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지와 인공지능

인지와 인공지능

(챗GPT부터 스마트 담론까지)

캐서린 헤일스, 윤미선, 김은주, 오릿 핼펀, 문규민, 홍남희 (지은이), 정희원, 이혜정 (엮은이), 송은주, 김지훈 (옮긴이)
갈무리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10% 0원
950원
16,150원 >
17,100원 -10% 0원
0원
17,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지와 인공지능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지와 인공지능 (챗GPT부터 스마트 담론까지)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61953900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5-07-31

책 소개

‘지능’과 ‘스마트’ 개념에 인문학적으로 접근하며, 컴퓨터과학의 발전이 사회·정치·환경 전반에 미친 영향을 톺아본다. 도시를 정보 전송의 매체로 본 멈포드의 관점, 도시를 컴퓨터에 비유한 키틀러의 분석을 경유하며, 스마트 담론의 기원을 역사화한다.

목차

엮은이 서문 6

1부 인공지능과 인지, 알고리즘의 글쓰기
1장 인지 모드, 그리고 대규모 언어 모델과 인지 모드의 관계 ─ 챗GPT와 대화하기 / N. 캐서린 헤일스 지음, 송은주 옮김 16
2장 『길 위 1번지』, AI 제임스의 소설? ─ 「소설의 기술」과 인공신경망 알고리즘의 글쓰기 / 윤미선 53
3장 비의식적 인지로서의 기술적 인지와 인지적 배치 ─ 인공지능의 윤리와 블랙박스의 번역 / 김은주 96

2부 ‘스마트’ 담론에 대한 성찰
4장 지능의 금융화 ─ 기계와 시장의 통합에 관하여 / 오릿 핼펀 지음, 김지훈 옮김, 해제 138
5장 지능형 도시와 그 불만 ─ 스마트시티와 도시정동의 딜레마 / 문규민 176
6장 도시의 무인매장과 ‘스마트’ 인구 / 홍남희 218

수록 글 출처 274
엮은이·글쓴이·옮긴이 소개 276

저자소개

캐서린 헤일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문학자, 디지털 문학 연구자, 포스트휴머니즘 이론가. 포스트휴머니즘을 학술 영역에서 최초로 정의하고 본격적 학문 분야로 발전시킨 것으로 널리 인정받는다. 로체스터공과대학교에서 화학으로 학사 학위를 받고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에서 화학 석사 학위를 받은 후, 영문학으로 진로를 바꾸어 로체스터대학교에서 영문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융합적 학문 배경과 관심을 바탕으로 과학, 문학, 기술 간의 관계를 다루는 포스트휴먼 이론에 대한 학제적 연구를 폭넓게 수행해 왔다. 듀크대학교 영문학과 교수를 지냈고, 현재는 동 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디지털 문학을 문학 연구의 대상으로 정립하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컴퓨터 코드와 인간의 언어가 겹치고 분기하는 방식과 그 상호매개 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통찰을 제시해 왔다. 최근에는 인간 인지와 디지털 매체의 상호 관계를 탐구하며 포스트휴머니즘 연구를 지속적으로 선도하고 있다. 저서로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이 되었는가(How We Became Posthuman)≫, ≪글 쓰는 기계(Writing Machines)≫, ≪내 어머니는 컴퓨터였다(My Mother Was a Computer)≫ 등이 있다.
펼치기
김은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철학 연구자. 서울시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비교문학협동과정과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에서 강의한다. 지은 책으로 《페미니즘 철학 입문》(2021), 《여성-되기: 들뢰즈의 행동학과 페미니즘》(2019), 《생각하는 여자는 괴물과 함께 잠을 잔다》(2017), 《인지와 인공지능》(2025, 공저), 《디지털폴리스와 포스트-정의》(2025, 공저), 《디지털 폴리스》(2024, 공저),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2021, 공저), 《21세기 사상의 최전선》(2020, 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변신: 되기의 유물론을 향해》(2020), 《제4물결 페미니즘》(2021, 공역), 《페미니즘을 퀴어링!》(2018, 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홍남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매체와예술연구소에 소속되어 있다. 서울시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했다.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 인공지능 인프라에 관심을 갖고 있다. 논문으로는 「얼굴-데이터-액티비즘」, 「자동화 테크놀로지와 유령노동」, 「소셜 미디어 시대 여론 극화와 상품으로서의 젠더 뉴스」, 「넷플릭스 체제와 로컬 트루 크라임 다큐멘터리」, 「디지털 플랫폼 시대 자동화 거버넌스와 ‘나쁜 말’의 규제」 등이 있다. 저서는 『편향된 기술문화는 어떻게 작동해 왔는가』, 『SNS 검열』, 『AI와 더불어 살기』(공저),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공저),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 이해와 실천』(공저), 『디지털 폴리스』(공저),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윤미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 영미유럽인문융합학부 부교수. 헨리 제임스(Henry James)와 정기간행물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출판 매체, 매체로서의 인공지능, 디지털인문학을 연구해 왔다. 8인의 공동연구자와 함께 소설 쓰는 AI 모델을 개발하는 <인간과 협업하는 딥러닝 기반 AI 소설 생성 융합 연구>(한국연구재단)를 수행했으며(2022. 7~2025. 6), 대전에서 개최되는 <세계디지털인문학협의회>(ADHO)의 <DH2026> 프로그램위원회 공동의장이다. 대표 논문 : “Henry James and Beethoven : Critique of Bildung and Pure Sound in The Portrait of a Lady”(2024), 「인문 “스몰데이터” 연구방법론과 사례 연구 : 19세기 말 영국 정기간행물 비평 담론 ― 주간지 『런던』을 중심으로」(2023) 공저 : 『인공지능의 편향과 챗봇의 일탈』(2022)
펼치기
문규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했고 대학원에서 인도불교학과 분석철학을 전공했다. 의식의 과학과 형이상학, 현대 존재론과 인류학의 새로운 흐름들, 4E 인지 이론 등을 연구하고 있다. 고려대, 서울시립대, 중앙대 등에서 가르치고 연구했다. 주요 논문으로는 “Making Sense of Consciousness as Integrated Information”, “Exclusion and Underdetermined Qualia”, 「자율주행의 책임 문제」, 「라투르와 일반화된 행위성」이 있다. 저서 : 『신유물론 입문』, 『제인 베넷 ― 물질의 삶』 역서 : 대니얼 데닛, 『의식이라는 꿈』
펼치기
오릿 핼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드레스덴 공대 디지털문화학과 학과장이자 교수. 사이버네틱스와 인공지능의 역사 등을 연구해 왔다. 로버트 미첼(Robert Mitchell)과 함께 The Smartness Mandate를 썼고, 드레스덴 공대 디지털문화 연구 그룹과 함께 연구집단 <재앙에 맞서>(Against Catastrophe)를 운영하고 있다.
펼치기
정희원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 교수. 서울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18세기 영국소설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문학에서 출발하여 도시인문학 등 학제간 인문학을 연구해 왔고, 최근에는 디지털성과 인간성의 관계에도 관심을 갖고 있다. 대표 논문 : “Photography, Poetry, and Polyphony : Postmemory of the Gwangju Massacre in Han Kang’s Human Acts”(2023), 「인공 행위자의 감정 능력과 젠더 이슈 : 『미래의 이브』와 여성 안드로이드」(2020) 공저 : Kon Kim and Heewon Chung, eds. Gated Communities and the Digital Polis : Rethinking Subjectivity, Reality, Exclusion, and Cooperation in an Urban Future (Springer, 2023), 『포스트휴머니즘의 쟁점들』(갈무리, 2021)
펼치기
이혜정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1970년대 도시소설의 서울 재현 양상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 「최인호 소설에 나타나는 작가의식 연구 ― 『지구인』의 개작과정을 중심으로」, 「비인간 존재에 대한 탈인지적 사유 ― 김초엽의 『파견자들』을 중심으로」가 있다.
펼치기
송은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인문과학원 객원연구원이며 을지대, 성균관대에서 강의하고 있다. 주요 관심사는 인류세 담론, 생태비평, 포스트휴머니즘, SF문학 연구이다. 저서 : 『당신은 왜 인간입니까 ― AI 시대의 섬뜩한 질문』, 『인류세 시나리오』, 『인공지능 시대의 철학자들』(공저), 『포스트휴먼으로 살아가기』(공저) 외 역서 : 『포스트휴먼 지식』, 『나의 어머니는 컴퓨터였다』, 『바디 멀티플』 외.
펼치기
김지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교수이자 영화미디어학센터(cau-ccms.com) 디렉터로 Activism and Post-activism: Korean Documentary Cinema, 1981-2022(Oxford University Press, 2024), Documentary’s Expanded Fields: New Media and the Twenty-First-Century Documentary(Oxford University Press, 2022)를 비롯한 세 권의 연구서를 출간했고, JCMS: Journal of Cinema and Media Studies, Film Quarterly, Film-Philosophy, Camera Obscura, Third Text, positions: asia critique의 학술지 및 『합성 열병』(space*c, 2025), 『히토 슈타이얼: 데이터의 바다』(국립현대미술관, 2022) 등 다수의 전시 카탈로그에 논문과 글을 출간했다. 현재 Mathemagical Media: Generative AI and Its Images(Bloomsbury와 진행 중)를 쓰고 있다.
펼치기
김지훈의 다른 책 >

책속에서

GPT-4는 변호사 시험을 상위 10퍼센트 확률로 통과했고 X-레이를 판독하는 데 인간 이상의 능력을 보여주었다. 초기에 GPT-4에 접근할 수 있었던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다른 연구자들은 GPT-4가 수학을 전공한 대학생과 맞먹는 능력으로 복잡한 수학 증명을 구성하고, 인간 행동에 대한 마음 이론을 갖고 있으며, 시와 희곡, 에세이를 해석하고 쓸 수 있다고 판단했다.
― 1장 인지 모드, 그리고 대규모 언어 모델과 인지 모드의 관계


AI가 인간과 동일한 성질의 의식과 자기의식에 도달할 것인지를 기준으로 창조성을 논해서는 안 된다. 그보다는 AI에게 가능한 창조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지 논의가 필요하다
― 2장 『길 위 1번지』, AI 제임스의 소설?


핏비트 팔찌는 심박수를 지켜보고, 운동을 추적하고, 소모된 열량을 기록하고, 이동 거리와 올라간 계단을 측정하여 피트니스를 장려한다. 이 장치 중 어느 것도 절대적으로 복종을 강요하지 않는데, 행동 의도를 무력화할 방법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이 기기들의 의의는 인간의 사회적 행동과 비의식적 행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누적적, 확장적 효과를 지닌다는 점에 있다.
― 3장 비의식적 인지로서의 기술적 인지와 인지적 배치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