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과학의 이해 > 과학사/기술사
· ISBN : 9788992711487
· 쪽수 : 128쪽
· 출판일 : 2011-08-17
책 소개
목차
추천사 5 1. 보이지 않는 손 : 미생물은 어떻게 인류의 역사를 바꾸었을까? 11
2. 파편: 흑사병은 어떻게 봉건제도를 강타했을까? 19
3. 감염의 제국: 천연두는 어떻게 세계를 정복했을까? 35
4. 사업의 대가: 황열병은 어떻게 노예제도를 폐지했을까? 49
5. 가혹한 선생님: 콜레라는 어떻게 도시를 쓸어 버렸을까? 63
6. 죽은 희망: 결핵은 어떻게 동경의 대상에서 악성 질병으로 전락했을까? 79
7. 죽음의 보랏빛 시계: 독감은 어떻게 제1차 세계대전의 승패를 갈랐을까? 93
8. 붉은 여왕과 달리기: 병원균은 어떻게 우리 삶을 달라지게 할까? 109
용어 설명 126
책속에서
질병은 우리의 가장 깊은 두려움, 희망 그리고 편견을 투사해 주는 스크린이다. 흑사병도 마찬가지다. 몽골 군대에 의해 1331년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흑사병은 4년도 채 안 되어 중세 유럽 인구의 3분의 1을 죽음으로 내몰았다. 그 결과 중세 유럽의 지배층이 결정적 타격을 받으면서 봉건제도는 무너지기 시작했고, 자본주의의 싹이 돋아나기 시작했다.
_2. 파편: 흑사병은 어떻게 봉건제도를 강타했을까?
유럽의 풍토병이었던 천연두는 콜럼버스의 탐험의 시대와 함께 대서양을 건너면서, 스페인이 멕시코와 페루를 점령하는 데 절대적인 역할을 했다. 당시 잉카 제국 인구의 4분의 3이 천연두로 인해 죽게 된다. 또한 천연두는 영국과 프랑스의 북아메리카 정복에 필수 요소였다. 영국의 청교도가 미국 플리머스에 도착하기 전인 1617년에 향후 뉴잉글랜드가 될 지역을 유행병이 지나가면서 원주민의 90퍼센트 이상이 죽어 버렸던 것이다.
_3. 감염의 제국: 천연두는 어떻게 세계를 정복했을까?
황열병은 유럽인들의 탐욕을 위해 노예로 끌려온 2천만 명의 아프리카인들을 따라왔다. 아프리카인들은 이미 면역성이 있었지만 노예 주인들은 그렇지 않았다. 황열병은 처음에는 카리브 해 연안에서, 그 다음에는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에서 노예제도의 몰락을 가져오는 원인이 된다. 나중에 이 질병은 미국이 북아메리카 대륙 전역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_4. 사업의 대가: 황열병은 어떻게 노예제도를 폐지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