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예배/기도/묵상(QT)
· ISBN : 9788992467711
· 쪽수 : 246쪽
· 출판일 : 2013-01-25
책 소개
목차
I부 예배 이론
1장. 예배 이론의 유형
1. 들어가는 말 | 2. 학습 과정으로서의 예배 | 3. 회중이 참여하는 예배 | 4. 문화화를 고려하는 예배 | 5. 축제로서의 예배 | 6. 인간의 통전적 경험으로서의 예배 | 7. 나오는 말
2장. 슐라이어마허의 예배 이론
1. 들어가는 말 | 2. 슐라이어마허 예배 이론의 사상적 배경 | 3. 슐라이어마허의 예배 이론 | 4. 나오는 말
3장. 빅터 터너의 의례 이론과 예배 연구
1. 들어가는 말 | 2. 터너의 의례 이론 | 3. 터너 의례 이론의 적용 | 4. 나오는 말
4장. 예배 연구와 관찰 조사법
1. 들어가는 말 | 2. 관찰 연구법 | 3. 관찰 조사법과 예배 연구 | 4. 나오는 말
II부 예배 실천
5장. 몸의 예배
1. 들어가는 말 | 2. 몸 예배의 논의 배경 | 3. 종교 경험과 표현의 동반적 주체로서의 육체 | 4. 비구술적 언어 사용의 중요성 | 5. 몸 예배의 구성을 위한 제안 | 6. 나오는 말
6장. 여성주의 예배
1. 들어가는 말 | 2. 예배서 《새 하늘과 새 땅을 여는 예배》의 예배 이해 | 3. 여성 예배의 구성 | 4. 나오는 말
7장. 열린 예배
1. 들어가는 말 | 2. 열린 예배의 기본 이해 | 3. 열린 예배의 신학적 정당성 | 4. 열린 예배의 문화적 정당성 | 5. 나오는 말
8장. 유아 세례
1. 들어가는 말 | 2. 유아 세례 예식서의 분석 | 3. 유아 세례의 삶의 자리 | 4. 유아 세례와 통과 의례 | 5. 나오는 말
9장. 예배 갱신
1. 들어가는 말 | 2. 사회화, 재사회화, 예배 | 3. 예배 갱신을 통한 재사회화 | 4. 한국 교회 예배의 문제점 | 5. 예배 갱신의 방향 | 6. 나오는 말
10장. 청년 예배
1. 들어가는 말 | 2. 청년 예배의 배경 : 열린 예배 | 3. 청년 예배의 신학적 자리 : 문화화 | 4. 청년 예배의 특징 : 발산적 열광주의 | 5. 청년 예배의 문제점 | 6. 나오는 말
저자소개
책속에서
특히 오늘날 한국 교회는 작금의 위기를 새로운 형태의 예배를 도입함으로써 해결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이는 교회 성장이 멈춘 현실을 극복하려는 하나의 시도인데, 이 시도는 앞으로도 일정 정도 확대될 전망이라는 점에서 엄정한 예배학적 성찰이 요구된다. 무엇보다도 일선 목회자들은 예배의 변화를 통하여 교회의 위기를 타개하려는 시도를 하면서도, 새로운 형태의 예배들에 대한 신학적인 정당성에 확신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 이러한 교회의 상황은 예배학의 전문적인 성찰과 적절한 대안의 제시를 매우 시급히 요청하고 있다.
이렇게 보면 중요한 것은 예배를 회중에게 개방하느냐 하지 않느냐에 있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예배 형태에 대한 관점을 개방하느냐 하지 않느냐에 있는 것이다. 전통 예배에 대해 개방적 자세를 갖고 그것을 신학적으로 수용하는 신앙인이라면 열린 예배에 대해서도 동일한 자세를 견지하면서 그것을 신학적으로 인정해야 한다. 결국 열린 예배와 전통 예배를 둘러싼 문제에 대해 우리가 가져야 할 관점은 예배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예배 다원주의일 것이다.
필자는 몇 해 전 ‘교회의 날’ 행사에서 안티기독교 단체들의 질문에 대해 답변하는 자리에 초대된 적이 있다. 그때 한 안티기독교 단체로부터 ‘한국 기독교의 행태와 한국 기독교인들의 무례한 태도를 보면 애초에 기독교의 가르침 자체가 잘못된 것이 아니냐’는 매우 도발적인 질문을 받고 당황한 경험이 있다. 이런 비판적 문제 제기에서도 확인될 수 있듯이 전체 한국 사회에서 기독교인 각자가 보여주는 행위와 태도는 상당한 비중을 가진다. 따라서 한국 교회가 현재의 위기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예배 갱신을 매개로 한 재사회화를 통해 한국 기독교인들의 태도를 교정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