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92534079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08-09-23
책 소개
목차
들어가기 '맥킨지식 Mind+Way'란 무엇인가?
서장 전략파워를 향샹시키는 4가지 역량
01 포지셔닝 싸움인가, 새로운 프레임의 선택인가?
02 철저한 컨셉트 실현이 강한 기업을 만든다
03 로직이 시장을 창조한다
04 4가지 역량을 디자인하는 발상을 기른다
CHAPTER 1 프레임 역량
01 왜, 프레임 역량이 중요한가?
-프레임을 잘라내는 방식에 따라 시장에 대한 관점이 달라진다
-불분명한 경계선을 정확히 갈라 프레임을 잘라낸다
-시대변화와 시장의 구조변화가 프레임을 변화시킨다
-기준을 평준화시켜서는 본질을 파악할 수 없다
02 발상을 전환하여 프레임 역량을 높인다
-관점을 변화시켜 새로운 땅을 모색한다
-흰 바탕에서 검은 바탕으로 반전시킨다
-틀을 넘어서는 선을 긋고 버려진 공간을 찾아낸다
-철저히 세분화하고 압축해, 클로즈업할 장소를 찾는다
-전제조건의 차이를 간파하여 진상을 규명한다
03 프레임워크를 체크리스트로 활용한다
-전략 프레임워크
-마케팅 프레임워크
-조직 프레임워크
- 프레임 역량 강화를 위한 연습문제
CHAPTER 2 컨셉트 역량
01 컨셉트란 무엇인가?
-코끼리의 컨셉트는 무엇인가?
-컨셉트는 사물의 대상자와의 관계로 파악한다
02 왜, 컨셉트 역량이 중요한가?
-컨셉트가 애매하면 정리가 안 된다
-컨셉트가 사업전개의 집중과 일관성을 낳는다
-시대가 변하면 컨셉트도 달라진다
03 컨셉트의 구성요소: 컨셉트 피라미드를 만든다
-컨셉트 피라미드를 구성하는 4가지 층
-명확하고 일관성 있는 컨셉트 피라미드가 성공을 이끈다
-뛰어난 컨셉트의 조건이란 무엇인가?
-컨셉트 구축을 위한 요령
04 컨셉트의 확장을 생각한다
-기업 컨셉트는 보편적 경영이념이다
-사업 컨셉트는 사업전략의 지침이 된다
-상품 컨셉트는 상품개발의 가이드라인이 된다
-개혁 컨셉트는 모든 재건의 지침이 된다
- 컨셉트 역량 강화를 위한 연습문제
CHAPTER 3 로직 역량
01 왜, 로직 역량이 중요한가?
-행위가 어떤 결과를 낳을지 로직으로 먼저 예측한다
-로직을 통해, 표면적인 현상으로부터 문제의 진정한 원인을 규명한다
-비즈니스 로직은 항상 변한다
-통찰력을 기르고 시대의 바람이 되는 로직을 읽는다
02 로직을 철저히 세워야 할 곳은 어디인가?
-업계구조의 로직은 시대의 조류이다
-사업구조의 로직이 비즈니스 모델의 기본이 된다
-문제의 구조와 발생 메커니즘을 철저히 규명한다
-행위가 어떤 결과를 초래할지 그 파급효과를 생각한다
-시너지에는 상호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로직이 있다
03 로직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본 도구를 활용한다
-로직의 깊이와 넓이를 파악한다
-로직의 인과관계를 깊이 연구한다
-비즈니스의 로직을 가설·검증한다
- 로직 역량 강화를 위한 연습문제
CHAPTER 4 포지셔닝 역량
01 왜, 포지셔닝 역량이 중요한가?
-전략적 환경에서는 누구나 자신의 포지셔닝을 모색한다
-수신자와 발신자의 정보력 역전으로 인해, 더욱 정확한 포지셔닝 정보가 요구된다
-경쟁사 대비 비교우위의 포지셔닝을 획득한다
-포지셔닝은 본질에 접근하는 열쇠가 된다
02 뛰어난 포지셔닝의 4가지 조건
-타자와의 차이를 명확히 제시한다
-상대적 우위성이 대상자에게 인식된다
-향후 우위성을 지속할 수 있다
-전체 포트폴리오를 고려한다
03 포지셔닝의 두 가지 패턴
-구역형과 인지형 포지셔닝
-뛰어난 포지셔닝을 위한 4대 조건
04 포지셔닝의 한계를 안다
-독특한 컨셉트가 독특한 포지셔닝의 기본이 된다
-컨셉트가 없는 포지셔닝은 성공할 수 없다
-포지셔닝이 안 되면 프레임·컨셉트·로직을 원점에서 재고한다
- 포지셔닝 역량 강화를 위한 연습문제
종장 4가지 역량을 전략 구상과 문제 해결에 응용한다
01 전략 구상 프로세스에의 응용
02 문제 해결 프로세스에의 응용
맺으면서 '맥킨지식 Mind+Way'는 왜, 필요한가?
참고문헌 및 자료
리뷰
책속에서
로직은 모든 비즈니스의 기초가 된다. '왜 그럴까?, 그렇게 하면 어떻게 될까?'를 생각하는 것은 나머지 3개의 프레임을 생각할 때도 중요하다.
즉, 적절하고 참신한 프레임 속에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로직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컨셉트를 찾아내어, 어떻게 위치를 설정해야 성공할 것인가 하는 포지셔닝을 깊이 생각하는 것이 전략적 문제 해결의 중요한 포인트인 것이다.
따라서, 전략 능력 향상을 위한 4가지 역량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1. 프레임 역량
- 문제 영역의 '범위를 정확하게 짚어내는' 판단력
2. 컨셉트 역량
-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기본을 구상하고 전개 방향을 제시하는 역량
3. 로직 역량
- 사물의 인과관계를 꿰뚫어보는 통찰력과 스토리의 줄거리를 만드는 창의력
4. 포지셔닝 역량
- 상대적으로 유리한 상황을 구상하고, 그 위치를 행위 대상자에게 인지시키는 능력
이 4가지 역량은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이들은 상호 밀접하게 연관되어 문제 해결과 전략 구상의 프로세스 가운데서, 해결책의 질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이 4가지 역량이 일관성을 지닐 때, 비지니스를 성공으로 이끌 수 있게 된다. (본문 35~36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