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주자학(성리학)
· ISBN : 9788992467049
· 쪽수 : 624쪽
· 출판일 : 2007-08-06
책 소개
목차
상
제1부. 신유학의 태동
1장. 종교개혁
개혁과 전통 | 유학의 변천 | 보수파와 개혁파
2장. 우주론
종교에서 철학으로 | 음양오행설 | 유교와 음양오행설 | 이학파의 우주론 | 기학파의 우주론
3장. 인간론
인성론 | 인식론 | 도덕론
4장. 정치론
원시유교의 정치사상 | 이학파의 정치론 | 기학파의 정치론
제2부. 주희의 성리학
1장. 이학파·기학파 종합
주희의 인품과 사명감
2장. 주희의 우주론
천제天帝에서 태극으로 | 주리적 이기이원론 | 태극 논쟁과 보편 논쟁
3장. 주희의 인간론
인간의 정신은 우주의 본체 | 주희의 심론心論 | 인식론 | 심성론의 의의
4장. 주희의 도덕·정치론
공맹의 도와 노장의 도 | 인예와 천리 | 극기를 멸인욕滅人欲으로 | 복례를 존천리로 | 성리론과 성선설 | 주희의 계몽적 정치론
제3부. 정주리학 비판
1장. 주희의 논적들
육구연의 심즉리 | 진량의 공리주의 | 섭적의 변증법적 유물론
2장. 명대 심학의 이학 비판
왕수인의 치양지설致良知說 | 이지의 동심설
3장. 명대 기학의 이학 비판
나흠순의 기학 | 유종주의 심기학
제4부. 정주리학 해체
1장. 기학의 이학 해체
청대 기학의 개요 | 천명론 부정 | 주리론 부정 | 성리설 부정 | 극기론 재해석 | 복례론 부정 | 정치사회론
2장. 인식론 비판
인성론과 인식론 | 육왕의 관념론과 정주 비판 | 성기학의 경험론
하
제5부. 조선의 성리학
1장. 조선의 성리학 수용
역사적 배경
2장. 조선의 선유들
목은 이색 | 포은 정몽주 | 삼봉 정도전 | 양촌 권근 | 화담 서경덕
3장. 퇴계 이황
퇴계는 누구인가? | 퇴계학은 존재하는가? | 천론天論 | 우주론 | 인간론 | 도덕론 | 정치론
4장. 율곡 이이
율곡의 이력 | 우주론 | 인성론 | 도덕론(誠) | 정치론 | 경제론
제6부. 조선 성리학의 논쟁
1장. 사칠 논쟁
퇴계와 고봉의 사칠 논쟁 | 율곡의 기발일도설 | 성호와 다산의 사칠론 | 비판과 평가
2장. 격물 논쟁
유학의 인식론 | 퇴계와 고봉의 격물 논쟁 | 율곡의 경험론적 인식론 | 연암과 다산의 선험주의 | 혜강의 유물론적 인식론
3장. 낙호 논쟁
인물성 동이 논쟁 | 논쟁의 발단과 전개 | 반성과 비판
제7부. 조선 성리학의 해체
1장. 시대적 요청
2장. 조선 성리학의 해체 과정
박세당의 반주자학 | 김만중의 신유학 비판 | 임성주의 기철학 | 다산의 성리학 부정 | 혜강의 구학舊學 해체
제8부. 성리학 다시 보기
1장. 성리학은 미개한 것인가?
성리학과 서양철학 | 현대과학과 성리학 | 우리의 반성
2장. 선비정신
선비정신은 조선의 정체성 | 21세기와 선비정신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근대화는 곧 서구화라고 생각하던 시대에는 동양의 전통이란 버려야 할 쓰레기였다. 전통의 구속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입장에 서고자 하는 것은 창조적인 태도다. 자본주의이든 사회주의이든, 서구적이든 동양적이든 전통의 한낱 모방자가 되고자 하는 사람을 현명한 사람이라고 말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어떤 새로운 사상에도 그것을 탄생시킨 전통이라는 모태가 있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자유와 창조의 시작은 전통의 영향에서 벗어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전통을 잘 이해하는 데 있다.-상권 p20 중에서
성리학도 이기론과 인성론 등 형이상학적 수양론에만 관심을 기울였을 뿐 인식론은 관심사가 아니었다. 그들은 천리天理란 선천적으로 마음속에 있으며 이미 성인들이 다 말해 놓은 것이므로 의심해서는 안 되며, 오직 그것을 학습하고 상기想起해 내는 것뿐이라고 생각했다. 이러한 관념론 또는 선험론은 당시 동서양을 막론하고 중세의 일반적인 경향이었다.-상권 p117 중에서
...사칠 논쟁은 순수한 학문 논쟁으로 예송처럼 정치 문제와는 전혀 상관이 없었다. 따라서 정치적 의미의 당쟁은 예송 논쟁으로부터 시작됐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또한 인人과 물物의 성性이 같은가 다른가의 인물성 동이 논쟁도 순수한 학문 논쟁이었다. 도리어 이 논쟁은 사칠 논쟁과는 달리 서얼庶孼 문제, 화이華夷 문제, 대청對淸 개통開通 문제 등 인간 평등의 정치적 문제와 간접적으로 연관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거기까지 진전되지 못하고 어디까지나 노론 당내에서의 학문 논쟁으로 그쳤다.-하권 p315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