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문화와 정체성 (현대 러시아 문학과 연극이 던진 질문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88992272834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6-08-31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88992272834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6-08-31
책 소개
'문화와 정체성'이라는 큰 틀에서 현대 러시아 문학과 연극, 그리고 문화학의 영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변화상과 그 함의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혼돈과 위기의 국면을 넘어 포스트소비에트 러시아에서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정체성의 문제를 조명하는 책이다.
목차
서문
제1장 포스트소비에트 문화와 ‘위기’의 문학
1. 문화적 환경의 변화와 장소성
2. 문화적 전통의 연속과 단절
3. 갈림길과 ‘위기’에 선 문학
제2장 현대 러시아 소설에 나타난 작가의 초상: 페트로비치와 타타르스키
1. 문학을 숭상하는 나라
2. 페트로비치 - 지하인간 혹은 ‘우리 시대의 주인공’
3. 타타르스키 - 카피라이터 혹은 크리에이터
제3장 고전의 무대화와 도스토예프스키
1. 극장의 부활과 고전의 무대화
2. 도스토예프스키 소설의 무대화
3. 현대 러시아 연극무대 위 도스토예프스키
3-1. 네베지나의 「죄와 벌」
3-2. 아르치바셰프의 「카라마조프씨네」
제4장 공연문화의 변화상: 연극을 중심으로
1. 러시아 연극과 문화정체성
2. 극장의 ‘페레스트로이카’와 재구성
3. 레퍼토리의 다양화와 ‘고전의 무대화’
4. 극장과 관객의 두 얼굴
제5장 레프 도진의 ‘앙상블’ 극장: 「형제자매들」을 중심으로
1. 20세기 연극과 새로운 극장
2. 말리극장과 앙상블 - ‘연극-집’, ‘연극-학교’
3. 공동작업과 협업의 모험
4. ‘연극계의 전설’ 「형제자매들」
제6장 현대 러시아의 학문구조와 문화학의 등장
1. 학문장의 재구성
2. 러시아(식) 문화학의 등장과 발전과정
3. 러시아(식) 문화학과 문학의 접점들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