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88992803410
· 쪽수 : 478쪽
· 출판일 : 2012-06-25
책 소개
목차
1장 한류(南조선 날라리風), 통일의 바람
01 한류, 통일의 바람이 되다
02 북한에서 한류를 접한 북한이탈주민 100명의 이야기
2장 한류와 북한주민의 만남
01 어떻게 전기를 구해 시청했나?
02 시청방법: 어떻게 보는가?
03 시청빈도: 얼마나 자주 보는가?
04 시청형태: 단독, 또는 집단시청
05 유통형태: 어떻게 확산되고 있나?
06 컨텐츠 목록: 무엇을 보고 불렀나?
07 새로운 매체의 등장과 한류 확산
08 북한이탈주민의 대북송금과 한류
3장 한류와 만난 북한주민의 주체별 의식
01 지역
02 계층
03 세대
04 젠더
05 기타: 탈북시기, 북한거주 시 학력과 직업
4장 한류와 만난 북한주민의 분야별 의식
01 의식변화 과정
02 처음 보았을 때 느낌: 신기함과 거짓, 그리고 진실 사이
03 북한체제
04 자유민주주의와 인권
05 자본주의 경제
06 종교
07 남한 사람
08 생활문화
09 스타일 따라하기와 의식변화: ‘말투부터 패션까지’
10 탈북과 남한행
5장 한류의 장벽과 역풍
01 단속과 통제
02 대중화와 행동결집의 한계
03 북한 선전과 남한 영상물의 기폭효과(priming effect)
04 선정성, 남한의 또다른 모습
6장 한류, 통일의 순풍이 되기 위해
01 한류와 만난 북한 주민, 시청 소감을 공유하다
02 한류와 만난 북한주민, 남한에 오다: ‘상상’에서 ‘실제’로
03 한류, 현재진행형의 통일이야기
04 북한이탈주민들이 말하는 한류, 통일의 순풍이 되려면?
05 한류, 통일을 향한 역풍을 넘어 순풍이 되어주길
책속에서
영화, 드라마, 예능프로그램, 가요 등 대중문화는 대중들의 전 삶을 포괄하고 있다고 해도 크게 과장된 말은 아닐 것이다. 정서와 가치관, 일상생활을 망라하고 있을 뿐 아니라 직·간접적으로 정치, 경제상황 등을 표현하고 있기도 하다. ‘포괄성’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예술로써의 대중문화가 북한 내부에 유통되고 있다는 것. 이는 반세기 이상 분단의 저 편에 가려진 ‘아랫동네(남한)’ 사람들의 모습을 ‘윗동네(북한)’ 사람들이 속속들이 마주할 수 있는 만남의 장이 마련되고 있다는 것은 아닐까