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91158772369
· 쪽수 : 936쪽
· 출판일 : 2021-05-15
책 소개
목차
다시 책을 펴내며
1992년 완역판 서문
일러두기
【해설】
1장 묵자는 누구인가?
출신성분 | 묵자의 사상적 위상 | 묵자는 혁명가 | 묵가는 협객집단
2장 보수와 진보의 쌍벽
천하가 공묵에 기울다 | 묵가들의 유가 비판 | 공자의 인애는 신분차별적이다
3장 종교사상
동양의 하느님 | 서양의 신 | 동양의 유물론 | 묵자의 하느님과 예수
4장 철학사상
존재론 | 시간의 철학 | 인식론 | 가치론
5장 논리학
명실론 | 묵자의 논리학 | 묵자의 논리학과 삼단논법 | 묵자의 명실론과 논리실증주의
6장 정치사상
민주적 정치론
7장 공동체론
대동사회 | 소강사회 | 서양의 공동체론 | 공동체의 조건과 인류의 회심
8장 경제사상
묵자는 경제학의 시조 | 묵자는 진보주의의 시조
9장 사회·문화사상
묵자의 노동 해방 사상 | 초과 소비론 | 호사스런 음악과 장례 반대
10장 반전 평화론
전쟁은 무엇인가? | 묵자의 반전 평화운동
【원전읽기】
제1편 친사(親士) 제2편 수신(修身) 제3편 소염(所染)
제4편 법의(法儀) 제5편 칠환(七患) 제6편 사과(辭過)
제7편 삼변(三辯) 제8편 상현(尙賢) 상 제9편 상현(尙賢) 중
제10편 상현(尙賢) 하 제11편 상동(尙同) 상 제12편 상동(尙同) 중
제13편 상동(尙同) 하 제14편 겸애(兼愛) 상 제15편 겸애(兼愛) 중
제16편 겸애(兼愛) 하 제17편 비공(非攻) 상 제18편 비공(非攻) 중
제19편 비공(非攻) 하 제20편 절용(節用) 상 제21편 절용(節用) 중
제25편 절장(節葬) 하 제26편 천지(天志) 상 제27편 천지(天志) 중
제28편 천지(天志) 하 제31편 명귀(明鬼) 하 제32편 비악(非樂) 상
제35편 비명(非命) 상 제36편 비명(非命) 중 제37편 비명(非命) 하
제39편 비유(非儒) 하 제40․42편 경(經)․경설(經說) 상
제41․43편 경(經)․경설(經說) 하 제44편 대취(大取)
제45편 소취(小取) 제46편 경주(耕柱) 제47편 귀의(貴義)
제48편 공맹(公孟) 제49편 노문(魯問) 제50편 공수(公輸)
주요 용어 및 인명 찾아보기
원문 출전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묵자는 초나라와 월나라 등 여러 곳에서 봉토를 주겠다고 하며 초빙을 받았으나 귀족의 신분이 되는 것을 거절하고 노동자의 검은 옷을 입고 전쟁 반대 운동에 목숨을 걸었으며 평등사회 건설을 위한 사회운동에 평생을 바쳤다.
묵자는 철학자이며, 과학자요, 경제학자요, 반전 평화운동가였으나 그보다 혁명가라고 해야 옳을 것 같다. 그는 실천하고 조직하고 투쟁한 사회혁명가였다. 그는 “내 말은 반석과 같으니 깨뜨릴 수 없다”고 외치며 “의를 위해 목숨을 버리라”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