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88992538824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14-04-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5
세계의 곡물을 살펴보자 13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전분/곡물이란 무엇인가?/
곡물을 정리해 보자/잡곡이란 무엇인가?/
세계 3대곡물/곡물의 발상지
벼란 무엇인가? 27
야생 벼 29
벼의 종류/야생 벼는 어디에서 자라고 있는가?/
첨단기기는 사용할 수 없다/오리자가 탄생한 곳/
야생벼를 먹어보다/오피시날리스를 사용하는 문화
재배 벼의 탄생 39
야생벼에서 재배벼로 진화되다/사티바는 언제 어디에서 탄생했는가?
연구자에 의한 분류-인디카와 자포니카/
열대 자포니카와 온대 자포니카/
인디카의 탄생/쌀의 품종은 얼마나 될까?
열대몬순의 벼와 쌀 51
풍토와 쌀 54
풍토란 무엇인가?/와츠지 테츠로의 풍토론
열대몬순아시아의 벼와 쌀 58
열대몬순아시아 지역/열대몬순지대의 환경/
홍수의 풍토/홍수의 풍토에서 생활하는 법/
뜬벼/뜬벼지대의 쌀로 만든 음식/쌀은 삶아서 먹는다/
향미-독특한 향기를 가진 쌀/태국의 전기밥솥/액젓
열대 섬들의 벼와 쌀 78
열대 섬들/인도네시아를 여행하다-스라웨시의 쌀과 물고기/
커피나라의 벼와 쌀/인도네시아 기원설/나시고렝-인도네시아 볶음밥
화전에서 만드는 쌀-찹쌀문화권 86
라오스의 화전/화전의 쌀/찹쌀과 멥쌀의 생화학/
찹쌀과 멥쌀의 유전학/카오람-대나무통 찹쌀밥/
간식 대용의 찹쌀/찹쌀로 만든 디저트/
대만의 찹쌀떡/적미, 흑미, 자흑미/
특이한 형태의 씨를 가진 품종
온대몬순의 벼와 쌀 107
쌀을 짓는 문화 109
아밀로스 함량이 적은 쌀/취반(炊飯)이라는 조리법/
일본의 다양한 미식(米食)문화/다양한 죽
쌀과 세트인 물고기들 116
온대몬순의 쌀과 물고기/수전 모형의 쌀과 물고기/
쌀과 닭, 쌀과 새/쌀과 대두
색다른 벼들 123
다이코쿠와 에비스
으깨어 먹는 쌀 문화 125
으깨어 먹는 쌀 127
쌀가루로 만든 면/떡 문화
발효시켜서 먹는 쌀 131
곡물로 만든 술/입으로 씹어서 만드는 술/
쌀로 만든 양조주/찹쌀로 만든 증류주/
아와모리-오키나와의 찹쌀주
실크로드를 지나서 139
변화하는 풍토 141
옛날 그곳은 녹색의 지대였다/유목생활/
유목민의 움직임은 ‘비차각’(飛車角)
중앙아시아의 벼와 쌀 146
중앙아시아의 벼농사/달베르진 테파 유역/
러시아의 벼농사
인도의 벼와 쌀문화 150
인도의 벼농사/겨울에 재배하는 벼/
히말라야의 벼/시킴의 벼농사는 중국문화/
부탄의 벼농사/부탄 벼의 색다른 특징/
적미를 좋아하는 사람들/파보일-쌀 보존법/
카레라이스/인더스문명의 벼
중앙아시아의 쌀요리 166
타슈켄트에서 본 필라프
세계로 확산된 벼와 쌀 169
서방으로 전해진 쌀 171
도래(渡來)의 경로/프랑스의 벼 재배/
유럽으로 건너간 쌀요리의 계보/
FAO본부에서 먹은 쌀요리/아프리카의 벼와 쌀
미국의 벼농사와 쌀 179
미국의 쌀/벼농사는 왜 캘리포니아에 정착했을까?/
미국에 남겨진 벼의 족적(足跡)/미국의 스시
현대의 운반자들 186
유전자은행/괘씸한 운반자/하이브리드라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