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88992555814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08-05-19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_ 계속하는 기술을 발휘하면 큰 성과를 낳는다 06
1장 우리는 왜 좌절하는가?
Episode01 T의 늦잠 버릇 18
의식하면 습관이 될 수 없다 20
누구나 단순한 반복 작업을 싫어한다 26
포기하게 만드는 3가지 감정의 유혹 29
계속하는 Knowhow01 완벽주의가 미루는 습관을 만든다 39
2장 목표의 3가지 유형과 습관 만들기의 5단계
Episode02 나도 계속하는 것이 있다 42
목표의 3가지 유형 44
쌓이면 성과가 보이는 일 50
마스터해야 하는 일 54
내 스타일에 맞는 목표의 유형은? 60
습관 만들기를 위한 5가지 단계 64
계속하는 Knowhow02 시도해보기도 전에 겁먹지 마라 70
3장 습관을 만드는 시간과 의욕의 조화
Episode03 핀란드에서는 일찍 일어났던 T 74
시간과 의욕을 조절하는 7가지 규칙 76
반드시 시간을 확보하라 81
나약한 자신을 믿지 마라 85
현재를 가장 높이 평가하라 93
하고 싶은 게 떠오르면 기록하라 96
예외를 인정하라 99
함께 하는 동료를 만들어라 105
칭찬으로 의욕을 북돋우라 108
계속하는 Knowhow03 목표달성을 위한 ‘다이어리 활용법’ 114
4장 목표 유형별 공략법: 계속해야만 하는 일
결심 단계: 하고 싶은 일을 상상한다 118
시작 단계: 욕심부리지 않는다 119
시련 단계: 적절한 보상으로 의욕을 높인다 123
매너리즘 단계: 하고 싶게끔 만든다 132
무의식 단계: 꾸준히 계속한다 133
계속하는 Knowhow04 아침형 인간을 위한 건강 수면법 135
5장 목표 유형별 공략법: 쌓이면 성과가 보이는 일
결심 단계: 계속했을 때의 큰 성과를 상상한다 138
시작 단계: 충동으로 시작한다 139
시련 단계: 큰 기대를 하지 않는다 140
매너리즘 단계: 성과를 다시금 떠올린다 144
무의식 단계: 쌓이는 즐거움으로 의욕을 유지한다 151
계속하는 Knowhow05 쓸데없는 걱정을 줄이는 방법 153
6장 목표 유형별 공략법: 마스터해야 하는 일
다른 2가지 유형으로 공략한다 158
결심 단계: 꼭 해내겠다는 결의가 중요하다 160
시작 단계: 팀을 만든다 161
시련 단계: 미래의 일기를 쓴다 164
매너리즘 단계: 지금까지 과정을 점검한다 167
무의식 단계: 동료를 찾는다 169
계속하는 Knowhow06 마인드 컨트롤로 슬럼프를 극복하자! 171
7장 생활 속에 숨어있는 계속하는 기술
Episode04 아침형 인간으로 거듭나기 176
누구나 계속하는 일이 있다 178
아침 일찍 출근하는 습관 들이기 179
인기 있는 포인트 카드의 비결 183
직원에게 좋은 습관을 들이는 방법 186
온라인에서 동료를 찾는 방법 189
인터넷 카페에 글 올리게 되는 비결 194
계속하는 Knowhow07 잘나가는 CEO의 성공하는 습관들 196
에필로그_ 무엇이든 시작하고 본다 200
옮긴이의 글_ 언제나 긍정의 마인드를 잃지 말자 207
리뷰
책속에서
내일부터 매일 5시에 일어난다고 결심했어도 갑자기 5시에 일어나는 것은 힘든 일이다. 이 결심을 실천하는 데 중요한 것은 결심한 행동을 완벽히 실천하는 것이 아니라, 조금이라도 접근했다면 달성한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5시가 아닌 5시 30분에 일어났다면 ‘5시에 못 일어났다’고 스스로를 질책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날보다 일찍 일어났다!’며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러면 매일 아침 5시에 일어난다는 일을 계속하게 되는 첫걸음을 내딛는 것이다. 오늘은 5시 30분에 일어났지만, 앞으로 하루에 5분씩 앞당기면 1주일 안에 5시에 일어날 수 있다는 식으로 목표에 조금씩 접근해가도록 한다.-본문 119p 중에서
쌓이면 성과가 보이는 일의 습관 만들기는 저축이나 다이어트처럼 행동을 억제하는 것이 많다. 그런 까닭에 인내심의 한계를 넘게 되면 자업자득이라는 ‘폭발’이 일어난다. 따라서 고통스러워졌을 때 이 ‘폭발’을 막기 위한 수단을 준비해둬야 한다. 저축이든 다이어트든 습관을 만들어가던 중에 즐겁다고 느낀 적이 있다면 아무리 사소한 것일지라도 수첩이나 다이어리에 기록해두도록 한다.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네티즌끼리 사진, 일기, 블로그 등을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람들과 이어질 수 있도록 한 인터넷상 사교 공간-편집자 주)에 올려도 좋다. 이것을 ‘행복 일기’라고 한다. 계속하는 것이 고통스러울 때 이 기록을 읽으면 즐거운 기억이 되살아나 다시금 의욕이 솟아날 것이다.-본문 146p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