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환경/생태문제 > 환경문제
· ISBN : 9788992214971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0-09-07
책 소개
목차
신판 서문 …7
추천의 글: 아베 피에르 …10
들어가는 말 …15
제1장 농업의 역사 …37
초기 농업 문명
세계를 먹여 살리는 곡창 지대
초기의 가축 사육
제2장 나는 녹색 혁명이 탄생하는 것을 보았노라 …73
뤼에프와 아르망의 보고서
발전: 이마쥬 데피날 Image d’?pinal
생산 제일주의의 유토피아
제빵이 불가능한 이상한 밀
제3장 인간의 건강은 지구의 건강을 반영한다 …97
NPK 3요소 혹은 도그마의 힘
흙은 생명을 만들어내는 곳이다
농촌 경제의 파괴적 메커니즘
농업 시스템 파괴의 영향
식량 무기
제4장 생태농업의 도래 …201
역사적 전환점
루돌프 슈타이너의 바이오다이내믹스
기타 국제적인 운동들
생태농업의 정의와 그 기본 원리
제5장 생태농업의 기법 …253
윤작
식물의 동반자 관계
그 옛날 초원들은 어디로 갔을까?
경제는 어떻게 파산하는가
생태농법을 이용한 토양의 비옥화
생태농업의 ‘잡초’ 방제법
제6장 미래의 농업 …279
현실과 전망
생태농업과 제3세계의 발전
제7장 과거의 교훈 …307
인디언들은 사라지지 않았다!
또 다른 발전을 위한 새로운 은행들
제8장 묵시록의 시나리오 …315
향후 10년 안에 가능한 시나리오는 무엇인가?
제9장 세계는 변하고 있다 …321
지구
부조리한 세상
후기: 아놀드 카우프만/자크 쁘제 …343
부록: 생태농업 공표 초안 …355
책속에서
수역獸疫이나 기생충병이 한두 해만 창궐해도 우리의 농업을 마비시킬 개연성은 충분히 있다. 과도하게 전문화 되고 집중된 우리의 생산 시스템은 이런 유의 사고에 매우 취약하다. 2~3년 전부터 유럽 과수 농가는 일부 과일나무들이 걸린 ‘화상병火傷病’이라는 새로운 병으로 많은 피해를 입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아무런 대처도 못하고 있는 우리의 무능력을 보고 있노라면 우리 능력의 한계와 안정적인 공급이 얼마나 환상인가를 충분히 잘 알 수 있다. 약간의 문제만 발생해도 공급 체계는 와해될 것이다.
현재 농업이 어떤 모습으로 변해가고 있는지 살펴보면, 먹을거리 및 유전자의 다양성이 점점 더 감소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독점기업의 대규모 생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지난 세기 보았던 아일랜드의 비극은 우리가 아무 생각 없이 만든 상황이 종국에는 얼마나 큰 위험으로 다가오는지 잘 경고하고 있다.
―들어가는 말, 18~19쪽
눈부신 기술 발전이 이루어지자 사람들은 산업적 마인드를 농업에 적용시킬 수 있다고 믿고 비료의 양을 계속 증가시켜 수확량을 무한정 증가시키려고 했다. 이 같은 방식으로 땅은 그저 수천 톤의 화학물질을 매년 쏟아부어도 아무 손상 없이 이를 감내할 수 있는 불활성 매체로 취급당했다. 이는 오직 테크놀로지와 상업적인 논리만이 맹목적으로 작동하는 수법이며 전통적인 기법과는 완전한 단절을 이루는 것이다. 전통적인 농사방법은 토양이 계속 비옥함을 유지하면서 인간에게 끊임없는 혜택을 베풀 수 있도록 지력의 보전과 순환 그리고 회복에 배려를 했다. 현대적인 농업에 부여된 단기적인 목표는 말 그대로 광산식 채굴 프로그램이었다. 토양의 잠재적 생산성을 광맥을 채굴하는 방식 그대로 끝을 볼 때까지 착취한 후 방치하고 다른 곳에서 다시 시작하는 것이다.
―인간의 건강은 지구의 건강을 반영한다, 100쪽
나날이 더 비참해져가는 세계 곳곳을 기근의 공포가 휩쓸고 있는 동안 지구 도처에서 농부들은 사라져가고 있다. 또한 경제 위기와 실업 문제는 더욱 악화되고 선진국들은 과잉 생산된 무익한 잉여생산물에 무너지고 있다. 사회·경제적인 무질서는 더욱 증가하고 있으며 국제통화시스템이 붕괴할지도 모른다는 전망에 불안감과 혼란이 가중되어 세계의 안정은 위협받고 있다.
1984년 12월 보팔에서 일어난 참사로 2,500명의 사망자와 중·경상자 포함 75만 명의 피해자가 발생했다. 사람들은 이 비극을 통해 전쟁의 화학무기가 농업에 결합됨으로써 죽음의 산업과 생명 산업의 위험이란 결국 유사한 성격을 띤다는 사실을 깨닫고 혼란스러워 했다. 농업은 이제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독성물질로 우리의 환경과 먹을거리를 오염시킨다는 불명예를 안고 점점 더 고유한 아우라를 상실하고 있다.
―생태농업의 도래, 205~20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