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음악이론/음악사
· ISBN : 9788992362320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08-04-11
책 소개
목차
제1장 민중가요와 노래의 힘
1. 노래여! 나의무기여!
2. 민중가요의 개념 및 연구사
3. 민중가요의 범주와 시대 구분
제2장 민중가요의 전개와 변모
1. 민중가요의 형성기(식민지시대~1950년대)
1)민중가요 성립의 이념적 배경
2)민요의 수용과 단절
3)민중가요의 원형적 심상과 구조
2. 민중가요의 전개기(1960년~1970년대)
1)시대적 당위와 사회의식의 발현
2)파시즘적 상황과 상징성
3. 민중가요의 전성기(1980년~1987년)
1)혁명적 낭만주의와 현실초월 의식
2)1980년대 이념 논쟁과 민중가요
3)민중적 변형으로서의 구전가요
4.민중가요의 현대적 모색기(1988년~현재)
1)주체의식의 자각과 관념화
2)이념의 소멸과 주제의 다양성
3)실존적 주제와 현대적 변용
제3장 한국 민중가요의 사회사적 의의
1. 민중가요의 특성
2. 민중가요의 의의와 한계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장조나 다조 조성의 비율은 각 시기의 사회적 분위기를 보여준다. 민중가요는 대체적으로 단조가 많다. 시대가 바뀌는 만큼 가사도 달라지지만 한국 사람이 갖는 감정은 시대가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다. 한국 사람의 통시적 정서가 시대를 넘어 유행하는 노래를 만드는 것이다. - 본문 123쪽에서
트로트는 왜색이고 동요는 유치하며 행진곡 풍은 군가의 잔재이고 포크송은 대중적 가요라고 비판받았던 리듬들, 즉 트로트와 속화된 포크의 영향을 받은 통속적 대중가요의 어법이 1990년대부터 노동가요 노래패들을 중심으로 만들어진다. 민중가요의 내용과 형식이 어떠해야 한다는 정식은 없다. 이상의 논의들은 대중가요가 가진 비정치적이며 무의식적인 특성에 대한 우려에서 나온 것이라고 해석된다. 음악이 너무 건전해서 민중의 정서와 괴리된다면 그 또한 민중적일 수 없음을 간과해서도 안 될 것이다. - 본문 296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