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92169868
· 쪽수 : 274쪽
· 출판일 : 2014-03-2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중국철학의 의의·특징·배경
제1절 중국철학의 의의
1. 중국철학의 의의
2. 중국철학의 긍정적 평가
제2절 중국철학의 특징
1. 우환을 해결하려고 함
2. 현실을 중시함
3.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함
4. 평화로운 사회를 만들고자 함
5. 내면적 즐거움을 중시함
6. 정치지향적임
제3절 중국철학의 배경
1. 요순과 삼대
2. 천명사상
3. 음양오행사상
4. 예 사상
제4절 중국철학사의 시대구분
제2장 선진철학
제1절 제가백가의 발생과 그 분류
1. 시대적 배경
2. 제자백가의 발생원인
3. 제자백가의 분류
제2절 유가
1. 서설
2. 공자
(1) 천명론 (2) 학습과 사유 (3) 인과 인간의 본성 (4) 극기복례 (5) 군자론 (6) 인의 실천
3.증자
(1) 명덕을 밝힘 (2) 효는 덕의 근본
4.자사
(1) 천도론 (2) 천명으로서의 성 (3) 중용의 실천과 충서 (4) 존덕성과 도문학
5.맹자
(1) 천명론 (2) 지성과 지천 (3) 성선설 (4) 사덕과 오륜 (5) 존심과 양성
6.순자
(1) 기론적 우주론 (2) 지각과 사유 (3) 성악설 (4) 교화와 교도 (5) 정명의 논리
제3절 도가
1. 서설
2. 노자
(1) 도와 만물 (2) 신비적 직관 (3) 회의론 (4) 순박한 인간 (5) 도의 체득
3. 양주
(1) 운명론 (2) 중생주의 (3) 자애설
4. 장자
(1) 도와 만물 (2) 신비적 직관 (3) 회의론 (4) 지혜와 가치 (5) 소박한 인간 (6) 전성사상
(7) 소요무애
제4절 묵가
1. 서설
2. 묵적
(1) 천명론 (2) 경험론과 삼표법 (3) 겸애와 공리 (4) 검소와 절약
제5절 명가
1. 서설
2. 혜시
(1) 도와 만물 (2) 만물이 모두 같음 (3) 이십일 조목
3. 공손룡
(1) 명칭과 실재의 일치 (2) 흰말은 말이 아님 (3) 견과 백의 분리 (4) 2에는 1이 없음
(5) 가리킴과 가리켜진 것
제6절 음양가
1. 서설
2. 추연
(1) 음양설 (2) 오행설 (3) 오덕종시설
제7절 법가
1. 서설
2. 한비
(1) 제천론 (2) 감각과 사유 (3) 성악설 (4) 법치주의
제3장 한당철학
제1절 경학
1. 서설
2. 동중서
(1) 기론적 우주론 (2) 성삼풀설 (3) 오상과 삼강
3. 왕충
(1) 원기론 (2) 감각과 사유 (3) 성상품설 (4) 교화와 교도
제2절 현학
1. 서설
2.왕필
(1) 귀무론 (2) 득의 망언 (3) 성정론 (4) 무위론
3. 곽상
(1) 승유론 (2) 성지와 모방 (3) 차별의 타파 (4) 자성의 보존 (5) 지극한 사람
제3절 불학
1. 서설
2. 승조
(1) 공의 부정 (2) 사물불천 (3) 반야무지
3. 지의
(1) 일년삼천설 (2) 삼제원륭 (3) 지관병중
4. 법장
(1) 법계연기설 (2) 시공원융 (3) 화엄세계
5. 혜능
(1) 유심론 (2) 이심전심 (3) 돈오성불
제4장 송명철학
제1절 기학
1. 서설
2. 주돈이
(1) 태극설 (2) 성선설 (3) 주정과 무욕
3. 장재
(1) 태허설 (2) 견문과 궁리 (3) 기질의 성 (4) 학습을 통한 수기
4. 정호
(1) 기론적 우주론 (2) 기질의 성 (3) 인의 체득
제2절 리학
1. 서설
2. 정이
(1) 리기이원론 (2) 치지 곧 리를 궁구함 (3) 의리의 성 (4) 용경과 궁리 (5) 선지후행설
3. 주희
(1) 주리적 리기론 (2) 궁리 곧 격물과 치지 (3) 본연의 성과 기질의 성 (4) 인과 도심
(5) 거경과 궁리 (6) 선지후행설
제3절 심학
1. 서설
2. 육구연
(1) 심즉리설 (2) 천리로서의 성 (3) 마음을 밝힘 (4) 존심과 양성
3. 왕수인
(1) 심론 (2) 양지설 (3) 양지에 이름 (4) 지행합일설
4. 이지
(1) 묘명진심 (2) 묘명진심의 보존 (3) 정론이 없음 (4)사심과 욕구의 충족
제5장 청대철학
제1장 기학
1. 서설
2. 황종희
(1) 주기론 (2) 리의 인식과 (3) 기질의 성
3. 왕부지
(1) 기화일신론 (2) 격물과 치지 (3) 성은 날로 생성됨 (4) 천리에 합치
4. 안원
(1) 주기론 (2) 경험을 통한 인식 (3) 육신의 성 (4) 오염된 습성의 제거
5. 대진
(1) 기화유행론 (2) 관찰과 사유 (3) 혈기의 성 (4) 충서와 학습
제2절 공양학과 현대
제6장 중국철학의 미래
제1절 중국철학의 요체
제2절 중국철학의 미래
[붙임] 병가. 1.서설 2.손무 3.손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