는 방법
왜 리더는 미친놈처럼 보일까 | 기꺼이 돈을 지불할 것인가
RULE #3 요약
RULE #4 작게 생각하고 크게 행동하라(소명의 중요성)
제12장 의미 있는 삶
냉소주의의 덫을 피하라 | 소명은 삶의 가치를 이해하는 척도다 | 소명이 이끄는 삶
제13장 소명에는 자산이 필요하다
소명은 왜 실패할까 | 탁월한 아이디어는 어떻게 탄생하는가 | 최첨단까지 나아가라 | 작은 생각, 큰 행동
제14장 작은 승부
생각과 실행 사이의 격차를 뛰어넘다 | 소명에 커리어를 바칠 수 있을까 | 안락의자에 앉은 고고학자 | 작은 승부를 걸어라 | 커리어 자산과 소명
제15장 보랏빛 소
작은 소명에서 뛰어난 업적이 나온다 | 보랏빛 소와 록 스타 | 무작정 소문을 내라 | 이야기 마당이 필요하다
RULE #4 요약
결론 | 용어정리
리뷰
책속에서
글래스는 재미있는 일이 주어질 정도로 라디오 진행을 잘하게 되기까지는 수년이 걸렸다고 말하면서, 어떤 일을 잘하게 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강조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떻게든 일을 해나가며 실력을 키워가는 겁니다. 제일 어려운 단계죠.”
‘일이라는 것은 원래 힘드니 그냥 받아들여라’보다는 뭔가 더 희망적인 말을 기대했던 학생들은 절망적인 표정을 지었고, 이를 눈치 챈 글래스는 말을 계속 이어나갔다. “제 생각에 여러분의 문제는 실제로 일을 해보기도 전에 머릿속으로만 모든 것을 판단하려는 거예요. 그건 정말 잘못된 생각입니다.”
또 다른 인터뷰에 나오는 사람들도 나중에 무엇을 좋아하게 될지 미리 예상하는 것은 어렵다고 말한다. 우주생물학자 앤드류 스틸Andrew Steel도 “저는 제가 이 일을 하게 될 줄은 몰랐어요. 앞으로 무엇을 할지 지금 미리 정해야 하는 제도는 별로 좋지 않아요”라고 말했다. 학생 한 명이 스틸에게 ‘언젠가 세상을 바꿔 놓겠다는’ 생각으로 박사과정을 시작했느냐고 물었다.
“아니오. 난 단지 여러 선택 중에서 이 일을 택한 것뿐이에요.”
채널 아일랜드 서프보드Channel Island Surfboards의 창립자 알 메릭Al Merrick 역시 시간이 흐르면서 자연히 열정을 갖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사람들은 인생을 너무 급히 시작하려 서두릅니다. 이 점이 안타까워요.” 그는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큰 기업을 만들겠다는 마음으로 시작한 게 아니었어요. 무엇을 하든 내가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제일 잘해야겠다는 목표를 세웠죠.”
다른 동영상에서 워싱턴 스탠우드의 유명한 유리세공 기술자 윌리엄 모리스William Moris는 태평양 연안 북서부의 무성한 숲에 위치한 작업장으로 학생들을 데리고 갔다. 그 작업장은 헛간을 개조한 것이었다. 한 여학생이 이렇게 고민을 토로했다. “저는 호기심이 많아서 특별히 어느 한 가지를 좋아한다고 할 만한 게 없어요.” 모리스는 그 학생에게 말했다. “앞으로도 계속 그럴 거예요. 꼭 확실하게 한 가지를 정할 필요는 없어요.”
이 인터뷰는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좋은 직업을 위한 커리어 자산
? 좋은 직업을 규정하는 특징은 희소하고 가치 있는 것들이다.
? 수요와 공급 법칙에 의하면 이러한 특징을 얻기 위해서는 그 대가로 지불할 희소하고 가치 있는 기술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자신이 제공할 수 있는 희소하고 가치 있는 기술은 곧 ‘커리어 자산’이 된다.
? ‘아무도 무시하지 못하는 실력으로 승부하겠다’는 장인마인드는 커리어 자산을 획득할 때 필요한 전략이다. 그러므로 좋아하는 일을 하기 위해서는 장인마인드가 열정마인드보다 더 적합하다.
잡스, 글래스, 메릭은 모두 일을 할 때 장인마인드로 임했다. 심지어 ‘장인’이라는 단어를 직접 사용한 이들도 있었다. 메릭은 보드 제작 초기의 인터뷰에서 “저는 장인입니다”라고 말했다. 커리어 자산 이론은 이것이 결코 우연이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좋은 일을 규정하는 특징을 갖기 위해서는 그 대가로 제공할 수 있는 희소성과 가치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바로 내가 커리어 자산이라 부르는 것들이다.
장인마인드는 자신이 만들어내는 결과물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가능한 한 많은 커리어 자산을 획득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태도다. 이것이 바로 내가 열정마인드보다 장인마인드를 권하는 궁극적 이유다. 이는 열정의 존재나 노력의 가치에 관한 철학적 논쟁이 아니다. 오히려 지극히 현실적인 논의다. 직업에서도 이런 좋은 요소들을 갖추고 싶다면 우선 스스로 실력을 갖추어야 하며 장인마인드는 바로 이러한 실력을 갖추는 데 중점을 둔다.
그리고 이러한 주장에 따르면 열정마인드는 반대로 부정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열정마인드는 좋아하는 일을 찾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목표를 달성하는 데도 방해가 되며, 때로는 끔찍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만약 자율성의 힘을 실무에서 직접 관찰하고 싶다면 결과 중심의 근무환경(ROWE: Results-Only Work Environment)이라는 혁신적 아이디어를 도입한 기업을 살펴보라. 이런 기업에서는 직원들이 오로지 성과만으로 평가받는다. 언제 출근해서 언제 퇴근하는지, 언제 휴가를 가는지 그리고 얼마나 자주 이메일을 체크하는지 등은 전혀 규제 대상이 아니다. 중요한 일에 성공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는 모두 스스로 결정한다. ROWE 지지자들은 이렇게 말한다. “결과를 못 내는 직원에게는 일을 주지 않죠. 아주 간단해요.”
인터넷에서 ROWE 기업의 경영 사례를 살펴보면 더 많은 자율권을 갖게 되어 자유로워진 직원들의 예를 수없이 찾을 수 있다. 베스트바이Best Buy 본사에서 ROWE를 채택한 팀에서는 퇴사율이 90%나 줄어들었다. “저는 ROWE 시스템이 좋아요. 제가 제 삶의 주체라는 느낌이 들어요.” 베스트바이의 한 직원의 말이다.
갭GAP 본사에서 ROWE 시범 운영을 하는 직원들은 행복감을 느꼈고 업무 능력도 향상되었다. 한 매니저는 이렇게 말했다. “직원들이 이렇게 만족하는 걸 본 적이 없어요.” 비영리단체로서는 처음으로 ROWE를 채택한 캘리포니아 레들런즈Redlands의 한 단체에서는 80%의 직원들이 더욱 일에 열중했으며, 90% 이상은 삶이 더 나아졌다고 말했다. 실제 이 정도의 비율이라면 보편적 동의가 이루어진 것이나 다름없다.
더 많은 논문을 찾아볼수록 다음 사실은 더욱 분명해진다. 사람들에게 무슨 일을 할지와 어떻게 일을 할지에 대해 더 많은 자율성을 부여할수록 행복도와 참여도, 성취감이 높아진다. 꿈의 직업을 통해 정신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들을 리스트로 만들면 자율성이 그 핵심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